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
---|
|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 보 도 자 료 | |
---|---|---|---|
배 포 일 | 2025. 2. 11(화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부 ☎ 064-729-0540 |
문 의
|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 064-729-0615 |
읍면동별 인구변화 차이 뚜렷,“맞춤형 균형발전 전략 필요” -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제주 읍면동별 인구감소위험 분석」 발표 - |
---|
□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김세일 전문연구원의 JRI 정책이슈브리프 「2023년도 제주지역 읍면동별 인구감소위원 수준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내 지역별로 인구 특성이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23년 기준 인구감소위험지수 분석 결과, 애월읍과 조천읍, 대정읍을 제외한 모든 읍면지역이 인구감소위험지역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추자면과 우도면, 성산읍, 구좌읍, 남원읍 지역은 감소 고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 동지역 중에서는 서귀포시 구도심지역(송산동, 중앙동, 정방동, 천지동 등)과 제주시 구도심지역(일도1동, 용담1동, 용담2동 등)의 인구감소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분 | 해당 지역 | |
---|---|---|
감소 위험 지역 | 감소고위험 | 추자면, 우도면, 송산동, 일도1동, 중앙동, 정방동, 성산읍, 구좌읍, 천지동, 영천동, 남원읍, 예래동, 용담1동 |
감소위험 진입 | 건입동, 용담2동, 한경면, 한림읍, 표선면, 효돈동, 삼도2동, 삼도1동, 안덕면 | |
감소위험 주의 | 대정읍, 이호동, 이도1동 | |
감소위험 낮음 | 봉개동, 조천읍, 도두동, 화북동, 대천동, 일도2동, 애월읍, 동홍동, 중문동, 서홍동, 대륜동, 연동, 삼양동, 이도2동, 노형동, 오라동, 외도동, 아라동 | |
주: 인구감소지수가 높게 나타난 지역 순으로 표기 |
□ 김세일 전문연구원은 "제주지역에서는 읍면지역과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위험이 지속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제주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구 문제의 해결은 균형발전 차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며 "각 지역이 가진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별화된 정책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번 분석을 토대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발전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균형발전사업 공모 시 가점 부여 등을 통해 지역별 특화 발전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