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과 중국 중서부 지역 간 교류협력 방안

    연구책임 : 정지형|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07-15 |조회수 : 1412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4
    1) 연구방법 4
    2) 연구범위 4

    Ⅱ. 한중 지방정부의 교류협력 현황 6
    1. 지역간 교류협력의 이론적 배경 6
    1) 지자체 국제교류의 의의 및 필요성 6
    2) 지자체 국제교류 유형 및 형태 9
    (1) 자매결연과 우호협력 9
    (2) 기능별 유형 10
    2. 지자체 교류협력 및 제주 현황 12
    1) 대중국 교류 현황 12
    2) 제주지역의 대중국 교류 현황 15

    Ⅲ. 중국 중서부 지역 발전정책 및 주요 지역 경제역량 분석 21
    1. 중국 권역별 구분 및 지역균형발전 전략 21
    1) 중국 권역 구분 21
    (1) 중국 권역 구분 배경 21
    (2) 중국 권역 구분 유형 22
    2) 중국의 지역균형발전 전략 25
    (1) 중국의 지역 발전계획 및 발전단계 변화 25
    (2) 중국의 중·서부지역 발전계획의 배경 30
    2. 중국의 중·서부지역 발전계획 32
    1) 서부대개발 정책 32
    (1) 서부대개발정책의 주요 내용 32
    (2) 서부지역 발전계획 33
    2) 중부굴기 정책 37
    (1) 중부굴기추진의 주요 내용 37
    (2) 중부지역 발전계획 39
    3) 중국 중서부지역 발전성과와 전망 43
    (1) 중서부지역의 발전성과 43
    (2) 중국 중서부지역의 향후 발전계획 및 전망 50
    3. 중서부 주요지역 경제역량 분석 51
    1) 중서부 주요지역의 경제역량 비교 52
    (1) 경제 규모 및 산업구조 52
    (2) 시장 규모 및 소비시장 58
    (3) 대외경제 부문 60
    2) 중서부 주요 지역 경제규모 및 성장률 지표 61
    (1) 분석방법 61
    (2) 중서부 내륙지역(성급) 지역경제 지수 분석 64
    (3) 중서부 내륙지역(성급) 대외경제 지수 분석 71
    (4) 중서부 내륙지역(주요도시) 경제 지수 분석 77
    3) 중서부 주요 조사지역의 지역별, 성별 경제역량 평가 83
    (1) 안후이성(安徽省) 83
    (2) 허난성(河南省) 84
    (3) 후베이성(湖北省) 85
    (4) 충칭시(重慶市) 86
    (5) 쓰촨성(四川省) 87


    Ⅳ. 제주-중국 중서부지역 교류 협력체계 구축방안 89
    1. 제주 - 중국 중서부지역의 교류협력 기회 89
    1) 제주 - 중국 중서부지역의 교류 여건 89
    2) 제주 - 중국 중서부지역 교류 추진 전략 91
    2. 세부 교류협력 방안 94
    1) 분야별 교류협력 94
    (1) 지역특성에 따른 교류 94
    (2) 교류 주체별 협력체계 구축 98
    2) 한중 FTA를 활용한 지방정부간 교류협력 방안 100
    (1) 한중 FTA 협정문 상의 지방정부간 경제협력 100
    (2) 교류협력을 위한 한중 FTA 활용방안 104
    3) 협력사업을 통한 교류 확대 106
    (1) 중국 국유기업 활용 인적교류 확대 106
    (2) 주중국 대한민국대사관의 한중 우호주간행사 참여 108
    4) 對中 교류추진 타워 체계화 110
    (1) 교류정보 관리 체계화 110
    (2) 교류추진을 위한 기반 확대 구축 필요 111
    5) 지역별 지속적인 조사 연구 필요 113

    Ⅴ. 결론 114
    참고문헌 117
    부록 119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대학 육성방안 연구

    연구책임 : 홍정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07-15 |조회수 : 2232

    • 목 차 •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9
    3. 주요 선행연구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0
    4. 연구수행체계 및 기대효과 12
    1) 연구수행체계 12
    2) 연구의 기대효과 13

