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과 함께 제주가치를 실현하는 정책 싱크탱크 |
| 제주연구원 원장 김 상 협 |
보 도 자 료
| |
배 포 일 | 2022. 2. 22(화) | ||
담당부서
| 연구기획협력부 ☎ 064-729-0541 |
문 의
| 조남운 책임연구원 ☎ 064-729-0504 |
제주에 특화된 인공지능 산업클러스터 필요하다 - 제주연구원,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 정책 제시 - 지역 GPU 컴퓨팅센터 구축도 제안 |
□ 디지털정책에서 인공지능(AI) 부문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중앙정부도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수립하는 등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기술 수준은 해외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기술 도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도입에 따른 기대도 높은 편이다.
□ 정부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큰 틀에서 인공지능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며,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의 자발적 참여와 운영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려는 목표로 중장기적 투자를 통해 인적자원을 깅화하는 한편 인공지능 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역시 현재 추진중인 제주형 디지털 뉴딜 정책에서 인공지능을 빅데이터와 함께 핵심적 기술로 인식하고 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 제주는 2021년 10월에 발표한 정부의 ‘인공지능 지역확산 추진방향’에 맞춰 실증에 용이한 제주 지역 특성에 기반한 다양한 디지털 사업을 추진중이다.
□ 제주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인공지능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제주내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를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기에 인공지능 관련 학계, 정보통신산업(ICT) 관계자, 연구소, 관련 정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제주내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의 현황과 진흥 방안에 대해 조사하였다.
□ 조사결과 도내에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연구개발하는 조직은 제주대학교의 인공지능 연구실과 소수의 정보통신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공지능 관련 업계가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에 비해 취약한 상황이었다.
□ 특히 인공지능 산업 관계자들은 인공지능 관련 인적 자원 확보의 어려움을 활성화의 걸림돌로 지적했다.
□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 필요한 것은 제주에 특화된 부문의 인공지능 산업 클러스터 형성으로, 이를 위해 제주는 인공지능 관련 서비스의 적극적 추진과 계산자원 지원 등을 통해 마중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장기적으로 더 폭넓은 부문의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지향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 공급 측면에서는 인공지능 관련 개발자들이 모이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기술 교육 프로그램, 인공지능 관련 스타트업 지원, 인공지능 계산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지역 GPU컴퓨팅센터 구축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 수요 측면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인공지능 수요의 잠재력이 있는 산업 관계자 대상 기술 교육 강화, 인공지능 기술 관련 수요-공급 매칭 플랫폼을 구성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표 1>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대응방향
분류 | 세부사업 |
개발자·기업 간 교류 및 협업 활성화 | 개발자와 기업 등 커뮤니티에 대한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 개발자 정주를 위한 열린 쉐어하우스 지원 |
AI 공공서비스 개발 | 적합한 분야의 공공서비스 개발 사업의 주체로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확보와 지원 |
AI 투자기반의 확대 |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대한민국펀드 활용 지역에 특화된 분야의 AI 기술에 초점 |
AI 스타트업 창업 지원 |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창업 지원을 강화 공모사업에서 일정 비율로 AI 스타트업에 대한 우선순위 |
관련 기업에 대한 AI 기술교육 지원 | 개별 기업의 자체 교육에 대한 지원 지역 내 ICT 기업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사업 진행 |
AI 기술에 대한 수요-공급 매칭 지원 | 소규모 매칭플랫폼 조성 중소벤처기업부의 인공지능 바우처 사업 활용 |
산업계의 AI 활용 지원 | 잠재적 AI 수요산업 관계자를 대상 업종별 기술교육 실시 AI 기술 활용을 위한 인프라 제공 |
중장기적 R&D 투자 | 지역 GPU컴퓨팅센터 구축 |
□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한 연구보고서의 원문은 제주연구원 홈페이지(www.jri.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연로 253 ( 오라이동 ) 253, Ayeon-ro, Jeju-si, Jeju-do|Tel.(064)729-0500|Fax.(064)751-2168
Copyright 2023. 제주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6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