보도자료

보도자료
  • 청년창업 활성화를 통한 청년고용촉진 활로 모색

    2016-12-01 00:48:13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1727

  • jdi 로고

    제주발전연구원


    보 도 자 료

    담당

    연구기획팀

    726-6140

    2016년 12월 1일

    문의

    고승한 연구위원

    010-3808-6101

     

    “청년창업 활성화를 통한 청년고용촉진 활로 모색”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고승한 연구위원‘제주지역의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연구에서 제주지역의 청년창업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제주청년들의 취업기회 확대와 고용촉진을 위한 청년창업 활성화 정책의 대응과제를 제시하였음.

    □ 청년창업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청년의 창의적 도전을 함양하여 청년 고용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그래서 제주지역에서도 청년창업 활성화가 필요함.

    제주거주 청년 대상(만 20세~만 39세 이하, 220명)의 설문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조사대상 청년층 가운데 96.4%(212명)이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수준을 가지고 있어서 고학력 현상을 반영하고 있음.

    - 절대 다수의 청년(92.6%)들은 일단 취업하여 사회경험을 쌓고, 창업자금을 마련한 이후에 창업을 시도할 계획을 갖고 있음.

    - 조사응답 청년들은 창업할 때 창업자금 조달과 해당 업종의 시장경쟁력 등 경제적 요인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지식 습득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임. 또한 비경제적 요인으로는 주로 자아실현과 도전의식을 꼽고 있음.

    - 조사대상 청년들은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서 중앙정부에 거는 기대 역할은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청년창업 지원, 그리고 창업자금 조달 지원 등을 기대하고 있고,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청년창업지원의 다양한 정책사업 시행과 청년창업 자금의 조달 보증 등을 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음. 그리고 도내 대학들은 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설과 창업 후 지속적 관리 및 컨설팅 등을 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음.

    청년창업기업 및 청년창업가 대상(33명)의 설문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대다수 청년창업기업(80.6%)은 최근 4년 사이에 창업되었고, 창업 분야는 제조업이 12개(36.4%), 서비스업 21개(63.6%)로 나타나고 있음.

    - 대다수 청년창업가들은 창업 아이템의 시장 경쟁력과 수익 창출을 고려하여 창업 여부를 결정하고 있음. 또한 창업결정은 청년창업가 자신에 대한 도전이고 자아실현 욕구 충족에서 비롯되었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음.

    - 최근 창업환경이 악화된 주요 요인은 ‘높은 생산요소 비용(지가, 인건비, 원자재 비용 등)’(45.5%)과 ‘시장경쟁 치열’(27.3%) 그리고 ‘유사 사업체의 증가’(18.2%)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창업실패에 따른 어려움이나 재기 불가능에 대한 면책지원 확대 범위를 늘려주는 방안을 법제도적으로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보임.

    - 절대 다수의 청년창업가들이 창업과정에서 받은 학교교육 및 창업교육이 기업가정신의 함양에 체계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음.

    제주지역의 청년창업 활성화 정책의 대응과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청년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가칭)「제주특별자치도 청년창업 활성화 등 지원에 관한 조례」제정, 청년창업 활성화 정책 지원사업의 홍보 강화, 창업동아리 활동 운영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함.

    - 둘째, 창업교육훈련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대학의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창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학교 졸업 청년 대상 창업지원체계 구축, 창업아이템 발굴 강화 및 아이템 DB화, 청년창업가 교육의 질적 개선과 멘토링 상시화 등이 필요함.

    - 셋째, 창업아이템 사업화 및 투자회수에 필요한 대응과제는 창업자금의 원활한 조달 체계 구축, 청년몰(Mall) 조성 사업, 청년창업기업의 투자회수 계획 수립 및 지원, (가칭)제주청년창업기금 조성 사업 추진 등을 들 수 있음.

    - 넷째, 창업 재도전 보장과 정리촉진을 위해서는 청년창업 재도전 보장제도 도입, 창업실패에 따른 자산정리 촉진 프로그램 운영, 청년창업가의 지속관리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한 과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