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주요 작물 종자산업 육성 방안

    연구책임 : 강승진|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5676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2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Ⅱ. 국내 종자산업 현황과 문제점..... 5
    1. 종자산업의 생산수출입 현황..... 5
    2. 종자기업 현황 및 최근 동향.....20
    3. 국내 종자산업의 문제점..... 25

    Ⅲ. 세계 종자산업의 현황과 최근 동향..... 31
    1. 세계 종자시장 개요..... 31
    2. 일본의 종자산업 동향과 전망..... 57
    3. 중국의 종자산업 동향과 전망..... 68
    4. 시사점..... 77

    Ⅳ. 제주지역 종자산업 현황과 문제점..... 79
    1. 제주지역 농업 개요 및 특성..... 79
    2. 제주지역 종자 수급 현황과 문제점..... 84
    3. 제주도의 종자산업 관련 육성사업..... 93



    Ⅴ. 제주지역 주요 작물의 종자산업 육성 방안..... 112
    1. 중앙정부 종자산업 육성정책과 연계성 강화..... 112
    2. 제주지역 주요작물 종자산업 육성 방안..... 117

    Ⅵ. 요약 및 결론..... 142

    참고문헌..... 147

    부 록..... 150

    Abstract..... 158
  • 제주지역 여행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6156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3
    4. 연구 내용 3

    Ⅱ. 여행업 특성과 외국의 여행업 사례 4
    1. 여행업의 개념 및 종류 4
    2. 여행업의 특성 8
    3. 중국의 여행업 10
    4. 일본의 여행업 14
    5. 기타 국가의 여행업 17

    Ⅲ. 제주 여행업 현황과 문제점 23
    1. 여행업 현황 23
    2. 여행업체 의견조사 32
    3. 문제점 33
    4. 시사점 37

    Ⅳ. 정책 제언 39
    1. 관리 및 육성 방안 39
    2. 경쟁력 강화 방안 42

    참고문헌 50
    Abstract 51
    부록 : 중국의 여행사관리조례 53
  •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개발사업 실태분석 및 평가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5486

    <제목 차례>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개요 1
    2. 선행연구 검토 4
    1) 도시개발 관련 연구 4
    2)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문제점 7

    제2장 도시개발 여건 변화와 제주지역 특성 8
    1. 사회적 여건 변화 8
    1) 인구여건과 도시개발 8
    2) 저출산, 고령화와 도시개발 10
    3) 주택 여건과 도시개발 12
    4) 토지이용 변화와 도시개발 14
    2. 친환경 도시개발 여건 변화 16
    1) 저탄소 녹색도시와 도시개발 16
    2) 우수 환경 및 관광지역 부상과 도시개발 17
    3) 환경 및 경관정책과 도시개발 19
    3. 제주국제자유도시와 도시개발 21

    제3장 도시개발사업 특성 분석 23
    1. 도시개발의 개념 및 제도 23
    2. 도시개발사업 방식 29
    1) 도시개발사업 29
    2) 택지개발사업 34
    3) 도시개발과 택지개발 사업방식 비교 36
    3. 도시개발사업 및 택지개발사업 추진 상황 41
    1) 도시개발사업 41
    2) 택지개발사업 42
    제4장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개발사업 평가 44
    1. 평가 방법 44
    1) 평가 과정 44
    2) 자료 구축 45
    2. 도시개발사업 평가 48
    1) 항목별 평가 48
    2) 항목 간 상관성 평가 55
    3) 도시개발사업 종합 평가 58
    3. 도시개발사업과 주변 인구 영향 평가 60
    1) 사업 시행 전/후 인구 변화 60
    2) 사업 시기별/지역별 인구 변화 64
    3) 계획대비 인구 변화 67

