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성과분석 연구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553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한계 3
    3. 연구 구성 4

    Ⅱ.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개요 5
    1. 제1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5
    2.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 8

    Ⅲ. 계획지표 및 예산분석 11
    1. 계획지표 분석 11
    2. 2002-2009년 투자계획 대비 실적분석 21
    3. 연도별 투자계획 대비 실적분석 25
    4. 핵심ㆍ전략프로젝트 투자실적 39
    5. 관광지 개발사업 투자실적 40
    6.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 46

    Ⅳ. 국제자유도시 시책분석 48
    1. 분석개요 48
    2. 국제자유도시 시책사업 분석 49

    Ⅴ. 4+1 핵심산업 성과분석 88
    1. 분석방향 88
    2. 산업별 분석 89

    Ⅵ. 종합검토 및 정책제언 157
    1. 종합계획 내용 157
    2. 정책 제언 161

    참고문헌 164
  •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와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정영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3184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기대효과 4
    4. 연구의 한계 4

    II. 이론적 배경

    1. 자원봉사의 정의 5
    1) 전통적인 자원봉사 5
    2) 현대적인 의미의 자원봉사 7
    3) 자원봉사의 정의 8
    2. 자원봉사의 이념과 기본가치 11
    1) 자원봉사의 이념 11
    2) 자원봉사의 가치 14
    3) 자원봉사의 필요성 17
    3. 자원봉사의 특성 18
    1) 자발성 18
    2) 무급성 18
    3) 개척성 19
    4) 협동성 19
    5) 생활성 19
    6) 전문성 20
    7) 계획성 20
    8) 지속성 20
    9) 연계성 20
    10) 이타성 21
    4. 자원봉사와 보상 21
    1) 레츠 22
    2) 아워즈 23
    5. 자원봉사 연구 동향 24
    1) 참여대상과 자원봉사 활동 24
    2) 자원봉사자에 대한 연구 25
    3) 자원봉사 활용 기관 25
    4) 자원봉사 가치 제고 25

    III. 자원봉사활동 현황

    1. 자원봉사활동 개요 27
    2. 자원봉사센터 현황 28
    1) 자원봉사센터 운영개요 28
    2) 자원봉사센터 근무 입력 현황 30
    3) 자원봉사센터 예산과 집행 33
    4) 자원봉사 등록 현황 34
    5)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37
    6) 자원봉사활동 분야 38
    7) 자원봉사자 교육 38
    3.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현황 39
    1) 자원봉사센터 현황 39
    2) 자원봉사센터 근무 여건 42
    3) 자원봉사센터 예산 및 집행 44
    4) 자원봉사자 등록 현황 46
    5) 자원봉사자 활동 실적 51
    6) 자원봉사자 교육과 보험 54
    7) 거점현황 56
    Ⅳ. 자원봉사활동과 경제적 가치

    1.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경제적 가치 58
    1) 사회적가치 58
    2) 자원봉사 경제가치 선행 연구 58
    3) 자원봉사 사회자본 추계 방법 62
    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활동의 경제적 가치 측정 63
    1) 자원봉사활동의 가치 측정 모델 63
    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가치 측정 방법 65
    3)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 경제가치 추계 결과 66

    Ⅴ. 결론 및 제언

    1.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활동의 경제가치 측정 결과 69
    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활동 확대를 위한 제언 71

    참고문헌 78
    부록1. 자원봉사활동지원법 81
    부록2. 제주특별자치도 자원봉사활동 지원조례 87
  • 제주지역의 녹색관광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1-30 |조회수 : 4772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한계 3
    3. 연구 구성 3

    Ⅱ. 녹색관광 이론연구 4
    1. 기후변화와 관광산업 4
    2. 녹색관광의 개념 및 의의 5

    Ⅲ. 녹색관광 정책 현황분석 9
    1. 중앙정부의 녹색관광 계획 9
    2. 중앙정부의 녹색관광자원 개발현황 15
    3. 국ㆍ외지역의 녹색관광 육성사례 26

    Ⅳ. 제주지역 녹색관광 육성현황 32
    1. 녹색관광 육성정책 32
    2. 녹색관광 자원현황 36
    3. 시사점 54
    Ⅴ. 실증분석 55
    1. 조사개요 55
    2. 분석결과 56
    3. 시사점 70

    Ⅵ. 녹색관광 활성화방안 71
    1. 녹색관광 육성을 위한 과제 71
    2. 활성화방안 73

    Ⅶ. 결론 92

    참고문헌 94

    설문조사서 97
  • 제주지역 스포츠산업 부가가치 증대방안 연구 -스포츠이벤트, 전지훈련, 골프관광을 중심으로-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0-31 |조회수 : 5403

