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
| 담당 | 연구기획팀 |
726-6140 | |||
2016년 12월 1일 | 문의 | 김태윤 선임연구위원 | |
010-9600-0965 |
“제주지역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기상산업 육성해야” - 제주를 우리나라 기상산업 육성 시범지역으로 - |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김태윤 선임연구위원은 ‘제주특별자치도 기상산업 육성 및 발전방안 연구’에서, 제주특별자치도 기상산업육성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제주지역 기상산업 종합계획 수립, 제주지역기상산업포럼 구성․운영 방안 등을 제안함
□ 지역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상산업 육성이 필요함
❍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곳이며, 산업구조 또한 농수축산업, 관광산업 등 날씨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 기상(날씨)이 산업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도민인식 조사 결과, 8개 산업군<제조업, 유통업, 외식업, 운송업(항공 및 해운), 건설업, 관광․레저업, 1차산업(농․수․축산업), 에너지(생산․관리)>에 대해 5점 척도 기준 평균 3.81로 나타나고 있어, 전체 산업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됨
- 산업별 영향에 대한 우선 순위는 1차 산업(평균 4.36), 건설업(평균 4.25), 관광․레저업(평균 4.21), 운송업(평균 4.06), 에너지업(평균 3.56), 유통업(평균 3.51), 외식업(평균 3.42), 제조업(평균 3.14)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제주특별자치도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기상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4개의 기상전문기관(제주지방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국가태풍센터, 고산기후변화감시소)에 315명의 기상전문인력이 상주하고 있음
- 도민들이 기상정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기상산업 육성 및 발전방안 마련이 필요함
□ 제주지역 기상산업을 육성․발전시키기 위해 다음의 사업을 추진함
❍ 기상전문기관 중심의 기상산업 기술 및 서비스 개발
- 제주에는 4개의 기상전문기관에 315명의 기상전문 인력이 상주하고 있어, 기상전문기관 중심으로 제주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기상․기후서비스를 개발함
❍ 기상관련 유관기관간 협업시스템 구축․운영
- 제주지역 기상전문기관, 기후변화적응 연구기관 등이 상호 협업시스템을 통해 제주지역 내 기상정보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함
❍ 기상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기상산업 지원체계 구축
- 제주지역은 매우 복잡한 기상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지역산업에 대한 맞춤형 기상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상산업 육성이 필요함
❍ (가칭)제주기상산업 R&D 센터 설치
- 기후변화적응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 정책 개발, 단위사업을 추진하는 각급 기관의 업무 체계화 등 기상정보의 생산, 유통, 소비단계를 체계화함
❍ 국가 기상산업 육성을 위한 시범지역 지정
- 제주는 기후변화 영향 연구에 가장 적합하고, 4개의 기상전문기관에 전문인력 상주, 다양한 산업군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의 용이하여 맞춤형 기상서비스 개발을 위한 국가 시점지역으로 지정하여 추진함
❍ 기상산업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기상전문대학원 설치
- 제주지역 기상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산업부문에 대해 보다 특화된 기상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므로 제주대학교에 기상전문대학원을 설치․운영함
□ 제주지역 기상산업육성 종합계획 등을 수립․추진해야
❍ 제주특별자치도 기상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 기상산업서비스를 활용, 맞춤형 기상서비스를 강화하여 1차산업, 건설업, 관광․레저업 등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함
❍ (가칭)제주지역기상산업포럼 구성․운영
- 기상전문기관, 기후변화적응 연구기관, 해당분야 전문가, 민간기상사업자, 날씨경영 전략산업군별 각종 단체 등이 참여하는 (가칭)제주지역기상산업포럼 구성․운영함
❍ (가칭)제주지역 기상바우처제 시행
- 제주지역 기상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상바우처제를 시행하는 등 기상산업 육성 기반을 구축함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