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민과 함께 제주가치를 실현하는 정책 싱크탱크 |
| 제주연구원 원장 김 상 협 |
보 도 자 료
| |
배 포 일 | 2022. 1. 20(목요일) | ||
담당부서
| 청정도시연구부 ☎ 064-729-0518 sanghoon@jri.re.kr |
문 의
| 손상훈 연구위원 ☎ 064-729-0518 |
“너무 많은 승용차, 마스 및 트램 추진으로 해결” -제주연구원, 승용차 보유 및 이용 감소 유도방안으로 제시 |
□ 제주연구원은 ‘제주지역 승용차 보유 및 이용 저감 방안 연구’를 통해 제주도민들의 승용차 보유와 이용 감소를 유도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도시교통수단 측면, 기존 교통정책 측면, 신규 교통정책 측면으로 구성된 실천 과제를 제시하였다.
□ 제주지역 승용차 등록대수와 승용차 통행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교통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교통정책 패러다임과 차별되고, 승용차 보유 및 이용 패턴을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 자가용 승용차 등록대수는 2016년 230,656대에서 2020년 265,340대, 승용차 통행량은 2016년 811,311통행/일, 2019년 887,319통행/일로 증가함
□ 승용차가 주 교통수단인 제주도민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모바일 설문 조사를 토대로, 교통수단 이용 전환 의향과 제주지역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승용차 보유 및 이용 감소를 유도하기 위한 신규 사업으로 마스, 트램, 교통행동관리를 제안하였다.
□ 마스(Mobility as a Service)는 승용차를 보유하는 비용 보다 낮은 수준으로 일정 요금을 월별로 지불하면 이용하고자 하는 교통수단(버스, 택시, 카쉐어링, 자전거 등)을 무제한 혹은 일정횟수 만큼 어디서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서비스를 의미하며, 이용자들의 경제성과 편의성을 담보하면서 도시교통문제를 해결하고, 교통 플랫폼 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추진이 필요하다.
□ 설문조사 결과 신규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도민들의 요구가 큰 상황이고, 새로운 교통인프라가 기존 교통인프라의 수준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주지역에 트램 도입이 요구된다.
□ 교통행동관리는 승용차 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교통수단과 상세한 이용정보를 제공하고 커뮤니티 중심의 캠페인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통행자의 교통수단 선택 변화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현재 교통행동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호주 퍼스, 미국 오스틴의 사례를 참고하여 제주에서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승용차 이용 규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통수단별 경쟁력이 다음과 같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버스정류장까지 거리와 시간 단축 시, 버스도착까지 대기시간 단축 시, 버스 통행시간 단축 시 승용차 대신 버스를 이용
- 택시 요금 인하 시, 대기시간 단축(택시가 현재 보다 더 잘 잡히고, 호출 시 빨리 도착) 시 승용차 대신 택시를 이용
- 카쉐어링 픽업 장소 접근성 개선 시, 편도서비스 이용 가능 시, 이용 과정 편리성 개선 시 승용차 대신 카쉐어링을 이용
- 안전한 자전거 전용 도로 추가 확보 시, 밝고 오픈된 보행 공간 확보 시, 보행 공간 확대 및 신설 시 승용차 대신 보행/자전거를 이용
□ 주차수요관리 측면에서 기존 주차유료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주차장 확보를 위해 공영주차장 건설, 내집차고지 갖기 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승용차 보유 및 이용 저감을 위해서는 주차장 공급이 과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전 차종으로 확대된 차고지증명제는 강력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를 수행한 손상훈 연구위원은“승용차를 통해 개인은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을 보다 생산성 있고 편리하게 영위할 수 있지만, 승용차가 증가한 만큼 도시교통측면의 사회적 비용이 초래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승용차의 보유와 이용은 적정 수준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