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 염지하수,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안전

    2024-02-05 11:26:41
  • 작성자관리자 (manager) 조회수215

  • 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null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4. 2. 5(월요일)

     

    담당부서

     

    연구기획부

     064-729-0540

     

    문 의

     

    제주지하수연구센터

     064-729-0503


    제주 염지하수,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안전

    - 도내 8곳 조사 결과 방류수 영향 없는 것으로 확인 -

      

    제주연구원 제주지하수연구센터(센터장 박원배)JRI정책이슈브리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제주 염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결과 및 향후 계획에서 도내 염지하수 이용 시설 8곳에 대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 처리수 방류 전후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는 방사능 영향이 없는 안전한 상태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13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사고 시설 냉각을 위해 투입된 지하수와 해수, 그리고 자연적인 강수 및 지하수 유입으로 오염수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핵종 제거 장치인 ALPS (Advanced Liquid Processing System)을 거친 후에도 일부 방사성 핵종은 고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정부가 IAEA에 보고한 바에 따르면 2021년 현재 일일 평균 130톤씩 오염수가 증가하고 20229월 기준 저장 처리수는 132만톤임

     

    20214월 일본 정부는 처리수를 태평양에 방류하는 계획을 승인하고 20238월부터 3차례에 걸쳐 추가 처리 및 희석 과정을 거친 처리수 약 23,400톤을 방류하였으며 202424차 방류를 앞두고 있다.

     

    처리수에 의한 방사성물질의 농도와 그 영향이 우리나라에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주는 도서 여건과 사고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해류의 흐름 등을 고려할 때 오염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높은 지역이다.

     

    이에 따라 제주지하수연구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 처리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방류 전인 6월에는 7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방류 후인 10월에는 1개 지점을 추가하여 8개 지점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비교군으로 해안지역의 지하수 관정 2개 지점을 추가하여 분석함

     

    삼중수소, 세슘-134, 세슘-137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현행 먹는 물 수질 기준의 16~29% 미만으로 현재 정기적으로 관측되고 있는 연안 해수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먹는물 수질기준(염지하수)은 중수소 6.0Bq/L, 세슘-137 3.0mBq/L이며, 세슘-134는 별도의 기준은 없으나 식품 중 기준은 세슘-134와 세슘-137을 합산하여 영유아용 식품 및 원유유제품류 50Bq/L, 기타 식품 100Bq/L

    국내 수질기준의 삼중수소와 세슘 기준치는 국제기준보다 10~100배 엄격한 수준임

     

    제주지하수연구센터 박원배 센터장은 앞으로

    - 해양방사능 측정망에서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관측지점을 최대 20개 지점으로 늘리고 연 4회 관측을 수행하는 등 감시를 강화할 것이며,

    - 분석 결과를 정기적으로 도민들에게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1 염지하수 내 방사성 물질 1차 모니터링 결과

    (단위 : Cs mBq/Kg; I, H- Bq/Kg)

    모니터링 지점

    세슘-134 (134Cs)

    세슘-137 (137Cs)

    아이오딘-131 (131I)

    삼중수소(3H)

    MDA

    측정결과

    MDA

    측정결과

    MDA

    측정결과

    MDA

    측정결과

    수원

    0.99

    <MDA

    0.86

    <MDA

    0.33

    <MDA

    2.05

    <MDA

    대포

    0.72

    <MDA

    0.73

    <MDA

    0.37

    <MDA

    2.14

    <MDA

    태흥

    0.67

    <MDA

    0.69

    <MDA

    0.35

    <MDA

    2.14

    <MDA

    표선

    0.77

    <MDA

    0.61

    <MDA

    0.35

    <MDA

    2.13

    <MDA

    삼달

    0.66

    <MDA

    0.68

    <MDA

    0.40

    <MDA

    1.84

    <MDA

    온평

    0.80

    <MDA

    0.81

    <MDA

    0.43

    <MDA

    2.14

    <MDA

    행원

    0.75

    <MDA

    0.72

    <MDA

    0.41

    <MDA

    2.21

    <MDA

    1차에서는 아이오딘-131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나 전 지점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고 반감기는 약 8일로 매우 짧은 것을 고려하여 향후 조사에서는 제외하기로 하였음

     

    2 염지하수 내 방사성 물질 2차 모니터링 결과

    (단위 : Cs mBq/Kg; H- Bq/Kg)

    모니터링 지점

    세슘-134 (134Cs)

    세슘-137 (137Cs)

    삼중수소(3H)

    MDA

    측정결과

    MDA

    측정결과

    MDA

    측정결과

    조천

    0.55

    <MDA

    0.60

    <MDA

    2.17

    <MDA

    수원

    0.56

    <MDA

    0.59

    0.76

    2.28

    <MDA

    대포

    0.56

    <MDA

    0.57

    0.78

    2.24

    <MDA

    태흥

    0.56

    <MDA

    0.55

    <MDA

    2.28

    <MDA

    표선

    0.51

    <MDA

    0.54

    <MDA

    2.28

    <MDA

    삼달

    0.51

    <MDA

    0.44

    <MDA

    2.20

    <MDA

    온평

    0.57

    <MDA

    0.63

    <MDA

    2.28

    <MDA

    행원

    0.64

    <MDA

    0.67

    <MDA

    2.21

    <MDA

    JD종달1

    0.48

    <MDA

    0.47

    <MDA

    2.23

    <MDA

    JW한장동

    0.53

    <MDA

    0.51

    <MDA

    2.26

    <MDA

    JD종달1JW한장동은 해안지역에 위치한 제주 지하수 관측망 관측정으로 담수 중 방사성물질 농도 특성을 보기 위하여 모니터링 체계에 포함하였음

     

    null_check

     그림 1 염지하수 내 세슘-17 2차 모니터링 결과


    null_check

    그림2 향후 모니터링 추진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