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
| 담당 | 연구기획팀 |
726-6140 | |||
2018년 1월 11일(목요일) | 문의 | 이중화 책임연구원 | |
726-7422 |
제주연구원, 제주사랑상품권 경제적 파급효과 제시 |
□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이중화 책임연구원은 ‘제주사랑상품권 발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을 통해 제주사랑상품권 사용에 따른 제주지역 경제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제주사랑상품권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함
○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투입산출표를 생성하였으며, 2010‧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2010-2016년 기간 제주사랑상품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 및 제시함
- 제주사랑상품권 사용에 따른 제주지역의 생산유발효과는 2010년 127억 9,000만 원에서 2016년 166억 6,100만 원으로,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010년 58억 8,000만 원에서 2016년 78억 8,400만 원, 고용유발효과는 2010년 184명에서 2016년 225명으로 나타남
○ 2017년 8월부터 12월 기간 제주사랑상품권 소비규모를 예측하여, 2017년 제주사랑상품권 사용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전망하였으며, 1월-7월 기간 실제 회수액 64억 4,355만 원, 8월-12월 기간 예측된 42억 1,003만 원을 합산하면, 2017년 제주사랑상품권 소비규모는 106억 5,358만 원에 달할 것이 전망됨
□ 정책제언
○ 2017년 제주사랑상품권의 경제적 파급효과 제고 방안으로 3가지 측면에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
○ 첫째, "제주사랑상품권의 사용 범위 확대 방안"으로 제주사랑상품권의 유통범위인 특화거리와 골목상권에서 일반음식점과 세탁업, 동네빵집 등 골목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업종까지 이용범위를 확대하고 제주사랑상품권의 청년배당 역시 고려할 수 있음
○ 둘째, "제주사랑상품권의 사용 편리성 제고"로 2016년 제주지역 전통시장매출동향조사에 따르면, 전통시장 및 상점가 관련 불편사항 중 “신용카드 사용이 안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바 있으며, 이는 제주사랑상품권 온라인 유통의 필요성을 의미함
○ 셋째, "이용촉진 및 홍보강화 방안"으로 제주사랑상품권이 매년 2-3월과 9-10월 기간이 기타 기간보다 높은 소비규모를 보여, 지역 내 관련 기관 및 단체와 협력 강화, 온라인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 사용규모가 비교적 적은 기간 중 할인이벤트 등 추진을 고려할 수 있음
○ 끝으로 제주사랑상품권 환전 신청인의 익명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신청인 계좌별 ID를 배정하고,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부문을 구분‧관리한다면, 합리적인 정책발굴에 기초를 다질 수 있을 것임
□ 참고 자료
○ 성남사랑상품권의 청년배당의 사례가 대표적인 벤치마킹 사례로 꼽히면서, 10월 16일 전라북도는 전주, 군사시 등에 자치단체를 주체로 한 지역화폐 발행 및 활용을 촉진하고 있으며, 9월 경기도 안양시는 안양사랑상품권 관리 및 운영 조례안을 의결해 아동수당 등 각종 복지 수당을 지역화폐로 지급할 예정이라 함 - 2016년 주민등록 연앙인구 기준 성남시의 24세 인구는 1만 4,168명이며, 성남시에 3년 이상 주민등록 거주조건을 만족하는 청년배당 인원으로 1만 1,300명이 설정된바 있음 - 2016년 제주지역 24세 인구는 7,975명으로 성남시의 주민등록 거주조건에 해당하는 청년배당 비율을 적용한다면, 제주사랑상품권의 청년배당 추진 시 소요예산은 최소 약 63억 6,000만 원에서 최대 약 79억 7,500만 원에 달할 것으로 사료됨 |
1)성남사랑상품권 사용가능 가맹점 수는 2015년 5,277곳에서 2016년 7,100곳, 2017년 9월 7,679곳으로 확대됨
2 )온누리상품권은 개인이 30만 원 한도 내에서 현금 구매 시 5%의 할인율을 적용함
3)주민등록 연앙인구는 행정안전부에서 공표하는 연말기준 주2민등록인구를 기초로 연앙(年央)개념으로 재작성하여 제공되는 자료(예시: 2014년 주민등록 연앙인구 = 2014.1.1일과 2014.12.31일 주민등록인구의 산술평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