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대중국 주요 수출산업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2298

    목 차
    Ⅰ. 연구 개요 ······························································································ 1
    1. 배경 및 필요성 ····························································································· 1
    2. 목적 및 분석방법 ························································································· 2
    3. 선행연구와 차별성 ······················································································· 4

    Ⅱ. 제주지역 대중국 무역 현황 분석 ···················································· 5
    1. 제주지역 대중국 수출 현황 ······································································· 5
    2. 제주지역 대중국 수입 현황 ······································································· 9
    3. 제주지역 대중국 HS 2단위 품목 교역현황 분석 ··································· 13
    4. 제주지역 대중국 무역수지와 주요 흑자·적자 품목 분석 ················· 16
    5. 제주지역 대중국 수출입 규모 전망 ························································· 21

    Ⅲ. 품목별 무역경쟁력 분석 ···································································· 24
    1. 무역경쟁력 분석 방법 ················································································· 24
    1) 시장비교우위지수(MCAI: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 24
    2) 산업내무역지수(IITI: Intra Industry Trade Index) ································ 25
    2. HS 6단위 품목별 교역 빈도 분석 ····························································· 27
    3. HS 6단위 품목별 무역경쟁력 분석 ··························································· 29
    1) 제주지역 대중국 시장비교우위지수 분석 ············································· 29
    2) 중국의 대제주지역 시장비교우위지수 분석 ········································· 33
    3) 제주지역과 중국 간 산업내무역지수 분석 ··········································· 35

    Ⅳ. 한중 FTA의 제주지역 대중국 수출입 기회와 위협 분석 ·········· 38
    1. 한중 FTA 주요 내용 ···················································································· 38
    2. 한중 FTA 제주지역 대중국 수출 유망품목 분석 ·································· 41
    1) 중국양허표와 제주지역 대중국 수출 품목 ··········································· 41
    2) 중국양허표와 제주지역 무역경쟁력 품목 ············································· 46
    3. 한중 FTA 제주지역 대중국 수입 유망품목 분석 ·································· 48
    1) 한국양허표와 제주지역 대중국 수입 품목 ··········································· 48
    2) 한국양허표와 중국 무역경쟁력 품목 ····················································· 54

    Ⅴ. 요약 및 정책제언 ················································································ 57
    1. 요약 ················································································································· 57
    2. 정책제언 ········································································································· 60
    1) 한중 FTA 기회 활용 ·················································································· 60
    2) 무역경쟁력 제고 ························································································· 61
    3) 기업 교육 및 홍보 ····················································································· 61
    4) 공정한 지원제도 구축 ··············································································· 62
    5) 제주지역 대중국 수출촉진 T/F 활성화 ················································· 62
    참고문헌 ······································································································· 64
    Abstract ········································································································ 65
    부록 ··············································································································· 67
  • 2013년 기준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제주지역 산업구조 분석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2437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2

    Ⅱ. 제주지역 산업연관구조 분석 4
    1. 분석 대상 산업 4
    2. 제주지역 산업구조 분석 5
    3. 제주지역 산업연관구조 분석 9
    1) 생산구조 9
    2) 배분구조 13
    4. 제주지역 교역구조 분석 20
    1) 이출구조 20
    2) 이입구조 23
    3) 지역별 주요 교역품목 27
    4) 지역간 교역수지 28

    Ⅲ. 제주지역 산업연관효과 분석 31
    1. 생산유발계수 및 부가가치유발계수 31
    1) 생산유발계수 31
    2) 부가가치유발계수 35
    2. 감응도계수 및 영향력계수 37
    1) 감응도계수 37
    2) 영향력계수 39
    3) 핵심산업 선정(감응도 계수․영향력계수 기준) 41
    Ⅳ. 제주지역 주요 산업의 산업연관구조 분석 42
    1. 농림어업: 농업, 축산업, 임업, 수산업 42
    2. 음식료품 제조업 44
    1) 육류 및 낙농품 제조업 44
    2) 수산가공품 제조업 46
    3) 기타 식료품 제조업 47
    4) 비알콜음료 제조업 48
    3. 관광관련 산업 50
    1) 음식점 및 숙박업 50
    2) 스포츠 및 오락서비스업 51

