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 방법 4
3. 주요 연구내용 5
Ⅱ. 2030세대의 실태와 현황 7
1. 세대, 청년 그리고 2030세대 7
1) 세대 7
2) 청년 9
3) 2030세대 12
2. 2030세대의 현황 및 정책 14
1) 2030세대 현황 14
2) 2030세대 정책 17
3. 2030세대의 특징과 라이프 스타일 21
1) 2030세대의 특징 21
2) 2030세대의 라이프 스타일 23
4. 2030세대의 생활 26
1) 전반적인 생활만족 26
2) 취업과 일자리 27
3) 결혼과 주거안정 28
4) 출산과 영유아 보육 28
Ⅲ. 제주 2030세대의 욕구 30
1. 조사개요 30
1) 조사목적 30
2) 조사대상 30
3) 조사방법 30
4) 조사내용 30
2. 분석결과 32
1) 인구통계적 특성 32
2) 2030세대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 33
3) 2030세대 전반적 생활만족도 37
4) 2030세대 취업과 일자리 39
5) 2030세대 결혼과 주거안정 44
6) 2030세대 출산과 영유아 보육 46
7) 2030세대 정책 수요 48
3. 전문가 인터뷰(FGI) 58
Ⅳ. 제주 2030세대의 정책 개발방향 60
1. 2030세대를 위한 정책 개발의 당위성 60
2. 2030세대 무엇이 필요한가? 61
1) 2030세대의 가치관에서 나타나는 기본방향 61
2) 2030세대가 인식하는 ‘제주에서의 삶’의 만족도 63
3. 2030세대 정책설계의 기본모형 69
Ⅴ. 제주 2030세대의 정책개발방안 72
1. 제주 취업 및 일자리 정책 72
1) 제주도만의 문화를 활용한 직업연계 지원 72
2) 중소기업 활성화와 청년층의 중소기업 인식 변화 72
3) 2,30대 협동조합 설립 지원 73
4) 취업박람회 개최 지원 74
5) 중소기업 홍보 및 인턴십 확대 74
6) 2030세대 가상재화 창업정책 확대 75
7) 2030세대 빅데이터 프로젝트 추진 75
8) 우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 75
9) 제주 앙뜨레프르너십 센터 운영 76
10) 제주 청년 뉴딜 프로젝트 76
2. 제주 결혼과 주거안정 정책 77
1) 결혼 자금 지원 77
2) 예비부부 건강검진 사업 77
3) 주거 안정 사업 77
3. 제주 출산과 영유아 정책 78
1) 2030 출산 및 보육지원 78
2) 어린이집 지킴이 운영 78
4. 제주 복지 정책 78
1) 주요 사각지대 환경정리 78
2) 치안협동조합 설립 지원 79
3) 직장 스트레스 상담사 육성 79
4) 2,30대를 위한 스마트 앱 개발 80
5) 대학생, 직장인 대중교통 동일구간 할인/출퇴근 고정구간 80
6) 금연로 or 흡연구역 지정(건강 & Clean도시) 81
7) 다양하고 유익한 멀티플랙스 공간마련 및 문화바우처 사업 81
8) 제주 대학의 거리 조성 81
9) 제주 청년 힐링 캠프 82
10) 제주 이주센터 개설 82
5. 제주 교육 정책 83
1) 도에서 추진하는 제 2외국어 사이버교육 83
2) 인성교육제도의 도입을 통한 Enjoy Jeju 만들기 83
3) 함께 고민해 행복한 제주 공모전 84
참고문헌 85
Abstract 89
<부록 1> 설문지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