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연구원, 생활안전사고 특성 분석결과 제주지역 안전사고, 집‧가정에서 발생비율 높게 나타나

    2020-06-05 02:11:07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1074

  •  

     

     

     

    도민과 함께 제주가치를 실현하는 정책 싱크탱크

     

     

    제주연구원

    원장 김 동 전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0. 6. 5. (금요일)

     

    담당부서

     

     연구기획소통부

    064-729-0524

    yws0923@jri.re.kr

     

    문 의

     

    박창열 책임연구원

    064-729-0520

     

    제주연구원, 생활안전사고 특성 분석결과

    제주지역 안전사고, 가정에서 발생비율 높게 나타나

    - 일상생활속 사고예방 노력 강화 필요

    - 지역안전지수 관리체계 고찰 등 개선책 제시

     

    행정안전부는 지역별 안전수준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지역사회 안전정책을 가이드하기 위해 2015년부터 지역안전지수를 매년 공표하고 있다.

     

    우리 도는 생활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 노력(중장기 계획 수립, 국제안전도시 인증, 전문연구기관 컨설팅 등)에도 불구하고, 관련 지역안전지수가 전국 최하위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제주지역 안전지수는 타지역과의 격차를 줄여가고 있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에 비해 50% 이상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안전사고 구급건수의 차이를 주요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부분과 관련하여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5일 발간된 JRI이슈브리프 제주지역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현황과 향상방안에서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 특성, 지역안전지수 관리체계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주연구원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생활안전 분야 핵심지표 분석, 사고 발생특성 등을 토대로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을 위해서는

    - 첫째, 지역안전지수를 구성하는 핵심지표 기반 관리체계 구축과 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정례화를 통한 환류 운영체계 마련

    - 둘째, 안전 환경 및 수요가 지역마다 상이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사회 안전 실태 진단 및 맞춤형 안전개선사업 발굴

    - 셋째, 생활안전 분야를 포함한 6개 안전분야(생활안전, 화재, 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에 대한 핵심지표 분석 및 지수 관리체계 구축

    - 넷째,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는 집, 가정에서의 상해열상중독 유형의 발생비율이 높음에 따라 일생생활 속 사고예방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끝으로,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지역안전지수가 지역사회의 안전도를 모두 나타낼 수는 없지만, 도민과 관광객의 안전 불안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우리 도의 생활안전사고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사고다발지역에 대한 집중관리, 도민들의 인식 개선, 관광지의 안전수칙 위반 단속 강화 등 맞춤형 안전개선사업을 발굴하여, 핵심지표 기반의 관리체계를 운영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