    목 차


    제 1 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 목적 2
    3. 연구의 주요내용 및 범위 2
    4. 연구 방법 3
    5. 연구의 기대효과 3

    제 2 장 스포츠산업과 스포츠 마케팅에 관한 이론적 배경 4
    1. 스포츠산업 4
    2. 스포츠 마케팅 13

    제 3 장 제주지역 스포츠산업의 현황과 과제 19
    1. 제주지역 스포츠 시설 현황 19
    2. 제주지역 스포츠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41
    3. 제주지역 스포츠산업의 SWOT 분석 49
    4. 제주지역 스포츠산업의 과제 55

    제 4 장 국내외 사례연구 57
    1. 국내 사례연구 57
    2. 해외 사례연구 67

    제 5 장 관계자 의견조사 87
    1. 조사 설계 87
    2. 실증분석 89
    3. 시사점 123

    제 6 장 제주지역 스포츠산업 부가가치 증대 방안 126
    1. 제주 스포츠산업 경쟁력 강화 기반 구축 126
    2. 제주 스포츠산업 특화 전략 추진 130

    참고문헌 139
    부 록 143
  • 제주지역 신선물류․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0-31 |조회수 : 5137

    목 차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주요내용 및 범위 1
    제3절 연구방법 2
    제4절 기대효과 2

    제2장 신선물류의 개념 및 현황
    제1절 신선물류 3
    1. 신선물류의 의의 3
    2. 신선물류의 필요성 4
    제2절 신선물류의 주요 공정 및 특성 6
    1. 신선물류의 주요 공정 6
    2. 시설과 기술유형 7
    3. 온도대의 유형 9
    4. 고품질․높은 물류서비스 11
    5. 시설 및 설비 20
    제3절 국내 신선물류 시장의 현황과 시사점 23
    1. 국내 신선물류 시장의 현황 23
    2. 농식품 신선물류 25
    3. 신선물류의 문제점 33
    4. 시사점 39

    제3장 제주지역 신선물류 현황 및 선진 사례
    제1절 제주지역 물류 현황 46
    1. 제주지역의 물류 여건 46
    2. 제주지역 이출입 물동량 현황 48
    3. 제주지역 항만 및 운송 현황 49
    4. 제주 물류의 특성 및 문제점 50
    제2절 제주지역 신선물류 적용가능 범위 51
    1. 농수산물 부문 51
    2. 가공식품 부문 53
    3. 제주돼지고기 등 축산물 부문 54
    4. 신선물류 구축 기대효과 및 기능 59
    제3절 일본 사례 60
    1. 일본 트란콤 60
    2. 日水물류센터(도쿄) 62
    3. 아지노모토 물류 64
    4. 일본 선도관리협회 66
    5. 시사점 69

    제4장 제주 신선물류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제1절 신선물류 적용품목 선정 70
    제2절 도축장-육가공의 One-Stop 운영 71
    제3절 품목단위 신선물류 클러스터 구축 71
    제4절 프랜차이즈 사업화 73
    제5절 신선물류 유통의 필요성 인식 제고 74
    제6절 신뢰문화 정착을 위한 인증제 도입 74
    제7절 전문조직 및 행정에 마케팅 관점 접목 필요 75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요약 76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78
  • 제주도 골프장 용수의 적정관리 방안연구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0-31 |조회수 : 5259

    목 차


    제1장 서 언 1

    제2장 골프장 일반현황 3
    2-1. 국내 골프장 현황 3
    2-2. 제주지역 골프장 현황 4
    2-3. 골프장 이용객 현황 7
    2-4. 골프관광객이 제주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10
    2-5. 골프장 잔디관리 11
    2-6. 골프장 관개용수 원단위 산정 13

    제3장 제주도의 수자원 개발 현황 15
    3-1. 강수량 15
    3-1-1. 제주도 해안지역의 강우특성 15
    3-1-2. 제주도 중산간 지역의 강수량 16
    3-2. 물수지 19
    3-3.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21
    3-3-1. 지하수 개발 현황 21
    3-3-2. 유역별 지하수 개발 현황 21
    3-3-3. 지하수 이용 현황 23
    3-4. 골프장 지하수 개발 현황 23
    3-5. 골프장 빗물이용시설 현황 26
    3-6. 골프장 오수처리시설 현황 29
    3-7. 골프장 용수 관련 원수대금 현황 31



    제4장 골프장의 용수이용 특성 35
    4-1. 골프장의 물이용 특성 35
    4-2. 지하수 이용량 분석 50
    4-3. 빗물 이용량 분석 53

    제5장 골프장 관개용수 분석을 통한 이용량 산정 57
    5-1. 골프장 지하수 이용량 분석 57
    5-2. 골프장 빗물 이용량 분석 60
    5-3. 골프장 관개용수 이용량 분석 62

