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
| 담당 | 연구기획팀 |
726-6140 | |||
2018년 1월 24일(수요일) | 문의 | 박원배 선임연구위원 | |
726-6142 |
다가오는 봄철, 가뭄이 두렵다 제주연구원, 스프링클러 위주 관수방법 개선 등 제시 |
□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박원배 선임연구위원은 2017년 강수량 부족과 2018년 봄철 기상전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자원 관리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 기상청에서 2017년 강수량을 분석한 결과
○ 제주지역 강수량은 773(제주)~1,917㎜(성산)로 기상청에서 10년 주기로 분석하는 평년(1981~2010) 강수량(1,143~1,967㎜)의 40~71% 수준이었으며
○ 특히, 지하수 주 함양지역인 고지대 지역의 강수량은 2,466(성판악)~2,937㎜(윗세오름)로 평년 강우량(4,501~5,031㎜)의 55~58% 수준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기상청의 2018년 봄철 기후전망 예측결과를 보면
○ 평균 기온은 평년 보다 높을 확률이 50%, 낮을 확률이 20% 수준이어서 기온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 강수량은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부족할 확률을 80%로 예측하고 있어 강수량 부족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이에 따라 제주연구원 박원배 박사는
○ 앞으로 현재의 부족한 강수량을 채울 수 있는 50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
○ 지하수 이용량 증가와 지속적인 지하수위 하강 등으로 불가피하게 해수침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 강수량 부족 현상은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앞으로 제주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은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따라서 박원배 박사는 이와 같은 가뭄 상황에 대한 해법으로
○ 가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취할 수 있는 방법은 공급 가능한 물을 추가로 확보하거나, 물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 제주도에서 추가로 물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당장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선조들이 행해왔던 “받아쓰는 물”문화에서 해법을 찾고 있다.
○ 즉, 우리 선조들은 지금처럼 수도꼭지를 틀어 놓은 채 세수나 설거지를 하지 않고 물을 세수대야 등에 받아 놓은 후 이용하는 등의 “물 조냥”정신을 본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 또한, 물 절약 일환으로 현재 수도법에서 의무화 되어 있는 절수기 설치 확대와 더불어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물 이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 절수기 설치 확대를 위해서는 일정기간 동안 설치비를 지원해 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 제시하고 있다.
○ 두 번째는 현재의 스프링클러 위주의 관수방법을 선진국에서 시행하는 점적관수나 지중관수 방법으로 개선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농촌진흥청 연구결과에 의하면, 점적관수나 지중관수는 스프링클러 방법에 비해 물 이용효율이 약 1.7배 이상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 현재의 농업용수 관수방법을 점적관수나 지중관수로 개선할 경우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이와 더불어 가뭄에 따른 지하수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상황실 설치를 제시하고 있다.
○ 현재 제주도에는 147개소의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 감시 관측정에서 지하수위와 염분농도를 실시간 관측하고 있으나
○ 한국수자원공사나 농어촌공사 같이 지하수 관측 상황실이 없어서 업무 담당자가 업무용 PC에서 지하수 관측망 서버에 접속하여 관측결과를 수시로 확인하지 않는 이상 수위하강이나 해수침투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 따라서, 지하수위 하강 추세나 해수침투 여부를 바로 확인 하고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수 관측 상황실 설치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