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제 1 장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1 환경적 관점 1
1. 2 행정적 관점 1
1. 3 법률적 관점 2
1. 4 연구 목적 2
2. 연구의 범위 3
3. 연구추진체계 4
4. 본 연구의 활용 5
제 2 장 일반 현황 6
1. 자 연 환 경 6
1. 1 위치·면적 6
1. 2 기 상 7
1. 3 지형 및 지질 8
1. 4 하 천 11
2. 사회·경제환경 13
2. 1 인구·가구 13
2. 2 경제 및 산업구조 14
2. 3 교 통 15
3. 생 활 환 경 16
3. 1 토지이용 16
3. 2 상수도 18
3. 3 하수도 18
4. 오염원 및 오염물질 발생량 19
4. 1 오 수 19
4. 2 분 뇨 19
4. 3 산업폐수 20
4. 4 가축사육현황 21
제 3 장 가축분뇨 발생 현황 및 예측 32
1. 가축 축종별 사육 현황 및 전망 32
1. 1 한육우 사육 현황 및 전망 32
1. 2 젖소 사육 현황 및 전망 34
1. 3 돼지 사육 현황 및 전망 35
2. 가축 축종별 가축분뇨 발생 현황 및 전망 37
2. 1 가축분뇨 발생특성 및 원단위 37
2. 2 가축분뇨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42
2. 3 가축분뇨 발생에 따른 성상 조사 45
2. 4 축종별 가축분뇨 발생량 현황 및 전망 47
3. 가축분뇨 오염부하량 및 예측 53
3. 1 한육우 분뇨 오염부하량 및 예측 55
3. 2 젖소 분뇨 오염부하량 및 예측 57
3. 3 돼지 분뇨 오염부하량 및 예측 60
제 4 장 가축분뇨 처리 및 관리 63
1. 가축분뇨 처리 체계 63
2. 가축분뇨 처리 현황 64
2. 1 축산농가 분포 현황 64
2. 2 가축분뇨 처리 방법별 발생량 현황 64
3. 가축분뇨 자체 처리시설 66
3. 1 가축분뇨 자체 처리시설 개요 66
3. 2 가축분뇨 자체 처리시설 현황 68
3. 3 가축분뇨 자체 처리시설 문제점 70
3. 4 가축분뇨 자체 처리 개선 방안 71
4.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72
4. 1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일반현황 72
4. 2 가축분뇨 처리공법 72
4. 3 제주지역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처리공법 분포 및 비교 86
4. 4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관리현황 86
4. 5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운영현황 90
4. 6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가동율 현황 91
4. 7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단독/연계 처리시설 비교 91
4. 8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관리, 운영상 문제점 및 대책 92
4. 9 가축분뇨 수거 및 운반 94
4. 10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개선 계획 98
5. 가축분뇨 관리를 위한 지도·점검 현황 및 계획 101
5. 1 가축분뇨 배출 및 처리시설 지속적 지도·관리 101
5. 2 가축분뇨 지도·점검 행정처분의 사후관리 101
5. 3 가축분뇨 지도·점검 홍보 및 축산 산업체 관리 방안 103
제 5 장 가축분뇨 자원화 104
1. 가축분뇨 자원화의 필요성 104
2. 가축분뇨의 자원가치 104
3. 가축분뇨 자원화방법 105
3. 1 퇴비화 105
3. 2 액비화 108
3. 3 바이오 가스화 113
3. 4 자원화 방법의 장·단점 116
4. 가축분뇨 자원화 현황 및 적정성 검토 117
4. 1 가축분뇨 자원화 현황 117
4. 2 가축분뇨 자원화의 적정성 검토 117
5. 가축분뇨 자원화의 문제점 120
5. 1 생산측면에서의 문제점 120
5. 2 유통에서의 문제점 122
5. 3 기타 제약요인 122
6. 가축분뇨 자원화를 위한 개선점 124
6. 1 생산적 측면에서의 개선점 124
6. 2 유통과정에서의 개선점 126
6. 3 기타 개선점 127
7. 가축분뇨 자원화 방향 129
7. 1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해 고려할 사항 129
7. 2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 적정처리 방안 129
7. 3 가축분뇨의 자원화 추진 및 이용도 제고 130
7. 4 자원화의 개선 노력 필요 130
7. 5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계획적인 정비추진 131
7. 6 퇴비유통 및 이용 촉진화를 통한 자원화 활성 131
제 6 장 가축분뇨 관리 계획 133
1. 축산환경과 정책의 변화 133
1. 1 축종별 사육두수의 변화 133
1. 2 사육농가 규모의 변화 133
1. 3 축산환경 정책 변화 134
2. 외국 가축분뇨 관리 정책 136
2. 1 유럽 축산정책 136
2. 2 일본 축산정책 140
2. 3 미국 축산정책 140
3. 가축분뇨 처리시설 개선 계획 141
3. 1 소규모 농가 개선 계획 141
3. 2 대규모 농가 개선 계획 142
3. 3 공공처리시설 개선 계획 144
4. 가축분뇨 자원화 개선 계획 145
5. 가축분뇨 수거 및 운반 개선 계획 147
6. 가축분뇨 관리 계획 및 목표 148
6. 1 가축분뇨 관리 계획 148
6. 2 가축분뇨 관리 목표 149
제 7 장 가축분뇨 재원 산정 152
1. 가축분뇨에 대한 자원화 용량평가 152
1. 1 가축분뇨 발생량에 대한 자원화 용량평가 방법 152
1. 2 자원화 용량평가를 위한 비료 사용 현황 153
2. 가축분뇨에 대한 자원화 용량평가 154
3. 공공처리시설 운영에 따른 소요재원 산정 155
3. 1 가축분뇨 공공 정화처리시설 증설에 따른 재원산정 155
3. 2 가축분뇨 공공자원화시설 증설에 따른 재원 산정 157
제 8 장 가축분뇨 장기계획 수립 159
1. 장기종합계획 방향 159
1. 1 장기종합계획에 따른 처리방법별 가축분뇨 변화 추이 예측 159
1. 2 장기종합계획 상 중점 고려 사항 160
2.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시설 및 시스템 구축 161
2. 1 가축분뇨 전과정 평가 시스템 161
2. 2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및 공공처리시설 증축 163
2. 3 제주지역 가축분뇨 유통관리센터 설립 164
2. 4 가축분뇨의 하수처리장 연계시스템 구축 165
2. 5 기 타 166
2. 6 통합관리센터(가칭) 설립 및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167
3. 장기종합계획 수립 168
3. 1 연차별 증축시설 용량 168
3. 2 연차별 소요 재원 168
4. 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단계별 중점 과제 170
참 고 문 헌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