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원장 김동전 |
| 담당 | 연구기획실 |
064-729-0524 | |||
2019년 1월 21일(월요일) | 문의 | 최영근 전문연구위원 | |
064-729-0523 |
“스타 마을기업 발굴, 공동체 수익모델 개발 필요” 제주연구원, 마을기업 31곳 실태조사 후 개선방안 제시 |
□ 도내 마을기업 관계자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판로개척 지원, 기업홍보 및 마케팅 지원, 마을기업 지정 및 재지정 관련 상담, 기업 기초컨설팅 지원 등이 시급한 지원 사업 분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실태조사 결과 마을기업 활성화(발전)를 위해서는 예산지원 확대, 마을기업에 대한 교육 및 홍보 강화, 사업장 및 작업장 등 공간지원 확대, 컨설팅 지원과 전문인력 지원, 판로개척 및 홍보 지원 등 전방위적 행정지원 강화가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 제주연구원 최영근 전문연구위원은 ‘제주지역 마을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를 이루는 중요한 조직체중 하나인 마을기업의 현황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마을기업 활성화와 마을기업의 지속가능성 담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결과
❍ 마을기업 대표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2018년 7월 23일부터 8월 17일까지 31일간 마을기업 31곳(1곳 미조사)을 개별면접 조사함
- 업종 : 제조업(38.8%), 농․임․수․축산업(29.0%), 도소매업(16.1%), 문화․예술․관광서비스(12.9%), 환경(3.2%) 등으로 나타남
- 총 매출액 : 5,000만원 이상(25.7%), 매출 없음과 2,000~3,000만원 미만(각 22.6%), 1,000만원 미만과 1,000~2,000만원(각 9.7%), 4,000~5,000만원 미만(6.5%), 3,000~4,000만원 미만(3.2%) 등으로 나타남
- 기업형태 : 영농조합법인(48.4%), 주식회사(29.0%), 협동조합(12.9%), 영농회사법인(9.7%) 등으로 나타남
- 주력상품 및 서비스 : 농수산물(26.7%), 농수산물 가공품(22.0%), 체험상품과 기타(각 17.1%), 제품 제조(7.3%), 음식과 전통주(각 4.9%) 등으로 나타남
※ 기타 : 교육서비스, 주차장 운영, 도소매 및 유통, 조경, 아웃소싱, 중고의류, 숙박업 등
- 마을기업 운영 시 애로사항(문제점) : 안정적 수익 창출(17.9%), 운영자금 부족(16.7%),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정책 미흡(15.6%), 전문인력 확보(13.3%), 마을기업 생산 재화 및 서비스 판로(11.1%), 신규 사업모델 개발(7.8%), 기업운영체계 구축과 적정수준 임대료의 사업장 및 작업장 마련 등으로 나타남
- 향후 해결과제 : 판로 확보(25.9%), 운영자금 확보와 상품 및 기술 개발, 네트워크 구축(각 16.1%), 실무진의 능력 배양(12.9%), 운영인력 확보(9.7%) 등으로 나타남
- 마을기업의 시급한 지원사업 분야 : 네트워크를 통한 판로개척 지원(38.7%), 기업 홍보 및 마케팅 지원(25.8%), 지정 및 재지정 관련 상담(16.1%), 기업 기초컨설팅 지원(12.9%), 마을공동창고 용도변경 지원과 도 차원의 행정적 지원(각 6.5%) 등으로 나타남
- 마을기업 활성화(발전) 방안 : 예산지원 확대(22.7%), 마을기업에 대한 교육 및 홍보 강화(18.2%), 사업장 및 작업장 등 공간지원 확대(13.6%), 컨설팅 지원과 전문인력 지원, 판로개척 및 홍보 지원 등 전방위적 행정지원 강화(각 9.1%) 등으로 나타남
□ 마을기업 활성화 방안
❍ 마을기업 실태조사와 관계자 심층인터뷰, 사례분석을 통해 도내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단계별․체계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함
- 단기는 1~2년 내 비교적 단기간에 수행할 수 있는 과제, 중기는 단기의 지속차원에서 3~5년 정도까지 수행되는 과제, 장기는 단기, 중기의 연장 또는 5년 이상 10년 정도의 비교적 장기적 관점의 과제임
❍ 먼저, 단기과제로써 제주형 마을기업 개념 정립, 장기발전 플랜 수립, 마을기업 지원기관의 역할 강화, 마을기업 관계자 협력체계 구축 및 정례화, 마을기업 가치 고취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육 내실화, 사회적경제 기업과 연계 강화, 마을기업 생산품 및 서비스 품질 제고, 마을기업 공동 홍보 강화, 사회공헌사업 확대 전개 및 지역주민의 지속적 참여 확대 등을 제시함
❍ 중기과제로써 지역주민과 공동체 의식 강화, 제주형 공동체기업 고유의 특성이 반영된 지원 확대, 재정 및 경영시스템 지원 확대, 마을기업 협의체 조직의 내실화, 소규모 지역단위 연합회 조직 및 지원 강화, 재능 나눔 풀(pool)위원회 구성과 멘토제도 도입․운영, 기업적 경영마인드 고취, 스타마을기업 발굴․육성, 제주형 마을기업 심벌(CI) 개발 등을 제시함
❍ 장기과제로써 도시형 마을기업 육성, 비즈니스 관계망 구축, 제주지역 마을특성에 적합한 정책지원 프로세스 도입, 젊은 청년층의 마을기업 지속적 참여 유도, 마을기업가(리더)의 양성, 마을공동체 사업과 마을기업 육성 사업 간 연계성 강화, 마케팅 및 판로지원 등 시장지향성 강화, 지역자원을 활용한 공동체 비즈니스모델(수익모델) 개발․구축, 업종 다양화 등을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