    제2장 주요 제도・계획・정책의 추진 배경 및 국내·외 사례분석
    1. 주요 제도・정책의 추진배경 검토 17
    1)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제정 17
    2) 제1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 추진 20
    3) 제1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시행계획 수립 추진 23
    2. 전국 지방대학 관련 동향 검토 26
    1) 전국 시·도의 추진여건 검토 26
    2) 정책 영역별 주요현황 검토 29
    3. 제주지역의 주요여건 검토 39
    1) 인구구조와 경제활동 인구 실태 39
    2) 지역내총생산(GRDP) 및 예산 실태 46
    3) 인적자원 및 고등교육기관 실태 55
    4. 지방대학 육성 추진 국내․외 사례분석 62
    1) 주요 국내사례 62
    2) 주요 국외사례 86
    3) 제주지역의 정책적 시사점 96

    제3장 제주지역 고등교육 권한이양 현황분석
    1. 추진경과 분석 103
    1) 초기단계 추진 현황 103
    2) 최근까지 추진 현황 104
    3) 규제완화 및 제도개선 종합 현황 105
    2. 제주특별자치도 특례 교육권한 이양현황 분석 108
    1) 제주특별법 상의 교육권한 이양 관련 특례조항 추진현황 108
    2) 외국교육기관 특별법 관련 특례조항 추진현황 109
    3) 고등교육법 관련 특례조항 추진현황 110
    4) 사립학교법 관련 특례조항 추진현황 111
    5) 사립대학 vs 외국대학의 설립․운영 비교 112
    6) 「제주특별자치도 대학설립․운영에 관한 조례」 4차 개정으로
    달라지는 주요사항 113
    7) 대학설립・운영 조례 제·개정 과정 115
    3. 제주지역 교육산업의 규제개선 사항 및 효과분석 118
    1) 일반교육 관련 규제개선 118
    2) 국제고등학교 및 영어도시 관련 119
    3) 외국인교육 관련 규제개선 121
    4. 평가 및 논의 122
    1) 교육산업 특례 적용 및 평가 122
    2) 논의 및 시사점 125
    제4장 제주지역 지방대학 육성 관련 설문조사 분석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1. 연구조사 설계 및 표본특성 131
    1) 연구조사설계 131
    2) 표본특성 134
    2. 조사영역별 분석 결과 136
    1) 지방대학 영역의 분석 결과 136
    2) 지역인재 영역의 분석결과 149
    3) 지역사회 영역의 분석결과 164
    3. 정책적 시사점 179
    1) 지방대학 영역의 정책적 시사점 179
    2) 지역인재 영역의 정책적 시사점 180
    3) 지역사회 영역의 정책적 시사점 181

    제5장 제주지역 지방대학 육성방안의 모색
    1. 기본방향의 설정 185
    1) 지방대학의 “특성화” 186
    2) 지역인재의 “글로컬화” 186
    3) 지역사회의 “연계화” 187
    2. 향후 제주지역 지방대학 육성방안 모색 189
    1) 지방대학 영역의 육성방안 189
    2) 지역인재 영역의 육성방안 193
    3) 지역사회 영역의 육성방안 198
    3. 추진시스템, 실행프로세스, 협력거버넌스 구축 203
    1) 추진시스템 구축 203
    2) 실행프로세스 정립 205
    3) 협력거버넌스 구축 206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의 종합 215
    2. 정책제언 219

    참고문헌 225

    [부 록]
    [부록 1] : 설문조사지 239
    [부록 2]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조례 251
    [부록 3]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255
    [부록 4]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263
    [부록 5] : 싱가포르 SkillsFuture Credit 프로그램 추진 및 제주의 시사점 270

    ABSTRACT 273
  • 제주지역 참깨를 활용한 6차산업 마을 조성방안

    연구책임 : 강승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07-15 |조회수 : 1726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참깨의 개요 4
    1. 참깨의 특징 4
    2. 참깨의 용도 8
    3. 국내외 참깨 수급동향과 유통실태 13

    Ⅲ. 6차산업화 개념 및 국내․외 선진사례 22
    1. 6차산업화 개념 22
    2. 국내 사례 28
    3. 국외 사례 39
    4. 시사점 48

