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민과 함께 제주가치를 실현하는 정책 싱크탱크 |
|
제주연구원 원장 김 상 협
|
보 도 자 료
| |
배 포 일 | 2021. 2. 23(화요일) | ||
담당부서
| 연구기획소통부 ☎ 064-729-0541
|
문 의
| 고태호 연구위원 ☎ 064-729-0510 |
‘제주지역 9개 읍·면지역, 7개 동지역 인구소멸위험 직면, 핵심생산인구 전입 및 정착 지원 필요’ - 제주 읍·면·동지역 인구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결과 -
|
□ 제주연구원(원장 김상협) 고태호 연구위원은‘제주 읍·면·동지역 인구 분석 및 대응 방안’연구를 통해 제주지역 내 읍·면·동지역 단위에서의 인구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소멸위험지역을 제시하였다.
□ 2019년 기준 제주지역 내 읍·면·동지역 기준 인구소멸위험지역(인구소멸위험지수)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인구소멸위험지역(인구소멸위험지수) | |
소멸위험 매우 낮음 (1.5 이상) | 연동(1.52)ㆍ오라동(1.59)ㆍ노형동(1.61)ㆍ아라동(1.67) | |
소멸위험 보통 (1.0~1.5 미만) | 대천동(1.06)ㆍ화북동(1.08)ㆍ이도2동(1.32)ㆍ외도동(1.45)ㆍ삼양동(1.46) | |
주의단계 (0.5~1.0 미만) | 용담1동(0.53)ㆍ안덕면(0.53)ㆍ삼도2동(0.57)ㆍ건입동(0.57)ㆍ예래동(0.57)ㆍ조천읍(0.60)ㆍ용담2동(0.61)ㆍ애월읍(0.63)ㆍ삼도1동(0.66)ㆍ이도1동(0.72)ㆍ중문동(0.75)ㆍ도두동(0.83)ㆍ대륜동(0.84)ㆍ이호동(0.85)ㆍ일도2동(0.86)ㆍ봉개동(0.86)ㆍ서홍동(0.86)ㆍ동홍동(0.89) | |
소멸위험지역 | 소멸위험진입 단계 (0.2~0.5 미만) | 한경면(0.30)ㆍ일도1동(0.34)ㆍ구좌읍(0.37)ㆍ남원읍(0.38)ㆍ우도면(0.39)ㆍ성산읍(0.39)ㆍ중앙동(0.39)ㆍ송산동(0.40)ㆍ영천동(0.41), 정방동(0.43)ㆍ표선면(0.44)ㆍ천지동(0.45)ㆍ한림읍(0.46)ㆍ효돈동(0.47)ㆍ대정읍(0.48) |
소멸고위험 지역 (0.2 미만) | 추자면(0.16) |
□ 이번 연구에서는 핵심생산인구 및 고령인구를 고려한 별도의 인구지표를 개발하여‘제주지역 내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구분 |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 | |
1순위 지역 | 추자면·한경면·일도1동·구좌읍·우도면·남원읍·송산동·영천동·성산읍·효돈동·중앙동·정방동·천지동·예래동·표선면·한림읍 | |
2순위 지역 | 안덕면·대정읍·용담1동·건입동·용담2동·삼도2동·조천읍·이도1동·삼도1동 |
□ 이러한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의 지원 방안으로 ▲ 권역 정착지원센터 설치 ▲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에 대한 지역개발사업 우선 지원 ▲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 지원 대상 일자리·주거·교육(보육)서비스 지원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정착주민의 지역공동체 조성을 위한 조례⌟에 근거하여 설치·운영이 필요한 정착지원센터의 역할을 보다 체계화하여,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인 제주 동부 읍·면권역, 제주 서부 읍·면권역, 제주시 구도심권역, 서귀포시 구도심권역을 대상으로 설치·운영할 필요가 있다.
◦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을 지역균형발전지원사업, 도시재생뉴딜사업, 마을만들기사업 등의 지역개발사업 우선 지원 대상지역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ㆍ주거ㆍ교육(보육) 지원 사업이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에서 이루어질 경우,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