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도민과 함께 제주가치를 실현하는 정책 싱크탱크 |
|
제주연구원 원장 김 동 전
|
보 도 자 료
| |
배 포 일 | 2020. 1. 9. (목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소통부 ☎ 064-729-0542 |
문 의
| 박원배 선임연구위원 ☎ 064-729-0503 |
제주연, 농업용수 공급효율 향상 위한 개선방안 제시 - 공공 농업용 지하수의 누수량 조사, 시설개선 및 교육홍보 필요 - - 체계적 관리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 및 공급효율 분석도 이뤄져야 - |
□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이 공공 농업용 지하수의 누수량과 농업용수 공급의 문제점을 조사를 바탕으로 한 ‘제주도 농업용 지하수 공급효율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농업용수의 공급효율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제주연구원은 연구를 통해, 농업용수 공급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공 농업용 지하수의 누수량 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 현재 농업용 지하수의 누수조사는 지하수 취수량(공급량)과 농가별 농업용수 사용량을 조사해야하기 때문에 인력 및 예산, 소요시간이 많이 발생하나, 저수조의 수위 변동 특성에 따라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누수조사에 대한 인력 및 소요시간과 예산 등을 단축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연구원은 더불어 누수량 저감을 위한 시설개선 및 교육‧홍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농업용수 누수는 관로 연결부, 급수지선과 유량계 연결부, 유량계 동파, 수도꼭지 고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고, 일부 농업용수 관로는 지표로 노출되면서 파손의 위험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특히, 농업활동이 적은 시기에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장기간 방치되는 사례의 경우는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충분한 농업용수 확보가 가능하고, 농업용수 요금이 낮아 수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연구원은 이러한 누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분기지점 유량계 및 맨홀 설치, 농업용수 관로 표식 등 시설개선이 필요하고, 급수전은 농가에서 주기적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교육‧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 연구원은 농업용수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데이터 구축, 공급효율 분석, 농업용수 통합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 농가의 재배작물 특성 및 관로망도 등 기초데이터 구축을 통해 용수수요량을 재평가하고, 건축 및 도로 확‧포장에 따른 관로파손을 최소화해야 하며, 기초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망해석 등 공급효율 분석을 실시해 지하수 관정 간 연계방안 마련 및 누수위험지역 개‧보수 등에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 특히, 기초데이터의 변동사항을 지속적으로 조사‧보완하여야 하며, 가뭄 및 농업환경 변화에 따른 비상상황 예측 및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편, 제주연구원이 2019년 2월부터 8월까지 공공 농업용 지하수 관정 2공의 공급량과 농가 사용량을 모니터링 한 결과, 평균 유수율은 24.3~42.6%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저 유수율은 21.5%로 농가에서 농업용수 이용이 적을 경우 지체시간과 수압에 의해 누수량은 더욱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농업용 저수조 10개소를 대상으로 수위 변동을 측정하여 산정한 결과 누수량은 시간당 0.1~17.7㎥로 분석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