    Ⅴ. 제주지역 산업 정책 방향 53
    1. 제주지역의 경제․산업적 성장 요인 53
    1) 제주지역의 경제적 성장 요인 53
    2) 제주지역 주요 산업별 성장요인 55
    2. 제주지역 경제․산업 성장과정에서의 한계 및 산업정책 방향 57
    1) 제주지역의 경제적 성장 과정에서의 한계 및 정책 방향 57
    2) 제주지역 주요 산업의 성장 과정에서의 한계 및 정책 방향 60

    Ⅵ. 연구의 요약 및 한계 64
    1. 연구의 요약 64
    2. 연구의 한계 및 과제 67

    【참 고 문 헌】 68
    【부 록】 69
    【ABSTRACT】 71
  • 제주시 도시지역 생활인프라 비교분석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1933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도시 생활인프라 정책 4
    1. 이론적 고찰 4
    2. 법적 검토 7
    3. 선행연구 고찰 및 시사점 11
    4. 생활인프라 정책 12

    Ⅲ. 제주시 생활인프라 현황 및 비교분석 17
    1. 생활인프라 현황 17
    2. 생활인프라 비교 분석 29
    1) 방법론적 절차 29
    2) 생활인프라 평가 지표별 가중치 분석 33
    3) 제주시 생활인프라 평가 지표 분석 36
    4) 종합 분석 50

    Ⅳ. 제주시 생활인프라 정책 52
    1. 생활인프라별 정책 우선순위 제안 52
    2. 생활인프라 주기적 평가방안 제안 59
    3. 계획·제도적 개선 제안 61


    참고문헌 63
    부록 1 : 제주시 생활인프라 비교분석 지표 전문가 대상 AHP 설문지 65
    부록 2 : 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 및 생활인프라 평가 지침 70
  • 제주형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연구

    연구책임 : 안균오|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1789

    목 차


    Ⅰ. 서 론 1
    1. 제주도 생태환경 및 문화경관 보존의 중요성 1
    2. 제주도 공공토지 활용의 문제점 5
    3.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의 필요성 10
    4. 공공토지 임대제도 연구의 목적과 방법 13

    Ⅱ. 공공토지 임대(대부) 법·제도적 여건 17
    1. 부동산임대차 기본법령(민법) 내용과 문제점 17
    2. 국·공유재산 개념과 법률 현황 22
    3. 국·공유재산 관리체계 30
    4. 국·공유재산의 관리 및 처분방법 34
    5. 국·공유지 개발방식 및 사업구조 51
    6.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을 위한 법·제도적 시사점 58

    Ⅲ. 국·공유재산 관리․운용 실태분석 64
    1. 우리나라 토지현황 분석 64
    2. 제주도 토지현황 분석 73
    3. 제주도 공공토지 관리·운용의 문제점 92

    Ⅳ. 공공토지 임대제도 국내·외 사례분석 96
    1. 국내 공유재산 관리·운용 실태분석 96
    2. 해외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사례 분석 108
    3. 국내·외 공공토지 임대활용 개발사례 분석 138

    Ⅴ.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의의 및 정책과제 164
    1. 공공토지 임대제도에 대한 이론적 논의 164
    2.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의 의의와 정당성 171
    3.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을 위한 기본원칙 176
    4.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목표 180
    5.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과제 183

    Ⅵ. 제주형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방안 195
    1. 장기임대방식 활용을 위한 단기적 제도개선방안 195
    2. 공공토지 임대제도 도입을 위한 중장기적 제도도입방안 209
    3. 공공토지 임대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212


    참 고 문 헌 219
    ABSTRACT 224
  •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연구

    연구책임 : 남윤섭|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2271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2
    3. 연구한계 및 기대효과 5

    Ⅱ. 제주 역사문화유산과 도시재생 6
    1. 역사문화유산의 활용 6
    2. 활용 가능한 제주 역사문화유산 9
    3. 도시재생 정책의 흐름 17
    4. 제주지역 도시변화와 도시재생의 움직임 22

