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
---|
| 제주연구원 | 보 도 자 료 | |
---|---|---|---|
배 포 일 | 2025. 4. 2(수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부 ☎ 064-729-0540 |
문 의
| 박주영 부연구위원 064-729-0544 |
제주연구원, ‘제주 크루즈 산업 통계’ 구축 필요성 제시 크루즈노믹스를 위한 제주지역의 향후 과제 연구 - |
---|
□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침체되었던 크루즈관광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2024년 제주에 기항한 크루즈 선박 수는 279회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64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크루즈를 타고 제주를 찾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크루즈 기항지로서 제주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 그러나 크루즈 관광객 유입이 지역 경제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됨에 따라 크루즈 관광객의 개별 소비지출 확대는 물론 연관 산업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경제적‧사회적 부가가치 창출 방안 모색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 이에 제주연구원은 제주 크루즈관광의 향후 과제를
▲크루즈 관광객의 편의성 및 안전성 제고를 위한 수용태세 강화, ▲제주 크루즈관광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터미널 인프라 개선 및 확충, ▲제주 관광 매력 제고를 위한 제주 특화 기항상품 개발 및 홍보 강화, ▲크루즈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 극대화 기반 마련 등 4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주요 과제로는
▲체류시간 증대를 위한 CIQ 간소화 및 선상입국심사 확대 검토, ▲지속가능 크루즈 기항지를 위한 친환경 항만 인프라 구축,
▲STP 전략에 기반한 타깃별 기항 상품 개발 및 홍보 활동 전개, ▲크루즈 선용품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 체계 강화,
▲크루즈 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산업 통계 구축,
▲오버나잇 크루즈 및 플라이 앤 크루즈 유치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전략 수립 등이 포함됐다.
□ 특히, 크루즈 산업이 관광, 항만 운영, 선용품 공급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면서도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공식 통계가 부재함을 지적하였다. 이에 연구원은 ‘(가칭) 제주 크루즈 산업 통계’를 구축하고 국가승인통계 지정을 통해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를 통해 크루즈 관광의 경제적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도민사회에 실질적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관심과 수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또한 올 하반기 제주항과 강정항에 무인자동심사대 도입됨에 따라 크루즈 관광객의 출입국 절차가 대폭 간소화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짧은 체류시간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만큼, 이에 걸맞은 수용태세와 프로그램을 철저히 준비하여 제주가 세계적 크루즈 기항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 뿐만 아니라 ‘오버나잇 크루즈’ 및 ‘플라이 앤 크루즈’ 유치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한 야간 정박 시설 확충, 터미널 운영시간 연장, 야간관광 시설 확대 및 콘텐츠 개발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 나갈 것을 주문했다.
□ 제주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가 제주 크루즈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며 제주지역의 ‘크루즈노믹스’ 실현을 위해서는 지역 상권을 포함한 크루즈 관광 이해관계자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제주연구원 홈페이지(www.jr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