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
---|
|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 보 도 자 료 | |
---|---|---|---|
배 포 일 | 2024. 2. 28(수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협력부 ☎ 064-729-0525 |
문 의
| 이성용 선임연구위원 ☎ 064-729-0509 |
읍면지역 생활복합문화공간 기본방향 및 조성방안 마련 |
---|
- 제주지역 민선8기 공약실천계획에 반영된 읍면지역 생활복합문화 공간 조성을 위해 생활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정의, 시설조사, 어떻게 추진할것인지를 마련코자 연구를 추진함
□ 생활복합문화공간은 기존 복합문화공간에 추가적으로 도민 생활편의와 관련된 기능이 복합된 공간이며, 도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면서 생활편의기능까지 겸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볼 수 있음
□ 읍면 소생활권 단위 생활복합문화공간 신규 조성 : 읍면지역의 문화향유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활복합문화공간을 조성
- 읍면 소생활권 단위로 예술과 체육 기능을 복합화한 공간 조성, 예를 들어 기존 문화예술 중심 생활SOC에 도민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 및 시설 추가를 고려함
□ 읍면단위 제주형 생활복합문화공간 설립 사업 추진 : 이미 조성되고 있는 읍면 이외의 공간에 제주형 문화 생활SOC 조성
- 도민들의 접근성이 중요하고, 특히 읍면지역인 경우 고령화, 100세시대로 인해 도보로 이용가능한 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생활권의 중심에 시설을 확보하는 것이 적정해 보임
□ 공공소유 노후 문화공간 활용 : 마을 내 공공소유, 마을소유 유휴공간을 마을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
- 읍면소유 유휴공간, 마을소유 유휴공간(마을 회관, 마을 복지회관, 기타 시설), 폐교, 빈집 등에는 문화적으로 활용가능하고 문화예술교육 활동이 가능한 공간들이 있음
□ 마을 내 민간소유 공간을 마을 문화공간으로 활성화 : 민간 소유 공간을 문화협약 등을 통해 마을 내 문화공간으로 가능토록 함
□ 생활복합문화공간 운영은 제주특별자치도 단위보다는 지역별 특성과 수요등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제주시⋅서귀포시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함
□ 기존의 유휴공간의 재생 및 활용되는 기능과의 공동 이용을 권장해 나가야 할 것임
- 활용되는 시설이라도 시설운영이 365일 이루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충분히 공동으로 이용이 가능함에 따라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에서는 기초 인프라인 건물, 시설에 대한 정비를 10〜20년 주기로 해주고 운영은 1년 단위로 도입 및 활용할 기능 및 시설을 읍면별로 특성에 부합되게 정하고 운영해 나가면 좋을 것으로 보임
□ 공간 명칭 체계화 필요
- 창작과 관람 중심의 예술중심공간, 복합문화공간, 생활복합문화공간으로 크게 구분하고 생활복합문화공간은 문화거점공간, 문화공유공간, 생활문화(예술)센터로 정의
□ 사용자 중심 문화공간 맵핑(재구조화) : 거점 문화 공간은 읍면에서 자동차로 15분 이내, 자동차 이용시 주차장 면수 50대, 버스 정류장에서 걸어서 5분 이내, 버스 정차 간격은 30분 이내(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문화버스 운영)
- 문화공유공간은 읍면 주거밀집 지역에서 걸어서 30분, 자동차로 10분 이내. 자동차 이용시 주자장 면수 10대(주차장이 없는 경우 공공 주차장이 걸어서 5분 거리 이내, 주차면서 10대 이상), 버스 정류장에서 걸어서 5분 이내, 버스 정차 간격은 30분 이내
- 생활문화(예술)센터는 읍면 주거밀집 지역에서 걸어서 15분 이내, 자동차로 5분 이내. 이용시 주자장 면수 2대 내외(공공 주차장이 걸어서 5분 거리 이내, 주차면은 10대 이상), 버스 정류장에서 걸어서 5분 이내, 버스 정차 간격은 30분 이내
□ 제주형 문화공간 제주도민 페르소나 : 70만 제주도민 모두가 걸어서 다다를 수 있는 문화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관점에서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문화공간까지 도달할 수 있는 거리 개념 표시
□ 문화공간 정보와 문화프로그램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운영 조직 필요
- 70만 제주도민에게 문화공간 정보를 알 수 있게 하고, 분기단위, 월단위, 주단위, 일단위로 문화정보와 문화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조직 필요
- 각 문화거점공간, 문화공유공간, 생활문화센터의 운영 인력에 대한 컨설팅, 멘토링, 코칭을 통해서 운영 역량을 향상하고 도민 피드백을 통해서 프로그램 수준을 높여가는 콘트롤 타워 필요
□ 운영활성화를 위한 조직 구상(안)
- 제주문화예술재단은 예술 중심 공간(창작 활성화 공간) 중심으로 직접 또는 공기관 대행사업 실행 : 예술공간 이아, 예술곶 산양, 가파도레지던시, 산지천 갤러리 등
- 장기적으로 광역 문화도시 재단 필요 : 광역문화도시재단은 문화예술지원 중심 재단과 다른 제주도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문화거점공간, 문화공유공간, 생활문화(예술)센터의 공간 관리/운영/컨설팅/평가의 콘트롤 타워와 문화로 사회문제 해결을 하는 허브 역할
- 서귀포시 문화도시센터와 읍면복합문화공간 정책 : 단기적 관점에서 시범사업으로 산북 산남 문화불균형 해소 및 생활복합문화공간 운영관련 해서 서귀포시 문화도시센터를 활용해서 서귀포권 운영콘트롤 타워 역할을 하면서 문화거점공간 민간위탁, 문화공유공간 운영체계화, 생활문화센터 운영활성화의 역할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