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연구원, 마을기록 관리와 연계한 사업 방안 제시

    2020-07-31 02:19:22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1408

  •  

     

     

    도민과 함께 제주가치를 실현하는 정책 싱크탱크

     

     

    제주연구원

    원장 김 동 전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0. 7. 31

     

    담당부서

     

     연구기획소통부

    064-729-0524

    yws0923@jri.re.kr

     

     

    문 의

     

    현혜경

    책임연구원

    064-729-0527

     

    마을기록관리사업,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연계 가능

    제주연구원, 마을기록 관리와 연계한 사업 방안 제시

    -마을공동체 문화정체성 확립에도 기여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은 정책연구이슈브리프 325마을기록관리 사례를 통한 제주에의 정책적 시사점을 발간하였다. 이번 정책연구이슈브리프는 기록 자치에 의거한 마을기록관리 사업을 통하여 제주공동체의 문화정체성 확립을 비롯하여 문화브랜드 창출 및 새로운 일자리와 산업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기록물 관리는 한 사회 존립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고대사회로부터 공공기록물 관리 시스템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며, 20세기 근대 국가 성립 이후에는 공공기록물 관리에 대한 제도적 지원 장치가 대폭 마련되었다.

     

    이러한 기록물에 대한 관심은 20세기 말, 시민권의 성장과 함께 민간기록물 관리에 대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민간기록물은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못하면 대개 현존하기 쉽지 않다는 판단 하에 지역별 조례 등에 의거하여 민간기록물들이 수집관리되기 시작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전국 최초로 이 조례를 만들었다.

     

    21세기 들어서는 기록자치 개념이 등장하여 기존 민간기록물 수집관리방식과는 다른 차원으로 시민들에 의하여 공동체의 기록이 생성, 유통, 소비되는 순환시스템이 창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마을기록관리 사업들이다.

     

    제주연구원 현혜경 책임연구원은 마을공동체를 둘러싼 급변하는 환경에 직면하면서 주민들에 의한 마을기록관리 사업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마을공동체의 경험과 기억에 대한 기록을 공통 기반으로 하면서 두 가지 지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하나는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여 마을공동체의 회복 및 새로운 마을 정체성의 확립이며, 다른 하나는 문화산업의 활용과 더불어 마을 문화브랜드 및 국가자산을 창출하려는 것이다. 기록방식에서도 기존과 달리 다양한 분야를 망라한 융복합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지털기기를 전면에 내세워 디지털화하는 새로운 기록관리 방식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현혜경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의 경우 마을기록관리 사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방안 모색을 통하여 제주지역이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자원들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 하고, 미래 마을공동체 보호 및 문화브랜드와 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