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가 인구소멸 위험? 청년이 떠나가고 있다

    2018-12-20 08:14:54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1082

  • jdi 로고​​

    제주연구원

    원장 김동전


    보 도 자 료

    담당

    연구기획팀

    729-0541

    2018년 12월 13일(목요일)

    문의

    고태호 연구위원

    729-0510

     


    제주가 인구소멸 위험? 청년이 떠나가고 있다

     

    □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고태호 연구위원은 「제주 인구소멸지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를 통해 제주지역 인구와 인구소멸지수의 추이 및 전망을 분석하고 향후 제주지역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인구정책 대안을 모색·제시함

     

    □ 제주지역 인구는 전국적인 저출산·고령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2010년 이후 급속히 증가한 사회적 증가 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 ; 순이동인구)로 인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2008~2017년간 연평균 1.8% 증가, 전국 평균 0.5%

    - 제주지역의 자연 증가 인구(출생아 수-사망자 수)는 최근 10년간 연평균 –8.1%로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사회적 증가 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는 2010년 이후 순유입으로 전환된 이후 연평균 34.7%(2010~2017년간) 증가함

     

    □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 증가는 제주지역 내 20~39세 사이의 청년층 비중을 높여 제주지역의 인구소멸 위험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 2017년 기준 제주지역 순이동인구(14,005명) 중 20~39세에 해당하는 인구는 전체 34.1%(4,776명)를 차지하고 있음

    - 제주지역 인구소멸위험지수 추이 분석 결과,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가 증가하는 2010년 이후 인구소멸위험 증가세가 점차 둔화된 것으로 나타남

    - 2017년 기준 제주지역 인구소멸위험지수는 0.864로, 현재 인구소멸 위험 주의단계에 해당하나 특·광역시 및 경기도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인구소멸위험이 가장 낮은) 수준임 *전국 17개 시·도 중 9위


    <표> 2008~2017년 기준 시․도별 인구소멸지수 분석 결과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전국

    1.509

    1.423

    1.344

    1.275

    1.199

    1.130

    1.070

    1.022

    0.984

    0.927

    서울

    2.001

    1.867

    1.709

    1.600

    1.482

    1.381

    1.300

    1.231

    1.182

    1.114

    부산

    1.474

    1.359

    1.261

    1.179

    1.090

    1.008

    0.941

    0.889

    0.842

    0.782

    대구

    1.627

    1.515

    1.420

    1.338

    1.237

    1.141

    1.062

    1.004

    0.955

    0.893

    인천

    1.970

    1.855

    1.746

    1.660

    1.566

    1.479

    1.396

    1.324

    1.275

    1.186

    광주

    1.927

    1.815

    1.704

    1.607

    1.490

    1.396

    1.305

    1.234

    1.172

    1.100

    대전

    2.016

    1.875

    1.770

    1.678

    1.574

    1.471

    1.374

    1.282

    1.223

    1.142

    울산

    2.435

    2.262

    2.116

    1.990

    1.854

    1.722

    1.610

    1.507

    1.413

    1.289

    세종

     

    0.846

    0.883

    1.126

    1.420

    1.515

    1.563

    경기

    1.988

    1.871

    1.770

    1.669

    1.569

    1.479

    1.399

    1.332

    1.286

    1.205

    강원

    0.945

    0.890

    0.837

    0.796

    0.753

    0.713

    0.679

    0.656

    0.639

    0.600

    충북

    1.115

    1.056

    1.013

    0.976

    0.935

    0.889

    0.850

    0.821

    0.795

    0.749

    충남

    0.937

    0.904

    0.884

    0.859

    0.834

    0.799

    0.764

    0.736

    0.715

    0.687

    전북

    0.901

    0.863

    0.828

    0.791

    0.745

    0.706

    0.671

    0.641

    0.619

    0.588

    전남

    0.672

    0.645

    0.618

    0.594

    0.566

    0.544

    0.524

    0.513

    0.498

    0.479

    경북

    0.886

    0.838

    0.807

    0.781

    0.740

    0.698

    0.661

    0.633

    0.605

    0.566

    경남

    1.260

    1.198

    1.144

    1.090

    1.030

    0.968

    0.917

    0.876

    0.837

    0.785

    제주

    1.246

    1.164

    1.091

    1.024

    0.967

    0.928

    0.911

    0.895

    0.885

    0.864

     

     

     

     

    소멸위험 매우 낮음(1.5 이상)

     

    소멸위험 보통(1.0~1.5 미만)

     

    주의단계(0.5~1.0 미만)

     

    소멸위험 보통(1.0~1.5 미만)

     

    소멸고위험지역(0.2 미만)

     

     

     

    □ 그러나 2018년 4월 이후 제주지역 청년층 인구의 전출 증가에 따라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음

    - 2017년 기준 제주지역 순이동인구는 월 평균 1,165명이었으나, 2018년 4월 이후 월 평균 894명 수준으로 감소함

    - 2018년 4월 이후 제주도로의 전입인구는 일정 수준 유지되는 반면 전출인구의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에 해당하는 25~29세와 35~39세의 전출인구 증가분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음

     

     

     

    (그림 1) 2018년 4~8월 간 연령별 전출인구 규모 증가분(2017년 동월 대비)

     

    □ 자연 증가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제주지역에서 순이동인구의 감소, 특히 청년층 인구 전출 증가는 향후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제주지역의 인구소멸 위험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됨

    - 제주지역은 타 연령층에 비해 노년인구(65세 이상)의 증가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전국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항아리형 인구 구조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됨

     

     

    (그림 2) 2020~2040년 제주지역 인구피라미드 변화(단위 명) (그림 3) 2020~2040년 전국 인구피라미드 변화(단위 명)

    주: 진한 색의 인구피라미드가 2020년, 연한 색의 인구피라미드가 2040년을 나타냄
    자료 : 국가통계포털 장래인구추계(2020~2040년)


    □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청년층의 전출인구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일자리」, 「문화」, 「주거」 관련 정책 대안을 제시함
      - 먼저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제주지역 청년의 수요를 반영하여, 상대적으로 사회적 평가가 양호한 공공부문에서 청년 수요에 맞는 일자리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써 민선 7기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더 큰 내일센터」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음
      - 다음으로 문화와 관련해서는 청년의 수요에 부합하는 문화서비스의 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현재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에서 추진 중인 「문화중개소 사업」의 내용적·공간적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마지막으로 청년층의 주거와 관련해서는 현재 추진 중인 주택 임차료 지원 및 행복주택 사업과 같은 정책사업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