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통합지리정보시스템(I-GIS)의 구성과 운영 방안은

    2015-02-11 03:48:14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1344

  • jdi 로고

    제주발전연구원


    보 도 자 료
    담당 연구기획팀
    726-6140

    2015년 1월 26일(월요일)

    문의

    강진영 책임연구원
    010-8191-2856

     

    통합지리정보시스템(I-GIS)의 구성과 운영 방안은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강진영 책임연구원은 정책이슈브리프 “통합지리정보시스템(I-GIS) 구성 및 운영 방안”연구를 통해 현재 구축되어있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고도화하여구축할 통합지리정보시스템(I-GIS)의 구성 방법과 운영 방안에 대해서 제안함
    ※ 지리정보시스템(GIS) : 지리공간정보를 디지털하여 수치지도(digital map)로 작성하고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재해․환경․시설물․국토공간 관리와 행정서비스에 활용하고자 하는 첨단정보시스템으로 정의됨
    ※ 통합지리정보시스템(I-GIS; Integra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향후 구축할 I-GIS의 구성 요소와 운영 방안을 도출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현재 환경자원의 보전을 위한 대표적인제도와 시스템 그리고이러한 제도와 시스템의 운영상에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해서 검토함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제도와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독일 도시생태현황도, 서울 도시생태현황도, 국가환경성평가지도 1.0 등의 국내외 사례 등을검토함. 이를 토대로 향후 구축할 I-GIS의 기본적인 구성과 운영방안은 아래와 같이 제시할 수 있음
    - 첫째, I-GIS 인자의 구성은 제주의 환경요소 중 구축할 수 있는 모든 자료(4개 대분류, 17개 중분류)를 구축하고 평가하여 등급화하여야 함
    - 둘째, I-GIS는 기존의 관리보전지역 뿐만 아니라 도시 지역까지 포함하여 평가하고,등급화하여야 하며, 이후 도시관리조례 및 시행규칙 또는 환경영향평가 조례에 I-GIS를 활용하도록 명문화하여야 함
    - 셋째, 위와 같이 구축된 I-GIS는 독일과 서울시의 도시생태현황도와 국가환경성평가지도의 역할처럼 보전지역 지정․확대 및 각종 계획 수립과 검토 시 활용하도록지침화 할 필요가 있음
    - 넷째, I-GIS는 현재 GIS 또는 환경자원총량관리시스템처럼 행정망을 통해서만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할 것임

    앞서 언급한 I-GIS의 구성 및 운영방안 중 조례 개정과 같은 법제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I-GIS센터(가칭)를 설립하여 운영함으로써 제주의 환경자원의 보전과 가치를 제고시킬 것으로 판단됨
    -I-GIS센터(가칭)는 위치정보 조회(GIS) 및 공간분석, 평가 사업별 환경정보 서비스, 각종 통계관리, 사전입지 자가진단, 유관기관 정보 연계와 같은 환경영향평가 정보 지원 분야와 I-GIS를 활용한 환경입지 컨설팅,전략환경영향평가 등 도시계획 분야의 업무 활용 서비스 등을 수행함으로서제주의 환경보전에 기여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