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
---|
|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 보 도 자 료 | |
---|---|---|---|
배 포 일 | 2024. 2. 5(월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부 ☎ 064-729-0540 |
문 의
| 제주지하수연구센터 ☎ 064-729-0503 |
제주 염지하수,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안전 - 도내 8곳 조사 결과 방류수 영향 없는 것으로 확인 - |
---|
□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사고 시설 냉각을 위해 투입된 지하수와 해수, 그리고 자연적인 강수 및 지하수 유입으로 오염수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핵종 제거 장치인 ALPS (Advanced Liquid Processing System)을 거친 후에도 일부 방사성 핵종은 고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본 정부가 IAEA에 보고한 바에 따르면 2021년 현재 일일 평균 130톤씩 오염수가 증가하고 2022년 9월 기준 저장 처리수는 132만톤임
□ 2021년 4월 일본 정부는 처리수를 태평양에 방류하는 계획을 승인하고 2023년 8월부터 3차례에 걸쳐 추가 처리 및 희석 과정을 거친 처리수 약 23,400톤을 방류하였으며 2024년 2월 4차 방류를 앞두고 있다.
□ 처리수에 의한 방사성물질의 농도와 그 영향이 우리나라에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주는 도서 여건과 사고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해류의 흐름 등을 고려할 때 오염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높은 지역이다.
□ 이에 따라 제주지하수연구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 처리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방류 전인 6월에는 7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방류 후인 10월에는 1개 지점을 추가하여 8개 지점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 비교군으로 해안지역의 지하수 관정 2개 지점을 추가하여 분석함
□ 삼중수소, 세슘-134, 세슘-137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현행 먹는 물 수질 기준의 16~29% 미만으로 현재 정기적으로 관측되고 있는 연안 해수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먹는물 수질기준(염지하수)은 중수소 6.0Bq/L, 세슘-137 3.0mBq/L이며, 세슘-134는 별도의 기준은 없으나 식품 중 기준은 세슘-134와 세슘-137을 합산하여 영유아용 식품 및 원유‧유제품류 50Bq/L, 기타 식품 100Bq/L임
※ 국내 수질기준의 삼중수소와 세슘 기준치는 국제기준보다 10~100배 엄격한 수준임
□ 제주지하수연구센터 박원배 센터장은 앞으로
- 해양방사능 측정망에서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관측지점을 최대 20개 지점으로 늘리고 연 4회 관측을 수행하는 등 감시를 강화할 것이며,
- 분석 결과를 정기적으로 도민들에게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위 : Cs – mBq/Kg; I, H- Bq/Kg)
모니터링 지점 | 세슘-134 (134Cs) | 세슘-137 (137Cs) | 아이오딘-131 (131I) | 삼중수소(3H) | ||||
---|---|---|---|---|---|---|---|---|
MDA | 측정결과 | MDA | 측정결과 | MDA | 측정결과 | MDA | 측정결과 | |
수원 | 0.99 | <MDA | 0.86 | <MDA | 0.33 | <MDA | 2.05 | <MDA |
대포 | 0.72 | <MDA | 0.73 | <MDA | 0.37 | <MDA | 2.14 | <MDA |
태흥 | 0.67 | <MDA | 0.69 | <MDA | 0.35 | <MDA | 2.14 | <MDA |
표선 | 0.77 | <MDA | 0.61 | <MDA | 0.35 | <MDA | 2.13 | <MDA |
삼달 | 0.66 | <MDA | 0.68 | <MDA | 0.40 | <MDA | 1.84 | <MDA |
온평 | 0.80 | <MDA | 0.81 | <MDA | 0.43 | <MDA | 2.14 | <MDA |
행원 | 0.75 | <MDA | 0.72 | <MDA | 0.41 | <MDA | 2.21 | <MDA |
※ 1차에서는 아이오딘-131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나 전 지점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고 반감기는 약 8일로 매우 짧은 것을 고려하여 향후 조사에서는 제외하기로 하였음
(단위 : Cs – mBq/Kg; H- Bq/Kg)
모니터링 지점 | 세슘-134 (134Cs) | 세슘-137 (137Cs) | 삼중수소(3H) | |||
---|---|---|---|---|---|---|
MDA | 측정결과 | MDA | 측정결과 | MDA | 측정결과 | |
조천 | 0.55 | <MDA | 0.60 | <MDA | 2.17 | <MDA |
수원 | 0.56 | <MDA | 0.59 | 0.76 | 2.28 | <MDA |
대포 | 0.56 | <MDA | 0.57 | 0.78 | 2.24 | <MDA |
태흥 | 0.56 | <MDA | 0.55 | <MDA | 2.28 | <MDA |
표선 | 0.51 | <MDA | 0.54 | <MDA | 2.28 | <MDA |
삼달 | 0.51 | <MDA | 0.44 | <MDA | 2.20 | <MDA |
온평 | 0.57 | <MDA | 0.63 | <MDA | 2.28 | <MDA |
행원 | 0.64 | <MDA | 0.67 | <MDA | 2.21 | <MDA |
JD종달1 | 0.48 | <MDA | 0.47 | <MDA | 2.23 | <MDA |
JW한장동 | 0.53 | <MDA | 0.51 | <MDA | 2.26 | <MDA |
※ JD종달1과 JW한장동은 해안지역에 위치한 제주 지하수 관측망 관측정으로 담수 중 방사성물질 농도 특성을 보기 위하여 모니터링 체계에 포함하였음
그림 1 염지하수 내 세슘-17 2차 모니터링 결과
그림2 향후 모니터링 추진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