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중국소비자를 겨냥한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수출전략 필요

    2014-12-01 21:49:48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2618

  • jdi 로고

    제주발전연구원


    보 도 자 료
    담당 연구기획팀
    726-6140

    2014년 12월 2일(화요일)

    문의

    한승철 책임연구원
    010-2689-2283

     

    중국소비자를 겨냥한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수출전략 필요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한승철 책임연구원은 정책이슈브리프 ‘중국의 수입시장과 통관·E-무역 동향에 따른 대응방안’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소비재 시장은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중국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해외제품을 구입하는 추세이므로 온라인을 통한 E-무역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중국의 소비재 수입확대에 따라 제주의 기업들도 경쟁이 치열한 우리나라 내수시장에만 머물지 말고, 중국 수출을 통한 판로개척이 필요

    ○ 기능성식품과 화장품의 경우 중국의 위생허가를 받는데 6개월~1년이 소요되므로 ‘중국 E-무역 시범지구’ 보세 사이트몰에 입점하는 식의 온라인 수출을 기본으로 하고 위생허가를 받은 후 점차 일반무역을 병행해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결과 요약>
    □ (중국 소비재 시장 변화)
    중국의 소비재 수입은 전체 수입증가율을 매년 상회하며, 전체 수입의 9.8%(2013년 1,903억달러)를 차지하였음
    ○ 중국의 대 한국 소비재 수입은 가전과 수송기계의 비중이 62%에 달하며, 최근 농산물, 뷰티용품, 화학제품, 주방용품의 증가세가 높음
    ○ 중국은 2010년 이후 수입통관 관련 규정을 강화하여왔으며, 2012년부터는 ‘국외 E-무역 시범지구' 실시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음
    ○ 인터넷 쇼핑 전성시대를 맞고 있는 중국의 온라인쇼핑 네티즌 수는 2014년 6월 현재 4억 354만명에 달하고, 소매시장에서 인터넷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3년말 8%에서 2014년 6월 14.5%로 증가

    □ (시사점 및 대응방안)한중 FTA 타결에 따른 기회요인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국수출이 가능한 제주산 품목 및 업체 수요 조사, 통관규제 강화 및 E-무역 실시에 대응 등 중국 소비재 시장을 겨냥한 수출전략 수립 필요
    ○ 중국의 수입품 중에는 제주에서 생산할 수 있는 농수축산가공품들의 수입증가율이 24%이상 되고 있어 이를 겨냥한 수출상품 개발 필요
    ○ 제주업체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은 중국의 위생허가를 얻어야 하는 제품이 많으므로, 일단 E-무역을 기본으로 하여 일반무역으로 넓혀가는 전략이 필요
    <표> 중국수입시장 및 통관․E무역 동향에 따른 시사점과 대응방안


    ○ 중국정부가 기획추진하고 있는 E-무역 시범지구 프로젝트 상의 보세사이트몰에 ‘제주마씸’을 입점하면 제주마씸 브랜드 상품들을 한꺼번에 중국소비자에게 판매 가능함

    ○ 제주제품의 수출을 위해서는 수입업체(수입상, 허가대행업체)의 역할이 매우 크므로, 중국 바이어들이 왕래하면서 윈-윈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그 일환으로 바이어하우스 운영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

    ○ 제주업체들에게는 중국 소비자의 온라인 해외직구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활용하기 위해 역직구(온라인 수출)에 대한 지식과 정보 교육 강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