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실태는 개선되고 있으나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율 높아 전문기관 관리가 필요

    2024-03-27 15:49:03
  • 작성자관리자 (manager) 조회수254

  • 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null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4. 3. 27(수요일)

     

    담당부서

     

    제주지하수연구센터

     

    문 의

     

    김미진 연구원

    064-729-0643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실태는 개선되고 있으나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율 높아 전문기관 관리가 필요

      

    제주지하수연구센터(센터장 박원배)2022~2023년 개인하수처리시설 방류수가 제주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관리 실태는 향상되었으나 방류수 수질은 아직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기관에 의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개인하수처리시설이 밀집된 조천·애월지역 194개소를 대상으로 관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85개소(44%)가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2019(13%)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개인하수처리시설 현황 : 10,977개소(애월읍 2,370, 조천읍 1,857)

    - 이는 2020년부터 양 행정시에서 집중적인 점검과 함께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의 필요성과 방법 등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홍보한 효과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방류수 수질은 80개소 중 총대장균은 모두 기준 이내였으나,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75%, 부유물질(SS)71%, 총질소(TN)78%, 총인(TP)86%가 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질산성질소는 최대 42.9mg/L, 암모니아성질소는 최대 104.1mg/L높게 검출되고 있는 등 자체 관리로는 한계가 있어 전문적인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또한, 개인하수처리시설 주변 지하수 37개소에 대한 수질 분석 결과 질산성질소가 최대 15.0mg/L(먹는물 수질기준 10mg/L) 검출되는 등 인위적 오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류수의 모든 샘플에서 카페인과 인공감미료(아세설팜)가 검출되고,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와 항생제(클래리트로마이신)80% 샘플에서 검출되었으며 지하수에서는 카페인이 대부분의 샘플에서 검출(79%)되었고, 유해지수가 높은 항경련제(카바마제핀)도 높게 검출되었다(62%).

    유해지수 : 각 물질별로 국내에서 보고된 농도를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허용농도로 나누어 계산한 것으로 1 이상이면 생태 위해성이 있다고 보고 있음


    박원배 센터장은 용존산소 농도가 높은 제주지하수의 특성상 미량오염물질 대부분은 생분해가 잘 이루어지지만, 일부는 분해가 어렵고 축적되어 인체와 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생활하수 오염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또한, 사람에서 유래한 미생물은 개인하수처리시설 영향이 비교적 낮은 지하수에서는 26.0 ~ 47.6% 존재하나, 영향이 높은 지하수에서는 46.1 ~ 64.1%로 높게 존재하였고, 병원성을 띠는 미생물도 검출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금년에는 지금까지 2년간의 조사·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외국의 개선 사례, 제주도의 적용 방안 등을 마련한 후 관련 부서, 전문가, 도의회, 시설 소유주 등의 의견을 수렴한 후 최적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할 계획이다.

    null_check

    그림1 개인하수처리시설 분포도 (2022년 기준)


    1. 지하수에서 미량오염물질의 검출결과 및 유해지수


     

    (단위 : ng/L)

     

    종류

    평균

    최소

    최대

    검출률

    국내 지하수 검출

    최소 최대

    유해지수

    Atenolol

     

     

     

    0%

    ND-0.73

    < 1

    Trimethoprim

     

     

     

    0%

    ND-0.15

    < 1

    Acetaminophen

     

    0.00

    3.17

    7%

    ND-0.65

    1.7

    Metoprolol

     

     

     

    0%

    ND

    < 1

    Sulfamethoxazole

    0.8

    0.0

    9.3

    70%

    ND-4.2

    < 1

    Caffeine

    1.31

    0.00

    10.41

    79%

    ND-15

    < 1

    Clarithromycin

    0.1

    0.0

    0.2

    8%

     

    < 1

    Carbamazepine

    0.3

    0.1

    1.0

    62%

    ND-0.26

    1.0

    Naproxen

     

     

     

    0%

     

    < 1

    Diclofenac

    3.2

    1.6

    5.5

    8%

     

    1.0

    Triclosan

     

     

     

    0%

    ND-1.67

    < 1

    Acesulfame

     

    0.00

    19.71

    20%

    ND-1,300

    < 1

    PFHxS

    1.1

    0.4

    4.7

    24%

     

    < 1

    PFOA

    2.9

    1.4

    5.2

    8%

     

    < 1

    PFOS

    5.9

    3.6

    9.9

    8%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