    Ⅳ. 참깨의 산업화를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분석 52
    1. 조사 개요 52
    2.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 53

    Ⅴ. 제주지역 참깨를 활용한 6차산업 마을 조성방안 65
    1. 제주지역 참깨의 실태 65
    2. 제주참깨 6차산업 마을 조성방안 70




    Ⅵ. 요약 및 시사점 92

    참고문헌 94

    부록 : 설문지 95

    ABSTRACT 102
  • 제주지역 교통영향평가 제도개선 연구

    연구책임 : 손상훈|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07-15 |조회수 : 1547

    목 차

    I.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범위 2
    4. 연구 방법 3

    Ⅱ. 교통영향평가 제도 4
    1. 교통영향평가 법적근거 4
    2. 교통영향평가 대상 및 내용 35
    3. 교통영향평가 수행절차 43
    4. 교통영향평가 시행효과 53

    III. 선행연구 고찰 및 국내사례 조사 58
    1. 선행연구 고찰 58
    2. 타지역 사례 조사 76

    IV. 제주지역 교통영향평가 제도 개선 84
    1. 제주지역 교통영향평가 개선대상 84
    2. 제주지역 교통영향평가 개선방향 86
    3. 제주지역 교통영향평가 개선방안 87

    V. 결론 및 정책제언 128
    1. 연구 요약 128
    2. 연구의 한계 130
    3. 향후 연구과제 130
    4. 정책제언 131

    참고문헌 134
    Abstract 135
    부록 137
  • 제주지역 경제통계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07-15 |조회수 : 1482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국내·외 지역경제통계 현황 4
    1. 경제통계의 정의 및 현황 4
    2. 지역경제통계의 정의 및 현황 22
    3. 지역경제통계 관련 선행연구 30
    4. 해외사례 32
    5. 소결 : 시사점 37

    III. 제주지역 경제통계 실태조사·분석 39
    1. 제주지역 경제통계 작성실태 39
    2. 제주지역 경제통계 실태조사·분석 42

    IV. 제주지역 경제통계의 개선방안 48

    V. 요약 및 결론 54

    참 고 문 헌 56

    Abstract 58

  • FAO 세계수산대학 제주 유치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02-29 |조회수 : 1361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1
    3. 연구의 주요내용 ·······························································································1
    4. 연구의 추진체계 ·······························································································2
    II. FAO 세계수산대학의 유치 당위성 ···························································3
    1. 세계수산대학의 필요성 및 대한민국 설립 당위성 ···································3
    2. FAO 세계수산대학의 제주 유치 당위성 ·················································· 10
    III. FAO 세계수산대학의 유치 노력 및 여건분석 ··································· 12
    1. FAO 세계수산대학의 유치 노력 ································································12
    2. FAO 세계수산대학의 유치 여건분석 ························································ 15
    IV. FAO 세계수산대학의 제주 유치 방안 ················································· 55
    1. 입지 정정성 분석 ···························································································55
    2. 재정·부지·시설지원 계획 ··············································································60
    3. 향후 이행계획 ·································································································64
    V. 요약 및 결론 ······························································································· 75
    참 고 문 헌 ········································································································77
  • 제주지역 농촌마을3.0 모델 개발 연구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2-31 |조회수 : 161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2
    3. 연구 구성 3

    Ⅱ. 농촌마을 개발 관련 이론적 고찰 5
    1. 농촌의 위기와 가치 5
    2. 농촌개발 정책의 변화 11
    3. 새로운 농촌정책의 필요성 13
    4. 농촌마을 3.0 개념 17

    Ⅲ. 농촌마을 3.0관련 국내외 사례 22
    1. 한국의 농촌 사례 22
    2. 일본의 농촌 사례 32
    3. 시사점 종합 43

    Ⅳ. 농촌마을 3.0모델 적용 방향: 한경면 사례 45
    1. 한경면 마을 현황 및 변화 필요성 45
    2. 한경면 농촌마을 변화 발전 방향 50
    3. 한경면 농촌마을 3.0모델 과제도출 및 방향 57


