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
---|
| 제주연구원 원장직무대행 박 원 배 | 보 도 자 료 | |
---|---|---|---|
배 포 일 | 2025. 4. 16(수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부 ☎ 064-729-0551 |
문 의
| 신우석 부연구위원 ☎ 064-729-0526 |
기후위기 시대, 제주가 나아가야 할 100가지 적응 전략 제시 제주연구원 2024년 미래기획과제 성과 발표 [개원 28주년 –기획연재 제1호] |
---|
□ 제주지역은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가뭄과 폭우 증가 등 극단적인 기후 현상으로 인해 농업, 어업, 생태계, 관광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감귤 재배지가 내륙으로 확대되고, 겨울철 대표 어종인 방어가 점점 북상하는 등 산업 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체계적인 적응 전략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 이에 제주연구원은 2024년 미래기획과제 중 하나로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 100대 아젠다」를 선정하고, 연구 성과물로 단행본을 발간했다. 연구팀은 기후변화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하고 ‘미래기후포럼’을 운영하며 기후위기 적응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 연구 결과, 제주가 기후위기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환경·생태계 ▲의료·보건 ▲기반시설·에너지 ▲산업·경제 ▲교육·문화·복지·사회 ▲재난·행정 등 6개 분야에서 총 100개의 기후위기 적응 아젠다가 도출됐다.
□ 특히, 이번 연구는 제주 고유의 지리적·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맞춤형 적응 전략을 제시하는데 집중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환경적·사회적 변화를 어떻게 수용하고 적응할 것인지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을 담고 있다.
□ 제주연구원 측은 “기후위기 적응은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우리가 직면한 현실적인 과제”라며, “제주 지역사회가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질적인 적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제주연구원은 앞으로도 기후위기 적응과 관련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논의를 확대할 계획이다.
□ 이번 연구 성과물은 제주연구원 홈페이지(www.jri.re.kr)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한편, 제주연구원은 2024년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미래기획과제로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 100대 아젠다 ▲제주경제 지도를 바꾸다 ▲제주의 미래를 보다 ▲제주공동체의 갈등과 화해 등 총 4건의 주제를 선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