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방안 제시

    2022-12-15 05:09:21
  • 작성자관리자 (jdi) 조회수276

  •  




     더 나은·더 행복한 제주를 위한 실용적 정책연구기관

     

    제주연구원

    원장 양덕순

     

    보 도 자 료

     

     배 포 일

     2022. 12. 15(목요일)

     

    담당부서

     

    연구기획협력부

     

    문 의

     

    신우석 책임연구원
    ☎ 064-729-0526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방안 제시
    - 제주연구원,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 제시

     

      

     제주연구원(원장 양덕순)은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기 위해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최근 정부는 탄소중립 사회 전환을 위해 에너지 다소비 시설인 환경기초시설에서의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배 이상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한편, 제주도도 탄소없는 섬 2030(CFI2030)’정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도 우선적으로 공공기관 및 시설에서의 에너지 저감 및 자립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의 에너지 현황 분석을 통해 에너지 자립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제주도가 한층 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앞장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 중 하루 500초과 시설 8곳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2020년 기준).

    - 공공하수처리장 8곳의 하루 유입 하수량은 234,549으로 전국 21,240,609과 비교하면 1.1%에 해당한다.

     

    2020년 유입 하수처리를 위해 사용된 에너지양은 13,184.2TOE인 반면 자체 에너지 생산량은 48.5TOE로 에너지 자립률은 0.4%로 조사되었다.

    - 2020년 기준 태양광 발전으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제주도 내 공공하수처리장은 총 4(제주, 서부, 동부, 대정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조사되었다.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의 환경여건(여유부지, 설치조건, 비용 등)을 고려할 경우 에너지 자립률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은 태양광 발전이 유력하며 8곳의 공공하수처리장의 유휴부지, 건물옥상, 주차장, 침전지, 물반응조 등에 태양광 발전을 설치한다면 연간 513.7TOE의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는 현재 에너지 자립률 0.4%에서 3.9%로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제주도 내 공공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자립률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광 발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제주형 공공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개념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분산에너지 특구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분산에너지 특구에서 생산(또는 잉여)되는 재생에너지를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연계해 에너지원(전력)으로 사용함으로써 부족한 재생에너지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간접적으로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방안이다.

     

    또한 공공하수처리장별 낭비되고 있거나 효율 개선이 필요한 부분(노후화 설비 및 최신 시스템 도입 등)들을 조사하여 에너지 진단을 통해 지속적인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 현재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라 연간 에너지 사용량 합계가 2,000TOE 이상인 공공하수처리장만(제주공공하수처리장만 포함됨) 에너지 진단을 받고 있다.

    - 따라서 제주공공하수처리장외 타 공공하수처리장에서도 에너지 관리강화를 위해 에너지 진단을 자체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원은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자립화 방안들이 아무쪼록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한 연구보고서의 원문은 제주연구원 홈페이지(www.jri.re.kr)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