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
| 담당 | 연구기획팀 |
726-6140 | |||
2017년 9월 13일 | 문의 | 정지형 책임연구원 | |
726-6136 |
중국 해상실크로드 연계 교류폭 확대 제주연, 향후 대중국 진출 전략 제시 |
○ 제주연구원(원장 강기춘) 정지형 책임연구원은 『중국 해상실크로드 추진동향과 제주지역 연계방안』연구를 통해 중국 해상실크로드 주요 지역별 추진전략 및 경제역량분석과 향후 제주특별자치도의 대중국 교류협력 방안을 제안함
○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는 현재 진행 중인 장기 프로젝트로써 각 지방정부는 개혁과 더불어 지속적인 대외개방과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고 있어 지역발전 및 협력 차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제주의 경우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육상 실크로드와의 직접적인 연계성은 매우 낮으므로 해상실크로드와의 연계방안 모색이 필요함
○ 특히 해상실크로드의 주요 지역들은 대부분 경제발전도가 높은 연해지역 중심으로 개방화가 매우 빠른 지역이며, 해상실크로드 주요 지역들은 대부분 해양산업 및 해양관광 등과 연계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음
- 이와 함께 중국정부는 해상실크로드 추진 확대를 위해 중국 내 주요 항구를 중심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중국정부의 국내소비 확대를 위한 관광산업 육성정책 일환으로 크루즈 관광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우선적으로 이에 대한 연계성 모색 또한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해상실크로드와 제주지역 연계성 모색을 위한 교류협력체계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함
○ 첫째, 제주-중국 해상실크로드 주요 지역 간 거점도시 선정을 위해 각 지역별 경제규모 및 성장률, 관광산업 현황, 중국 내 크루즈 항구를 분석하였으며 제주특별자치도의 교류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접근성, 크루즈항 및 교류체결 여부를 비교분석 하였음
- 결과, 제주특별자치도는 우선적으로 산동성, 상하이, 절장성, 광동성 등 4개 지역과의 교류 확대 및 강화가 필요함
- 이와 함께 중국 정부 주도의 해상실크로드 거점지역인 푸젠성과, 크루즈 등 해양산업의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하이난성과의 교류협력체계 구축 강화가 필요함
○ 둘째, 크루즈산업의 협력강화, 해양관광협력기구(가칭) 조성을 위한 관광협력체계구축이 필요
- 중국정부는 크루즈산업 촉진을 위해 항구 인프라 개선, 크루즈 관광 서비스산업 육성, 크루즈 선박 확충, 크루즈 관광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크루즈산업의 협력강화가 필요함
· 하이난 해상실크로드 연구기지의 Liu Feng 주임에 따르면 하이난성은 2017년(싼야–베트남 하롱베이–다낭 노선), 2018-2019년(다른 성(省)과 연계한 싼야–오키나와, 후쿠오카–제주 등 일본과 제주 및 대만 노선) 개통, 2020년(싼야–베트남–말레이시아–싱가포르–인도–스리랑카 노선) 개설 등 차별화된 크루즈 노선 개설을 추진 중에 있음
- 따라서 제주는 단기적으로는 자매도시인 하이난성을 기점으로 '환남해' 크루즈 연계방안 모색을 통해 동남아시아 노선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인도-아프리카 서부노선과, 러시아-북미 북부노선에도 협력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중국 해상실크로드 주요 지역과 제주 간 단체장급 혹은 실무자급의 해양관광협력기구(가칭) 조성을 위한 관광협력체계구축이 필요
· 이를 통해 양 지역 간의 관광마케팅, 상품 및 자원개발, 관광활성화 등 관광발전이라는 주제로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함
○ 셋째,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해 인문교류 강화, 제주-중국 관광인력 공동양성, 한중 해상실크로드 싱크탱크 구축이 필요함
- 향후 주요 거점도시 선정과 '테마도시 협력(가칭)'을 통해 해양관광 전문 테마전 개최 및 공동 홍보마케팅 추진 등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문교류 강화가 필요
- 이와 함께 제주-중국 간 관광자원 활용 및 일자리 창출을 기여할 수 있는 관광인력 공동양성이 필요함
- 또한 해상실크로드 거점지역들의 지속적인 정책 모니터링과 전문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을 통해 협력체제 구축방안과 전략마련을 위한 한중 해상실크로드 싱크탱크 구축이 필요함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