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지역 가구특이성을 고려한 에너지복지 지원 방안

    2016-12-22 00:18:55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2554

  • jdi 로고

    제주발전연구원


    보 도 자 료

    담당

    연구기획팀

    726-6140

    2016년 12월 22일

    문의

    김현철 연구위원

    010-6804-1228

     

    제주지역 렌터카사고 분석 및 감소방안 연구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의 김현철 연구위원은 ‘제주지역 가구특이성을 고려한 에너지복지 지원 방안’ 연구에서 기존 도내 에너지 복지 현황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음.

     

    1. 연구의 필요성

    ❍ 최근 인구 변화와 그에 따른 패턴이 가구구성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에 따라서 에너지 정책도 이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 되고 있음.

     

    ❍ 예를 들어, 에너지지원 사업에서 지역 특이적인 가구특성을 고려한 지원기준을 설정하고 기존 지원방법과 지원내용이 이에 부합되는지 여부에 적합한지 가구특성별 에너지소비지출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

    에너지 복지를 포함한 지역 에너지 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거주하는 가구특이성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에너지 복지를 포함한 지역 에너지 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거주하는 가구특이성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2. 주요내용

    1) 에너지 복지 현황

     

    ❍ 저소득층의 에너지 소비 여건이 악화되고, 단전 등으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동절기마다 적절한 난방을 못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빈곤 관련 사건이 빈번히 발생

    현재 정부에서 지원화고 있는 에너지 복지는 “시설제품지원”, “요금할인”, 연료비지원“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지고 있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현재 도민들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에너지 복지사업은 크게 취약계층 LED지원사업,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 및 농촌지역 LPG저장탱크 설치 지원 및 에너지바우처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있음.

     

    2) 가구특이성에 땨른 에너지지출패턴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회귀분석의 함의

     

    ❍ 총에너지 지출(전기와 가스)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 함의를 생각해 볼 수 있겠음.

    - 에너지 복지를 지원함에 있어 단순한 소득만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 같은 요인처럼 다양한 가구특이 요인도 고려 해 볼 만함.

    - 자가 주택이 아닌 경우처럼 에너지 소비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요인들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

     

    ❍ 전기 사용량에 대해서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음.

    - 추정결과는 총에너지 사용량의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약간의 차별성을 보이기도 함.

    - 또한 종속 변수인 연간 전기사용량을 분기별 사용량으로 변환 하여 실시한 분기별 추정은 연간 추정에서는 구분할 수 없었던 전기사용의 계절적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음.

     

    ❍ 전기 사용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오래된 주택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유효 할 것 이라는 함의를 나타낸다고 사료됨.

     

     

    3. 정책제언

    ❍ 주요국 에너지 정책 및 복지 관련 현황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 가구 특성에 부합하는 에너지 및 복지정책은 대상 확정, 가격보조, 주택 에너지 효율 향상, 교육과 홍보, 기존 복지 정책과 연계, 기존 에너지 정책과의 연계 등을 통한 방향으로 추진 필요

     

    ❍ 우리나라에서도 도입된 에너지 바우처 제도는 단기적으로 가격보조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주택/건물의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지원방법으로 전환하는 정책 고려 필요

     

    ❍ 이외에도 에너지 복지 확충을 위한 체계적 기반 구축관련 사업, 에너지 복지기금 설치. 운영 및 저소득층 주택에너지 효율 개선사업, Green Pricing제도, 에너지 제로 하우스 등과 같은 정책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