    제5장 정책적 제언 70
    1. 도시개발의 패러다임 변화 70
    2. 도시개발사업 평가결과와 정책방안 75
    3. 도시개발사업 방식의 전환 77
    1) 사업 방식별 차별화 77
    2) 녹색도시개발 방식 78
    3) 도시재생사업 79
    4) 대중교통형 도시개발사업 방식 80
    5) 공원녹지 접근성 81
    6) 다양한 도시개발 협력모델 개발 82
    4. 도시개발사업 제도 개선 84
    1) 공공의 역할 강화 방안 84
    2) 제도 및 지원체계 개선 85

    참고문헌 86
    부록 :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개발사업 시행 조례 90
  • 외국인 개별관광객 유치증진방안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5192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3
    3. 연구 한계 및 용어의 정의 4
    4. 연구 구성 5

    Ⅱ. 개별관광객의 개념 및 방한 개별관광시장 분석 7
    1. 개별관광객의 개념 및 특성 7
    2. 방한 개별관광객 시장 분석 9

    Ⅲ. 외국인 개별관광객 유치전략 사례분석 25
    1. 국내 25
    2. 국외 46
    3. 제주특별자치도 53
    4. 시사점 67

    Ⅳ. 전문가 의견조사 및 외국인 개별관광객 면접조사 70
    1. 전문가 의견조사 70
    2. 외국인 개별관광객 면접조사 105

    Ⅴ. 외국인 개별관광객 유치증진방안 122
    1. 주요 과제 122
    2. 유치증진방안 126
    3. 주체별·시기별 추진방안 177
    Ⅵ. 결론 179

    참고문헌 182


    <부록 1> 전문가포럼 개최개요 및 결과 187

    <부록 2> 전문가 설문조사서 191

    영문초록 197
  • 청정자원을 활용한 제주산 화장품 대중국 수출전략

    연구책임 : 정지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5706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Ⅱ. 화장품산업의 의의 및 특징 4
    1. 화장품산업의 의의 4
    1) 화장품의 개념 4
    2) 화장품산업의 의의 5
    3) 화장품의 분류 6
    2. 화장품산업의 특징 6

    Ⅲ. 중국 화장품시장의 현황 및 전망 8
    1. 중국 화장품산업의 특징 및 현황 8
    1) 중국 화장품산업 개요 8
    2) 중국 화장품산업의 발전과정 9
    3) 중국 화장품시장의 현황 10
    2. 중국 화장품시장의 유통구조 19
    1) 중국 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와 특징 19
    2) 중국 화장품의 판매 방식 21
    3. 중국 화장품소비시장의 변화와 특징 33
    1) 최신 소비 트렌드의 변화 33
    2) 2011년 화장품에 대한 중국인의 관심사항 33
    3) 화장품 유형별 변화와 특징 37
    4. 중국 화장품시장의 발전 추세와 전망 43

    Ⅳ. 다국적 기업과 한국 기업의 대중국 화장품시장 진출 현황 및 마케팅 전략 45
    1. 다국적 기업의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현황 45
    1) 프랑스 로레알 45
    2) 시세이도 52
    2. 한국 화장품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현황 53
    1)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입 현황 53
    2) 한국 화장품의 중국 진출 현황 55
    3) 주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 및 전략 57

    Ⅴ. 중국 여성소비자의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소비실태 분석 61
    1. 조사개요 61
    1) 조사목적 61
    2) 조사범위 61
    3) 조사과정 61
    2. 분석결과 62
    1) 인구통계학적 특성 62
    2) 화장품 관련 일반사항 64
    3) 한국산 화장품 관련 사항 67
    4) 제주 관련 일반사항 73
    5) 제주산 화장품의 홍보 및 판매방안 77

    Ⅵ. 제주 화장품산업의 현황 및 중국 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 79
    1. 제주 화장품산업 현황 79
    1) 제주 화장품산업 현황 79
    2) 제조업체 현황 81

    3) 원료업체 현황 81
    4) 브랜드 및 연구개발 기업 현황 82
    5) 수출 및 해외시장 개척 현황 84
    2. 제주 화장품의 중국 진출 활성화 방안 86
    1) 제주 화장품시장의 SWOT 분석 86
    2) 제주 화장품시장의 SWOT 분석 결과 및 시사점 90
    3) 제주 화장품의 중국 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 91

