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
| 담당 | 연구기획팀 |
726-6140 | |||
2016년 12월 13일 | 문의 | 최영근 전문연구위원 | |
010-2692-1031 |
올해 제주 개최 스포츠대회 생산유발효과 2142억원 제주발전연구원, 선수단 평균체류일수는 6일로 분석 |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최영근 전문연구위원은 ‘스포츠대회와 전지훈련의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연구보고서에서 2016년 스포츠대회 개최에 따른 연간 제주지역 내 생산유발효과는 2142억9천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968억7천만원, 취업유발효과 2,421명으로 분석. 또한 2016년 전지훈련 팀 유치에 따른 연간 제주지역 내 생산유발효과는 1266억7천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571억5천만원, 취업유발효과 1,765명으로 분석함
❍ 제주특별자치도의 스포츠대회 개최 및 전지훈련 팀 유치 전략의 추진성과를 객관적․합리적 진단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일환으로 연구함
□ 스포츠대회, 전지훈련 선수단 및 관계자 의견조사 결과
❍ 도내에서 개최된 스포츠대회와 전지훈련 참가자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올해 1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699명(스포츠대회 309명, 전지훈련 390명)을 조사함
- 제주환경에 적합한 스포츠 종목 : ① 해양스포츠(18.9%), ② 골프(15.9%) ③ 축구․야구 등 관람스포츠(14.7%) ④ 승마(11.7%) ⑤ 무도 스포츠(8.5%) ⑥ 마라톤 등 육상경기(6.5%) ⑦ 수영(6.0%) ⑧ 항공 스포츠(4.7%) ⑨ 등산과 트레킹(2.8%) 등으로 나타남
- 향후 제주지역에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스포츠산업 : ① 전지훈련(38.5%) ② 스포츠대회(35.7%) ③ 골프관광(11.7%) ④ 스포츠 서비스산업(9.0%) ⑤ 스포츠 의류산업(2.1%) ⑥ 스포츠 용품산업(2.0%) 등으로 나타남
- 스포츠산업 발전을 위해 시급한 투자분야 : ① 스포츠인프라 확충(22.5%) ② 스포츠 관련 전문인력 양성(20.2%) ③ 스포츠 관광상품 개발(18.5%) ④ 국제 스포츠대회 유치(15.9%) ⑤ 스포츠산업 육성 관련 법제도 정비(12.9%) ⑥ 스포츠 관련 연구기관 설립(8.0%) ⑦ 타 관광상품과의 연계(1.7%) 등으로 나타남
- 스포츠산업 발전이 제주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여도 : ① 기여함(60.1%) ② 보통(35.0%) ③ 기여 안함(4.9%)으로 나타남
- 제주도정이 스포츠산업 발전을 위해 시급한 지원정책 : ① 스포츠인프라 확충(19.0%) ② 전지훈련 팀 유치(14.9%) ③ 국내외 스포츠대회 유치(13.5%) ④ 생활체육 및 스포츠인구 증가(11.8%) ⑤ 접근성 제고(9.9%) ⑥ 스포츠관광객 유치(8.5%) ⑦ 스포츠관광 상품개발(8.3%) ⑧ 골프대회 및 골프관광객 유치(4.6%) 등으로 나타남
□ 스포츠대회 개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결과
❍ 1인당 1일 소비지출액과 평균 체류기간, 참가인원을 토대로 2016년 스포츠대회에 참가한 선수단 및 관계자(관람자)의 총 소비지출규모를 산출하면 체류기간 동안 총 2505억9천만원을 소비지출한 것으로 나타남(※ 스포츠대회에 참가한 선수단 및 관계자(관람자)의 평균 체류기간 : 6일)
❍ 2016년 스포츠대회에 참가한 선수단 및 관계자(관람자)의 소비지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 제주지역 내 생산유발효과는 2142억9천만원,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으로의 효과는 1019억9천만원으로 총(전국) 3162억7천만원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 옴
- 제주지역 내 부가가치유발효과는 968억7천만원,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으로의 효과는 294억9천만원으로 총(전국) 1263억7천만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가져 옴
- 제주지역 내 취업유발효과는 2,421명,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은 614명으로 총(전국) 3,035명의 취업유발효과를 가져 옴
□ 전지훈련 팀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결과
❍ 1인당 1일 소비지출액과 평균 체류기간, 참가인원을 토대로 2016년 전지훈련에 참가한 선수단 및 관계자의 총 소비지출규모를 산출하면 체류기간 동안 총 1594억8천만원을 소비지출한 것으로 나타남(※ 전지훈련에 참가한 선수단 및 관계자의 평균 체류기간 : 19일)
❍ 2016년 전지훈련에 참가한 선수단 및 관계자의 소비지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 제주지역 내 생산유발효과는 1266억7천만원,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으로의 효과는 625억2천만원으로 총(전국) 1891억9천만원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 옴
- 제주지역 내 부가가치유발효과는 571억5천만원,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으로의 효과는 183억5천만원으로 총(전국) 755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가져 옴
- 제주지역 내 취업유발효과는 1,765명,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은 388명으로 총(전국) 2,153명의 취업유발효과를 가져 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