    Ⅴ. 농촌마을 개발사업별 추진 방향: 한경면 대상 60
    1. 한경면 자산발굴 사업 60
    2. 한경면 매력성 제고 사업 74
    3. 한경면 콘텐츠 발굴 육성 사업 81
    4. 마을 창조인력 양성 및 소득 증대사업 95

    Ⅵ. 결 론 99

    참고문헌 103

    ABSTRACT 106
  •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을 위한 연구

    연구책임 : 강승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2-31 |조회수 : 1463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 방법 3
    4. 연구 대상 4
    5. 연구 범위 4
    6. 연구 내용 5

    Ⅱ. 제주해녀의 역사성 6
    1. 옛 문헌에 나타난 제주해녀 6
    2. 해녀의 명칭 8
    3. 제주역사와 함께해 온 제주해녀들 9

    Ⅲ. 제주해녀어업의 특징 15
    1. 수산물 생산 및 주민생계수단으로서의 기능 15
    2. 제주해녀의 지식체계 및 기술 21
    3. 제주해녀의 문화, 가치체계와 관련단체 31
    4. 현저한 경관과 지역자원관리 특성 45
    5.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증진 기능 48

    Ⅳ. 제주해녀어업의 현대적 의미 54
    1. 제주해녀의 어업유산 가치 54
    2. 강인한 여성성 상징 55
    3. 제주해녀의 공동체 문화 56
    4. 관광 등 산업적 가치 60
    5. 제주문화의 세계화 자원 61

    Ⅴ. 제주해녀 어업자원의 위협요인과 도전과제 62
    1. 제주해녀 어업자원의 위협요인 62
    2. 도전과제 65

    Ⅵ. 지속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노력 67
    1. 제주해녀 보호와 소득 향상 67
    2. 해녀문화 보전 71
    3. 해녀 수 유지시책 77
    4. 어업자원의 지속성 유지시책 82
    5. 제주특별자치도 농어업유산 보전 및 관리조례 제정 86

    Ⅶ.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에 따른 사회․환경적 영향 90
    1. 등재자원 간 연계로 제주브랜드 가치 향상 90
    2. 체계적인 보전․관리시스템 구축 91
    3. 입체적인 활용시스템 확립 92

    참고문헌 93

    ABSTRACT 97

    부록 100
  • 제주특별자치도 주거복지 개선방안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2-31 |조회수 : 1433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주요내용 2
    4. 연구의 흐름도 3

    Ⅱ. 현황 및 여건분석 4

    1. 주거복지 정의 및 주택정책 유형 4
    2. 주택 및 관련현황 9

    Ⅲ. 주거복지 확대방안 36

    1. 생애주기를 고려한 주택공급 및 주거비 지원방안 36
    2. 임대주택 공급 및 지원방안 41
    3. 주거환경개선 및 주거수준향상 방안 57
    4.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 59
    5. 주거약자를 고려한 지원방안 66
    6. 여건변화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 방안 69

    Ⅳ. 마무리 85

    참고문헌 87
  • 도민에게 듣는 청정과 공존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2-14 |조회수 : 1824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수행 방법 2
    4. 주요 연구 내용 4

    Ⅱ. 핵심가치 청정과 공존 선정 경위 및 의미 5
    1. 핵심가치 선정 경위 5
    1) 도민계획단 구성 운영 5
    2) 핵심가치 청정과 공존 도출 8
    2. 핵심가치 청정과 공존의 의미 8
    1) 청정과 공존 의미 해석의 전제 8
    2) 청정과 공존의 의미 11