    Ⅶ. 정책제언 102

    참고문헌 105

    부록 1 : 중국 여성소비자의 한국산 화장품 인식조사(한글) 107
    부록 2 : 중국 여성소비자의 한국산 화장품 인식조사(중문) 114
    부록 3 : 중국 화장품시장 관련 관리제도 121

    ABSTRACT 135
  • 제주지역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방안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3638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3절 연구의 추진체계 4

    제2장 제주지역 마을어업의 일반현황 5
    제1절 마을어업의 개념 5
    가. 마을어업의 정의 5
    나. 마을어업과 어장관리 6
    다. 마을어업과 자율관리어업 6
    제2절 제주지역 수산업 및 마을어업 현황 7
    가. 제주 수산업의 대내ㆍ외 여건변화 7
    나. 제주지역 해황 및 주요 어업 9
    다. 마을어업 관련 일반현황 11
    제3절 제주지역 어촌계의 마을어장 이용실태 17
    가. 작업시기와 작업형태 17
    나. 어장관리와 수산물 판매 18
    다. 제주지역 마을어장의 기후변화 영향 20

    제3장 마을어장 휴식년제 관련 정책동향 분석 23
    제1절 휴식년제 관련 국내 제도 및 정책 23
    가. 어장관리법의 어장 휴식 23
    나. 어장관리해역 지정 및 어장환경 조사 24
    다. 어장휴식 정책 25
    라. 수산자원조성 정책 26
    제2절 국내ㆍ외 직접지불제 정책동향 분석 28
    가. 해외 직접지불제 도입 사례분석 28
    나. 국내 직접지불제 도입 사례분석 36
    다.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41

    제4장 휴식년제 도입을 위한 어업인 인식도 조사 42
    제1절 설문조사 개요 및 내용 42
    가. 조사의 개요 42
    나. 설문조사 내용 43
    제2절 분석결과 44
    가. 마을어장의 생산성 변화 44
    나. 마을어장 휴식년제에 관한 인식 45
    다.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시 참여의향 및 지원 형태 47
    라. 마을어장 휴식년제의 실시 기간 및 방식 49
    마. 마을어장 휴식년제 시행 시 예상 문제점 5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51

    제5장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을 위한 타당성 분석 54
    제1절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 필요성 54
    가. 제주지역 수산부문의 녹색성장을 위한 초석 마련 54
    나. 시장개방화 시대에 어업인 소득 안전망 장치 54
    다. 수산자원조성사업 효과의 극대화 수단 55
    라. 농업부문과 형평성 차원에서의 도입 필요성 56
    마. 제주지역 어촌경제의 특수성 강화 57
    제2절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 가능성 검토 58
    가. 농업분야 직접지불제도의 수산분야 접목검토 58
    나. 해양환경개선ㆍ수산자원관리 직접지불제 60
    제3절 제주지역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방안 63
    가.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의 기본방향 63
    나. 마을어장 휴식년제 시행을 위한 프로그램(안) 64
    다.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의 기대효과 73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7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76
    제2절 정책적 제언 80

    참 고 문 헌 82

    부 록 85

    89
  •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강진영|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4836

    목 차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제2장 음식물류 폐기물 정의 및 분류 5
    1. 폐기물관리법상 음식물류 폐기물 개념 5
    2. 음식물류 폐기물 분류 및 범위 6

    제3장 음식물류 폐기물 주요 정책 및 종량제 시행방식 9
    1. 음식물류 폐기물 정책의 제도적 변천 9
    2.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원칙 및 변천 과정 13
    2.1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원칙 13
    2.2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변천 과정 14
    3.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 방식 15
    3.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 15
    3.2 납부필증(스티커) 방식 22
    3.3 종량제봉투 방식 25
    4.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 방식 27
    5. 음식물류 폐기물 수수료 산정 방식 27
    5.1 음식물류 폐기물 수수료 산정 원칙 29
    5.2 주민부담률 산정기준 29
    5.3 음식물류 폐기물 수수료 산정 방법 29
    5.4 음식물류 폐기물 수수료 부과 및 징수방법 30

