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
보 도 자 료 |
담당 | 연구기획팀 |
064-726-6136 | |||
2013년 7월 18일(목요일) |
문의 |
고태호 책임연구원 |
|
010-7656-2222 |
제주의 새로운 먹거리 사업, 이너뷰티 산업의 가능성 제시 |
□ 제주발전연구원 고태호 책임연구원은 「고부가가치 제조업 발굴과 육성 방안」 연구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조업 육성 정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제주형 유망 제조업을 발굴하고, 이의 효과적인 육성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함
◦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목적으로, 제주지역에 적합한 제조업종을 선정하고, 이의 육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함
□ 제주형 유망 제조업은 ‘지역여건에의 적합성’, ‘지역경제 성장에의 기여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의 적정성’을 기준으로 도출함
◦ 제주형 유망 제조업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각 기준에 근거하여 산업입지이론 고찰, 제조업종별 규모 및 성장세 분석, 산업연관분석, 문헌연구, 전문가포럼 등을 통해 제주형 유망 제조업을 선별함
- 제주형 유망 제조업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지역여건에의 적합성은 제주지역의 섬이라는 지리적 여건과 기존 산업기반의 존재 여부 등 산업적 여건에 부합하는 제조업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임
․지역경제 성장에의 기여도는 해당 산업의 육성이 제주지역 경제에 유발하는 경제적 효과의 규모가 큰 제조업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의 적정성을 미래 성장성이 충분하며, 타 지역 및 타 산업에 비해 제주지역이 비교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제조업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임
- 이러한 기준에 의거하여 각 기준별 적합한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제주형 유망 제조업을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을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그림 1) 제주형 유망 제조업 선정 기준 및 과정
․지리적 여건 분석을 통해 제주형 유망 제조업의 유형으로 ‘지역 생물자원에 기반한 원료지향성 제조업’을 도출함
․산업적 여건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업종 중 지리적 여건에도 적합한 업종으로 음식료품 제조업및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등을 도출함
․지역경제 성장 기여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업종 중 산업적·지리적 여건에도 적합한 업종으로 음식료품 제조업, 화학제품 제조업(화장품 제조업)을 도출함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의 적정성 분석을 통해 음식료품 및 화장품 제조업의 미래 성장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건강기능식품’과 ‘유기농화장품’을 유망 품목으로 도출함
◦ 각 선정 기준별 분석 결과 및 기술 변화 트렌드 등을 감안하여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서 건강기능식품과 유기농화장품을 융합한 ‘이너뷰티 산업(Inner beauty industry)’을 제시함
- 최근 기술 변화 트렌드인 ‘산업간 융합’, 청정성이라는 ‘지역브랜드의 활용’, ‘지역 내 산업기반활용’ 등을 감안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서 이너뷰티 산업을 제시함
※ 이너뷰티란?미용 관련 전문 건강기능식품으로, 화장품과 식품의 경계에 속하며 관련 업계에서는 이를 새로운 틈새시장으로 공략하고 있음 -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13~15%의 성장률을 보이는 등 상당히 성장세가 높은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너뷰티 산업 TRL 단계 |
현 황 | 제도적 지원 및 인프라 구축 방안 |
기초연구단계 |
∘바이오융합센터추출물은행 및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생물자원DB 은행 운영 중 |
∘기능성 소재에 대한 기업의 접근성 강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비한 DB 구축 |
실험단계 |
∘제주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실험 장비 구축) ∘제주TP 및 제주대학교 기능성 소재 개발 사업 수행 |
∘원천기술 공유 체계 구축 ∘고시 원료 활용 및 개별인정형 원료 개발 병행 추진 기반 구축 |
시작품·실용화 |
∘제주생물자원스크리닝센터 및 바이오융합센터 운영 - 기업 제품 개발 지원 - 시제품 개발 지원 |
∘기능성 평가 시험 수행 지원 강화 ∘시제품에 대한 수요조사 지원 |
사업화 단계 |
∘제주TP 수출상담회, 물류 유통 정보 교류 체계 구축 등 |
∘이너뷰티 제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 전략 구축 ∘공동 생산지원 기반 구축 ∘정책 지원의 집중과 선도기업 육성 전략 마련 ∘제도개선을 통한 이너뷰티 산업 성장 모멘텀 마련 |
◦ 효과적인 산업기반 확충을 위한 기업 유치 방향을 설정하고, 일반적인 기업 이전 과정에서의 인센티브 현황 분석을 통해 이전 과정별 인센티브개선 방안을 제시함
- 기업 유치 방안 도출에 앞서 효과적인 이너뷰티 산업기반 확충을 위한 기업 유치 방향으로 ‘파워브랜드기업 유치’, ‘산업공유지 형성 선도기업 유치’, ‘생산기능 이전 유도’를 제시함
<표 2> 기업 유치 방향
구분 | 내용 |
파워브랜드 기업 유치 |
이너뷰티 산업의 경우 제품의 신뢰성 등 브랜드 가치가 중요한 바, 경쟁력 있는 브랜드 가치를 지닌 기업의 우선적 유치 필요 |
산업공유지 형성 선도기업 유치 |
기업 유치를 통한 산업기반 확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주지역 내 부족한 기술수준을 보완하여 산업공유지 형성을 주도할 수 있는 선도기업의 선별적 유치 필요 |
생산기능 이전 유도 |
기업 이전에 따른 지역 내 경제적 효과 및 산업기반 확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기능과 함께 제품생산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우선적 유치필요 |
기업 이전 과정 | 현 황 | 인센티브 개선 방안 |
사업구상 및 사업계획서 작성 단계 |
∘지역 내 생물자원 등의 생산요소 관련 정보 접근성 강화 필요 ∘기업 이전 관련 정보 지원 강화 필요 |
∘지역 내 천연자원 관련 DB 구축 ∘PM(프로젝트 매니저)을 통한 사업구상 지원 |
이전 관련 기관 협의 및 인센티브 요청 단계 |
∘인센티브 부여 절차 간소화 및 인센티브 내역의 현실화 등 필요 |
∘이전기업 대상 인센티브 실효성 강화 |
인허가 취득 및 설비구축 단계 |
||
사업개시 단계 |
∘제품 생산 등을 위한 인력기반 강화 필요 ∘타 지역에 비해 높은 물류비 부담 해소 필요 |
∘고용여건 개선 지원 강화 ∘지역 내 물류기반 확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