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의 지속가능한 균형발전 전략 방안 제시

    2025-04-15 08:19:52
  • 작성자관리자 (manager) 조회수54

  • 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null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_check

    제주연구원

    원장직무대행 박 원 배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5. 4. 15(화요일)

     

    담당부서

     

    연구기획부

     064-729-0540

     

    문 의

     

    이민주 부연구위원

    064-729-0529


    제주의 지속가능한 균형발전 전략 방안 제시

    제주연구원, 정책이슈브리프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제주의 지역여건 진단과 시사점발간

      

    제주연구원(원장직무대행 박원배)JRI 정책이슈브리프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제주의 지역여건 진단과 시사점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제주의 지역여건을 다각적으로 진단하고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균형발전지표는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역발전 수준과 삶의 질을 함고려한 정책 수립을 목적으로 각 지역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자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균형발전지표 원자료를 기반으로 시도 및 시군구 단위에서 제주의 전반적인 지역여건과 부문별 강·약점을 진단하고, 제주시·서귀포시의 여건도 비교 분석하였다.

     

    진단 결과, 제주특별자치도는 전국 17개 시도 중 지역여건 종합순위 13로 평가되었다.

    - 지역여건 중 상대적으로 양호한 분야는 문화·여가, 안전, 인구 부문이, 교육, 생산·분배, 생활환경 분야는 개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또한, 제주시와 서귀포시 간에도 지역여건 수준과 부문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 제주시는 전국 228개 시군구 중 76위로, 문화·여가, 생산·분배, 인구 부문이 양호하였고, 물가·재정, 안전, 보건·복지, 생활환경 부문에 개선이 필요하였다.

    - 서귀포시는 132위로, 산업·일자리, 인구, 주거 부문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고, 물가·재정, 교육, 문화·여가 부문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 연구를 진행한 이민주 부연구위원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안했다. 지역 교육 인프라 개선 및 인재 정착 지원 강화 지역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생산·분배 구조 개선 및 내수 활성화 추진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지속가능한 환경복지 향상 추진 등이었다.

     

    아울러, 이번 균형발전지표가 전국 단위의 상대 비교에는 유용하나 제주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읍면동 단까지 고려한 제주형 지역여건 지표개발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이민주 부연구위원은 정량적 지표에 기반한 진단은 지역의 강점보완이 필요한 영역을 보여준다, “제주의 특성과 생활권 격차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 수립과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제주연구원 홈페이지(www.jri.re.kr)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