    Ⅲ. 핵심가치 청정과 공존의 개념 설정 14
    1.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청정 도시 14
    1) 생태계 총량가치와 지켜야 할 자원 보전 14
    2) 보전과 이용이 조화되는 계획허가제 도입 16
    3) 수변 중산간의 종합적 관리 및 이용방안 마련 19
    4) 도민과 상생하는 에너지 자립정책 21
    5) 지하수 관리 및 수자원 확보방안 23
    6) 모두가 체감하는 깨끗한 자원순화사회 기반구축 25
    2. 편리하고 안전한 안심도시 28
    1) 건강하고 편리한 수준 높은 도시 기반 조성 28
    2) 국제수준의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 30
    3) 녹색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전면 개편 32
    4) 사람 중심의 친환경 저에너지 신교통체계 마련 35
    5) 사람과 물류의 접근이 편리한 광역인프라 개선 38
    3. 성장과 보존이 조화로운 성장관리도시 40
    1) 미래인구의 유연한 대응방안 마련 40
    2) 성장 유지 및 지역균형 발전 방안 마련 43
    3) 원도심 도시재생 전략 수립 45
    4) 제주경관 가치 창출 방안 마련 47
    5) 제주형 공유자원 활용 시스템 마련 50
    4. 자연과 기업이 상생하는 창조도시 52
    1) 지역이 주도하는 투자유치 체계 확립 52
    2)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생태계 구축 55
    3) 투자유치와 일자리의 선순환을 위한 인력수립 체계 구축 58
    5. 도민체감형 지속가능한 휴양 관광도시 60
    1) 제주지역 특성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강화 60
    2) 융복합 관광산업 육성 및 고부가가치 실현 63
    3) 제주형 창조관광 기반 구축 65
    4) 주민 밀착형 관광추진 체계 구축 68
    6. 도민이 행복하고 가치있는 문화 복지 공동체 도시 70
    1) 제주다움 문화 만들기 70
    2) 제주도민 공감 공동체 만들기 73
    3) 행복을 누리는 맞춤형 복지 공동체 만들기 76
    4) 제주사람의 가치를 높이는 평생교육 78
    5) 제주형 사회적 경제공동체 육성 81


    Ⅳ. 제주도민이 생각하는 청정과 공존 85
    1. 자연과함께 공존하는 지속간으한 청정도시 85
    1) 생태계 총량가치와 지켜야 할 자원 보전 85
    2) 보전과 이용이 조화 되는 계획허가제 도입 86
    3) 수변 중산간의 종합적 관리 및 이용방안 마련 88
    4) 도민과 상생하는 에너지 자립정책 89
    5) 지하수 관리 및 수자원 확보방안 90
    6) 모두가 체감하는 깨끗한 자원순화사회 기반구축 92
    2. 편리하고 안전한 안심도시 93
    1) 건강하고 편리한 수준 높은 도시 기반 조성 93
    2) 국제수준의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 95
    3) 녹색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전면 개편 96
    4) 사람 중심의 친환경 저에너지 신교통체계 개선 99
    5) 사람과 물류의 접근이 편리한 광역인프라 개선 99
    3. 성장과 보존이 조화로운 성장관리도시 101
    1) 미래인구의 유연한 대응방안 마련 101
    2) 성장 유지 및 지역균형 발전 방안 마련 102
    3) 원도심 도시재생 전략 수립 104
    4) 제주경관 가치 창출 방안 마련 105
    5) 제주형 공유자원 활용 시스템 마련 107
    4. 지역과 기업이 상생하는 창조도시 108
    1) 지역이 주도하는 투자유치 체계 확립 108
    2)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생태계 구축 110
    3) 투자유치와 일자리의 선순환을 위한 인력수급 체계 구축 111
    5. 도민체감형 지속가능한 휴양 관광도시 113
    1) 제주지역 특성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강화 113
    2) 융 복합 관광산업 육성 및 고부가가치 실현 114
    3) 제주형 청조관광 기반 구축 116
    4) 주민 밀착형 관광추진 체계 구축 117
    6. 도민이 행복하고 가치있는 문화 복지 공동체 도시 119
    1) 제주다움 문화 만들기 119
    2) 제주도민 공감 공동체 만들기 120
    3) 행복을 누리는 맞춤형 복지 공동체 만들기 121
    4) 제주사람의 가치를 높이는 평생교육 123
    5) 제주형 사회적 경제공동체 육성 124

    Ⅴ. 정책적 시사점 126
    1. 6대 도시 분야별 청정과 공존에 대한 중요도 126
    2. 28개 정책 목표별 청정과 공존에 대한 중요도 129
    3. 제주미래비전 핵심가치 청정과 공존의 의미 130

    참고문헌 132

    Abstract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