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
| 담당 | 연구기획팀 |
726-6140 | |||
2016년 12월 8일 | 문의 | 신동일 연구위원 | |
726-6144 |
‘음식관광 육성으로 제주관광 질적 성장에 기여해야’ 제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12개 과제 제시 |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신동일 연구위원은 ‘제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고부가가치 관광분야인 음식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표 콘텐츠로 음식관광을 육성하고, 고부가가치 실현, 다양한 제도 마련이 핵심이라고 보고 12개 주요 정책 과제를 제시
□ 연구배경 및 목적
◦ 일본 및 중국 등 주요 경쟁국들의 관광체험 중에 음식관광의 비중이 60% 이상을 보이는 상황에서 내도 내국인 관광객의 4.4%, 외국인 관광객의 4%만이 음식관광을 제주관광의 고려요인으로 생각하는 약점과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제주관광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질적 성장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함.
□ 정책 제언
1. 정책 방향
<그림>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정책 방향 | | 목표 | | 기대효과 | |
| | | | | |
대표 콘텐츠로 음식관광을 육성 | → | 제주관광의 다양화, 고부가가치화 | | 제주관광의 질적 성장 | |
| | | | ||
융복합으로 고부가가치화 실현 | → | → | |||
| | | | ||
제도 및 정책시스템의 개선 | → | |
2. 정책 과제(12개)
1) 음식관광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 음식관광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광시장별, 목적별 음식관광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
2) 제주지역 음식관광의 홍보 강화
◦ 제주 향토음식의 장점과 매력, 맛있게 즐기는 방법 등 제주음식을 보다 체계적으로 홍보하는 형식으로 개선
3) 향토음식의 계승 및 관광자원화
◦ 몸국, 빙떡, 쉰다리 등과 같이 제주의 문화를 고스란히 담을 수 있는 음식자원들을 적극적으로 관광자원으로 대중화하는 노력이 필요
4) 제주형 음식축제의 육성
◦ 하와이의 경우처럼 제주의 건강한 식재료를 홍보하고 지역주민들 생산물의 판로 개척, 지역 음식점들의 판매 촉진 등을 도모를 목적으로 추진
5) 제주음식의 스토리텔링 개발
◦ 음식과 함께 음식점에 대해서도 음식점이 생겨난 과정 및 역사, 관련 정보 등을 이야기로 만들어 관광객들이 음식과 이야기를 같이 체험
6) 제주형 퓨전음식의 개발 및 국제화
◦ 빙떡과 몸국, 전복죽 등도 전통의 조리법을 지키고 계승함과 동시에 대중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필요
7) 음식 테마거리의 활성화 지원
◦ 테마거리별 음식체험전, 이용후기 블로그 공모전, 테마거리별 이벤트 개발, 할인책자의 보급 등과 같이 상시적으로 관광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는 전략 마련
8) 음식자원 관광기념품의 개발 및 육성
◦ 제주마 가공식품, 흑돼지 가공식품을 비롯하여 제주만의 역사와 문화를 입힐 수 있는 휴대와 보관이 가능한 관광기념품을 공모전 등을 통해 개발
9) (가칭)제주음식관광육성위원회의 운영
◦ 종합계획의 수립을 위한 자문, 품질인증제의 시행, 우수업체의 포상 및 인센티브 지원 등 음식관광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 개발 및 협의
10) 음식관광 품질인증제의 도입
◦ 향토음식점 외에도 제주의 음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 가공식품, 기념품 등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사업체에 대해서도 적용하여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시행
11) 제주도음식관광종합계획의 수립
◦ ‘제주도음식관광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음식관광의 비전과 목표, 구체적인 전략 과제들을 도출
12) 산학관 협력을 통한 전문 인력의 양성
◦ 조리 전문 인력, 음식관광 마케팅 전문 인력, 음식관광 스토리텔러 등 음식과 관광을 융합하는 새로운 직업으로서의 교육 과정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