    제4장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현황 및 계획 31
    1. 전국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현황 31
    2. 제주특별자치도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현황 32
    2.1 제주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현황 35
    2.2 서귀포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현황 37
    3. 제주특별자치도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계획 38
    3.1 제주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계획 38
    3.2 서귀포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계획 38
    3.3 제주특별자치도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추진 계획 상 문제점 및 개선 사항 39

    제5장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국내 사례 45
    1. 울산시 중구 45
    2. 경남 창원시 51
    3. 대구시 동구 55
    4. 경기도 하남시 58
    5. 사례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62
    5.1 사례분석 결과 요약 62
    5.2 사례분석에 따른 시사점 63

    제6장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에 대한 도민 인식도 조사 64
    1. 도민 인식도 조사 개요 64
    2. 도민 인식도 조사 결과 64
    2.1 조사대상자 일반적 특성 64
    2.2 음식물쓰레기 일반 현황 67
    2.3 음식물쓰레기 배출 방식 73
    2.4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인지도 74
    2.5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수료 부과 방식 및 부담액 77
    2.6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배출시간 지정과 선호 시간 78
    2.7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시 장려 및 불이익 제도 도입 선호도 81
    2.8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전 개선할 사항 82
    2.9 폐기물관리정책 인지경로 및 홍보 방안 83
    3. 시사점 84

    제7장 정책 제언 88

    참 고 문 헌 96

    부 록 97
    1. 설문지 97
    2. 설문 조사 결과 111

    123
  • 자활사업 참여자의 생활형태와 의식변화 연구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3333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방법 3
    3. 연구의 주요내용 4
    4. 연구의 기대효과 4
    5. 연구의 한계점 4

    제2장 자활사업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6
    1. 자활사업의 의미 6
    2. 자활사업의 목적 및 대상 9
    3. 자활사업의 인프라 구축 16
    4. 자활사업 참여자의 특성 및 변화 20
    5. 타 시․도 자활사업의 실증사례 연구 29

    제3장 자활사업의 정책 변화와 주요 내용 39
    1. 근로연계복지 정책 39
    2. 외국의 근로연계복지 정책 40
    3. 외국사례의 시사점 47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자활사업 49
    5. 우리나라 자활사업의 정책변화 53
    6. 현 단계 자활사업 지원정책의 주요 내용 70
    7. 제주특별자치도의 자활사업 현황과 한계 79

    제4장 제주지역 자활사업에 대한 실증조사 결과 및 해석 84
    1. 조사의 설계 84
    2. 자활사업 참여자 대상 조사결과 분석 및 해석 84
    3. 빈도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126
    4. 집단간 평균차 검증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134
    제5장. 향후 제주지역 자활사업의 방향과 정책 과제 138
    1. 자활사업의 기본방향 139
    2. 자활사업의 기본원칙 140
    3. 자활사업의 기본목표 141
    4. 자활사업의 기본내용 141
    5. 자활사업의 향후 주요 정책과제 142

    □ 참고문헌 167

    □ 부 록 1 (설문조사표) 170

    □ 부 록 2 (제주특별자치도 기초생활보장조례) 178

    □ ABSTRACT 184


  • 제주지역 산업단지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4955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4

    II. 제주지역 산업단지 일반 현황 분석 7
    1. 산업단지 개요 및 관리체계 7
    1) 산업단지 관련 법률 7
    2) 산업단지의 유형 및 지정(조성) 절차 10
    3) 산업단지의 운영 및 관리체계 12
    4) 산업단지 지원제도 14
    2. 제주지역 산업단지 일반 현황 분석 17
    1)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18
    2) 용암해수산업단지 19
    3) 구좌농공단지 21
    4) 금능농공단지 22
    5) 대정농공단지 24

