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
|
담당 |
기획연구팀 |
726-6213 |
|||
2011년 1월 25일(화요일) |
문의 |
책임연구원 |
|
010-5482-8091 |
제주지역 철도시스템(경량전철 등) 도입을 |
□ 제주지역 신교통수단으로 철도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은 ▷인구 1인당 자동차 대수는 전국 최고 수준(0.43 대/인), 도로면적 밀도 서울시 다음으로 높은 수준(3.15㎞/㎢), 1인당 도로밀도 강원도 다음으로 높은 수준(5.72m/인), ▷ 도심 주요도로의 도로교통서비스 D등급, ▷ 도심주차난의 심화 등을 들 수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신교통수단(철도시스템) 도입 여건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철도가 없는 지역, ▷ 철도기술 발달에 의한 도시교통수단으로 도입여건 개선, ▷ 관광도시로서 매력도를 높힐 수 있는 수단으로 개선되었다.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양영오) 엄상근 책임연구원은 ‘제주도의 철도시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에서 제주지역 철도시스템, 특히 경량전철 중심으로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금번 연구에서는 제주의 지역특성, 교통 여건, 철도시스템의 유형 연구, 국내외 사례 등에 기초하여 철도시스템(경량전철) 도입의 기본 방안을 설정하였다. ① 제주지역은 국내 타 지역의 도시철도 도입조건인 대도시권 내부의 보조교통수단 도입과는 다른 목적으로 접근한다. ②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시문제인 침체된 도심의 활성화, 도심의 교통혼잡 개선 위해 도시철도를 도입한다. ③ 관광도시인 제주의 매력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철도시스템을 도입한다. ④ 경량전철 중 노면전차 형식의 10㎞ 내외로 건설한다. ⑤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시철도는 도심, 관광지 등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다양화하고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⑥제주지역의 철도시스템의 운영방식은 공공이 주체가 되어 운영한다. ⑦ 재원은 공공(중앙정부+제주특별자치도)이 공동으로 마련한다.
□ 또한 금번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철도시스템(경량전철) 도입방안으로 도심과 관광지역에 3개의 노선(안)을 제시하였다. 노선(안)은 제주시 도심, 서귀포시 도심, 중문관광단지 순환 유형이다.
▷실제 제주의 철도시스템(경량전철) 구체적인 노선 및 방식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사업타당성 연구결과, 수요분석, 비용분석, 도민의 의견수렴을 통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노선대안)
□ 제주발전연구원은 제주지역 철도시스템(경량전철 등)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으로 ①타 교통수단과 연계 및 도민공감대 형성방안(트램-버스-공공자전거 형태의 계층화, 노면전차와 버스를 공동 운영을 위한 (가칭)제주공공교통공사 설립 등), ② 사업비용과 효과 측면(전국에서 유일하게 철도가 없는 지역, 국내의 대표적인 관광지역인 점 강조 등의 정부에 차별화된 논리 제시 등), ③제주여건에 맞는 시스템 및 노선 선정(노면전차시스템의 도입,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단계별 도입 등), ④경량전철과 타 사업과 연계(트랜짓몰(Transit Mall) 조성과 연계,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사업과 연계 등), ⑤운영의 효율화 방안(교통신호체계, 요금체계 개선, 정거장의 랜드마크(Land Mark)화 사업, 제주의 관광홍보사업과 연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한편, 정부의 교통정책의 방향은 ▷ 도로중심에서 철도중심으로 교통정책의 전환, ▷ 철도교통 중심의 역세권개발(TOD), ▷철도와 보행자, 자전거 교통과 연계한 구도심활성화, ▷도시 내부의 경량전철(노면전차 등) 시스템의 도입 등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