    Ⅲ. 역사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31
    1. 사례 분석 개요 31
    2. 국내 사례 33
    3. 국외 사례 42
    4. 사례조사를 통한 준거 도출 65

    Ⅳ. 도시재생 정책제언 70
    1. 제주지역 도시재생의 핵심요소 70
    2. 도시재생의 정책제언 72

    Ⅴ. 결론 79
    참고문헌 81
  • 제주특별자치도 성과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책임 : 김정훈|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1593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4

    Ⅱ. 이론적 고찰 5
    1. 성과관리에 대한 이해 5
    1) 성과의 개념 5
    2) 성과관리와 성과평가 8
    3) 공공분야의 성과관리 9
    2. 국·내외 성과관리제도 11
    1) 국내 성과관리제도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11
    2) 국외 성과관리제도 14
    3) 국외 성과관리제도 검토 시사점 17

    Ⅲ. 성과관리제도 및 운영현황 21
    1. 제주특별자치도 성과관리 제도 현황 21
    1) 성과관리제도 기본방침 (2015 기준) 21
    2) 제도 현황 21
    3) 운영 현황 24
    2. 핵심이슈 및 개선 방향성 25
    1) 성과관리 체계 전반의 이슈 25
    2) 성과관리제도 이슈 26
    Ⅳ. 개선방향에 대한 구성원 의견조사 31
    1. 구성원 의견조사 개요 31
    1) 기간 및 대상 31
    2) 조사 방법 31
    2. 구성원 의견조사 결과 31
    1) 응답현황 및 응답자 특성 31
    2) 기본분석 - 성과관리제도 개선 필요성 32
    3) 기본분석 - 성과관리제도 개선 방향성 37
    4) 조직별 차이 - 성과관리제도 개선 필요성 38
    5) 조직별 차이 - 성과관리제도 개선 방향성 40
    6) 직급별 차이 - 성과관리제도 개선 필요성 40
    7) 직급별 차이 - 성과관리제도 개선 필요성 42
    8) 구성원 의견조사 결과 시사점 43

    Ⅴ. 개선방향성 모색 44
    1. Benchmarking 및 시사점 모색 44
    1) 국내 시도 성과관리제도 운영실태 Benchmarking 44
    2) 충청남도 직무성과 계약제 사례 Benchmarking 49
    3) 민간영역 성과관리 제도 Benchmarking 52
    4) Benchmarking 시사점 (종합) 56
    2. 중장기 성과관리제도 개선 방향성 57
    1) 제주특별자치도 성과관리제도 개선 지향점 57
    2) 단계별 이행 로드맵 60
    3. 단기 성과관리 제도 개선 방향성 61
    1) 제도 개선 案 61
    2) 운영 개선 案 63
    3) 제도운영 기반 개선 案 64

    Ⅵ. 결론 65
    1. 연구결과 요약 65
    2. 연구의 한계 68

    참고문헌 70

    <부록> 성과관리제도 개선 관련 구성원 의견조사 설문지 73

    Abstract 77
  • 제주지역 농식품의 할랄식품시장 진출 전략

    연구책임 : 김형길|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1626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범위와 방법 3

    Ⅱ. 국내식품 시장 및 제주지역 농·식품산업의 현황 4

    1. 글로벌식품산업과 국내식품산업 현황 4
    2. 제주지역 농·식품산업의 현황과 SWOT 분석 11

    Ⅲ 할랄 식품시장의 현황과 특성 및 할랄인증제도 17

    1. 할랄의 정의 17
    2. 할랄 산업 분야 18
    3. 글로벌 할랄시장의 현황과 특성 30
    4. 할랄 인증제도와 절차 39
    5. 국내 기업 할랄 인증 현황 53

    Ⅳ. 시장 진출 전략과 모형 67

    1. 시장 진출 전략 67
    2. 진출시장의 평가와 선택 69



    Ⅴ. 제주지역 농식품관련 업체 경영실태 및 할랄 인증 수요 조사 76

    1. 도내 주요 농식품 관련 업체 경영 및 할랄 인증 현황조사 76
    2. 농식품 관련 업체 할랄인증 수요조사 83
    3. 할랄인증을 받고자하는 기업 수요조사 84