    III. 산업단지 운영실태 평가틀 설정 26
    1. 선행연구 고찰 26
    1) 산업단지 운영실태 평가 관련 선행연구 26
    2) 시사점 29
    2. 산업단지 운영실태 평가틀 개발 32
    1) 산업단지 조성 목적의 정의 및 유형화 33
    2) 세부 평가지표의 개발 37
    IV. 제주지역 산업단지 운영실태 평가 43
    1. 제주지역 산업단지 운영실태 평가 개요 43
    2. 집적이익의 실현 부문 평가 결과 46
    1) 산업단지 특화도 평가 결과 46
    2) 인프라 부문의 집적이익 평가 결과 49
    3) 정보·기술 부문의 집적이익 평가 결과 53
    4) 인적자원 부문의 집적이익 평가 결과 56
    5) 정부지원사업 부문 집적이익 평가 결과 58
    3. 입주기업의 생산성 제고 부문 평가 결과 61
    1)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성장성 평가 결과 61
    2) 입주기업의 만족도 평가 결과 64
    4. 지역경제 성장에의 기여 부문 평가 결과 70
    1) 제주産 중간재 이용 수준 평가 결과 70
    2) 지역주민 고용 수준 평가 결과 72

    V. 제주지역 산업단지 운영실태 개선방안 74
    1. 제주지역 산업단지 운영실태 평가 결과 종합 74
    1) 집적이익의 실현 부문 평가 결과 종합 74
    2) 입주기업의 생산성 제고 부문 평가 결과 종합 76
    3) 지역경제 성장에의 기여 부문 평가 결과 종합 77
    2. 제주지역 산업단지 운영실태 개선방안 도출 78
    1) 집적이익의 실현을 위한 개선방안 78
    2) 입주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82
    3) 지역경제 성장에의 기여를 위한 개선방안 89

    【참고문헌】 92
    【부록】제주지역 산업단지의 운영실태에 관한 설문조사지 93
  • 제주형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 도입방안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2-06-15 |조회수 : 4084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3. 선행연구 검토 2

    Ⅱ. 재정성과 관리제도의 개요 3
    1. 재정성과 목표관리제도 5
    2.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 9
    3. 재정사업 심층평가 10

    Ⅲ. 미국과 우리나라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 운용 현황 12
    1. 미국 정부의 PART 개관 12
    1) PART의 배경과 목적 12
    2)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 14
    2. 한국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 15
    1) 평가대상사업의 선정 15
    2) 평가항목․평가지표․배점 16
    3) 평가등급 18
    4) 평가결과의 활용(예산과의 연계) 18
    3. 전북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 20
    1) 평가 대상사업 20
    2) 평가 주관 21
    3) 평가 지표 22
    4) 평가 방법 23
    5) 평가결과 활용 24
    4. 시사점 24
    1) 재정사업에 대한 성과관리 강화 필요 25
    2) 재정사업 자율평가 결과와 예산 간의 연계성 부족 25
    3) 평가결과를 예산 심의와 연계시 검증장치 필요 25
    4) 사업유형에 따라 평가결과에 차이가 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 26
    5) 평가결과를 예산과 원활히 연계하기 위해 평가시기를 조정 26
    6) 평가결과를 제도개선에 적극 활용 필요 26

    Ⅳ. 제주형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운영방안 27
    1. 제주특별자치도 재정 진단과 사업분석 27
    1) 배경 27
    2) 추진절차 28
    3) 평가내용 30
    4) 평가결과 31
    2. 제주형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J-PART) 도입 방안 38
    1) 도입의 당위성 38
    2) 도입 방안 41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48


    참 고 문 헌 51

    ABSTRACT 53

    부 록 1: 주요사업 추진현황 55
    부 록 2: 사업분석 평가 기준표 60
    부 록 3: 사업분석 항목별 배점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