    Ⅵ. 제주지역 농식품의 할랄식품시장 진출 전략 90

    1. 기반구축사업 90
    2. 지원시스템구축 92
    3. 시장진출전략 93



    참고문헌 95


  • 제주형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책임 : 좌정우|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2273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연구방법 5

    Ⅱ. 국내외 빅데이터 사례 분석 7
    1.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현황 분석 7
    2. 빅데이터 지원체계 분석 29
    3. 빅데이터 정보보안 체계 40

    Ⅲ. 제주지역 빅데이터 활용 현황 및 실태 분석 43
    1. 제주 지역특화산업 추진현황 및 실태 분석 43
    2. 공공기간 및 민간 기업의 빅데이터 사례와 구축 현황 51
    3. 제주형 관광 빅데이터 활용 모델과 데이터 현황 분석 55
    4. 제주형 에너지 빅데이터 활용 모델과 데이터 현황 분석 77

    Ⅳ. 제주지역 빅데이터 구축방안 85
    1. 제주형 빅데이터의 현상 이해 85
    2. 제주형 빅데이터 활용 우선순위 분석 87
    3. 제주지역 빅데이터 사업 활성화 방안 97
    4. 정책과제도출 127

    Ⅴ. 결론 141
    참고문헌 146
    부록 148
  • 제주지역 관광조직의 기능과 역할 재편 방안

    연구책임 : 오상훈|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1940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연구방법 3
    4.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효과 4
    5. 연구수행과정 5

    Ⅱ. 이론적 배경 6
    1. 조직 개념과 유형 6
    2. 관광조직의 기능 12
    3. 관광조직과 협력 23

    Ⅲ. 제주관광조직의 기능 현황 검토 30
    1. 국내외 관광 동향 30
    2. 제주관광조직 현황 40
    3. 제주지역의 관광조직과 기능 41
    4. 제주지역 관광조직의 문제점 70

    IV. 관광 조직의 기능과 역할 사례분석 73
    1. 국내 사례분석 73
    2. 국가 차원의 국외 사례분석 91
    3. 지방 차원의 국외 사례분석 114
    4. 사례분석 결과의 시사점 120

    Ⅴ. 이해관계자 조사 및 분석 129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129
    2.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133
    3. 조사 결과 135
    4. 분석 결과의 시사점 155

    Ⅵ. 제주 관광조직 역할 정립 및 재편방안 159
    1. 기본방향 159
    2. 기능과 역할 재편 방안 160
    3. 협력적 파트너쉽 체제 구축방안 171
    4. 정책제언 176

    * 참고문헌 179
    * 부 록 183

  • 사회적 자본을 활용한 제주지역 농촌공동체 활력화 방안

    연구책임 : 정기석|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5-11-30 |조회수 : 2045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 5
    3. 연구 방법 7
    4. 연구의 기대효과 9

    II. 사회적 자본 육성정책 13
    1.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의의 13
    2. 우리나라 사회적 자본 육성 정책 18
    3. 국내외 사회적 자본 육성 정책 사례 21

    III. 제주도 사회적 자본 육성정책과 정책사업 분석 29
    1. 제주도 사회적 자본 육성 정책 29
    2. 제주도 사회적 자본 육성 계획 33

    IV. 제주도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및 마을공동체 실태 36
    1.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특징 36
    2. 제주도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특징 41
    3. 제주도 농촌지역의 마을․지역사회 공동체 운영 실태 51
    4. 제주도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분석 및 평가 63

    V. 제주도 농촌공동체 활력화 전략 69
    1. 인적 사회적 자본 육성 전략 69
    2. 물적 사회적 자본 육성 전략 90
    3. 조직적 사회적 자본 육성 전략 99
    4. 플랫폼형 사회적 자본 육성 전략 107
    5. 사회적 자본을 활용한 농촌공동체의 활력화 정책과제 130


    참고문헌 141

    ABSTRACT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