    제6장 요약 및 제언 67

    참고문헌 72

  • 제주지역 여성폭력실태와 예방프로그램 개발

    연구책임 : 정영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0-10-31 |조회수 : 3168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기대효과 4
    4. 연구의 한계 4

    II. 이론적 배경

    1. 폭력에 대한 개념 5
    2. 유형별 여성에 대한 폭력 5
    1) 가정폭력 5
    2) 성폭력 14
    3) 성매매 21
    4) 아동성폭력 29
    5) 성희롱 32
    3. 지역 언론보도를 통해 본 여성에 대한 폭력 보도 실태 35
    1) 가정폭력 보도 실태 36
    2) 성폭력 보도 실태 37
    3) 성매매 보도 실태 38
    4) 성희롱·성추행 보도 실태 39

    Ⅲ. 지역에 있어서 여성과 폭력에 대한 인식 조사

    1. 조사개요 41
    1) 조사목적 41
    2) 조사기간 41
    3) 개요 41
    2. 조사결과 42
    1) 인구 통계적 특성 42
    2) 성에 대한 인식 44
    3) 폭력에 대한 인식 59
    4) 폭력과 처벌 76
    5) 폭력피해자 지원제도 79
    6) 폭력 예방 프로그램 86

    Ⅳ. 여성에 대한 폭력 예방 프로그램

    1. 예방 프로그램 개요 89
    2. 여성에 대한 폭력 예방프로그램(안) 90
    3. 프로그램 운영 추진체계 및 예산 93
    1) 추진체계 93
    2) 소요예산 94

    Ⅴ. 결론 및 제언 95

    참고문헌 96

    부록1. 설문조사표 97
  • 녹색교통 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 조성 방안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10-31 |조회수 : 386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2
    3. 연구의 진행 및 내용 2

    Ⅱ. 관련연구 분석 4

    제1절 보행관련 연구 4
    1. 보행의 정의 4
    2. 보행권의 개념 5
    3. 보행환경의 정의 및 보행자 공간 7
    4. 보행권의 헌법상 근거 8
    5. 보행권의 보호 대상 10
    6. 도시공간 요소로서의 가로의 개념 및 특성 11
    1) 가로의 개념 11
    2) 가로의 형태 12
    3) 가로의 특성 14
    4) 가로의 기능 14
    7. 보행자공간의 정의 및 개념 16
    8. 보행자공간의 영역 및 역할 17

    제2절 보행환경 관련 연구 20
    1. 보행환경 관련 연구 분석 20
    2. 보행환경 평가지표의 선정 21


    Ⅲ. 도민의식 조사 및 분석 23

    제1절 도민 설문조사 개요 23
    1. 설문조사 주요내용 23
    2. 조사개요 24

    제2절 설문분석 26
    1. 설문응답자의 일반사항 26

    Ⅳ. 보행자 및 보도 관련계획 검토 63

    1.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설치관리 매뉴얼 63
    2. 자전거 관련 내용 70
    3. 보도관련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70
    4. 서울특별시 교통시설 설치 및 관리 매뉴얼 72
    1) 보도 설치 정비 72
    2) 횡단보도 설치 부문 73
    3) 시사점 73

    Ⅴ. 녹색교통 활성화 방안 74

    1. 활성화 방안 74
    1) 보도 및 도로시설 74
    2) 보도확보 75
    3) 차량진출입부 76
    4) 보행자 횡단 시간 및 조명 76
    5) 보행 환경 77
    6) 자전거 도로 78

  •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주민친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0-10-31 |조회수 : 5122

    - 목 차 -


    제1장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와 연구의 당위성 1

    제2장 스마트그리드 산업현황 분석 4
    제1절 스마트그리드 정의 4
    제2절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소개 5
    제3절 국내·외 정책동향 9
    1. 국내 정책동향 9
    2. 해외 정책동향 17

    제3장 주민참여형 공공프로젝트 사례연구 28
    제1절 국내사례 28
    제2절 해외사례 32

    제4장 스마트그리드 주민친화 관련 조사 35
    제1절 설문조사 개요 35
    제2절 인구통계적 특성 36
    제3절 실증단지 설문관련 기술통계분석 40
    제4절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관한 회귀분석 54

    제5장 분석의 함의와 실증단지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60
    제1절 기술통계 분석결과의 함의 60
    제2절 회귀 분석결과의 함의 63
    제3절 제주실증단지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69

    제6장 결론 79

    참고 문헌 83

  • 추모 200주기 기념 김만덕 재조명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0-08-31 |조회수 : 5020

    목 차

    Ⅰ. 서 론····················································································································· 7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7
    2. 연구 목적 ················································································································· 7
    3. 연구 방법 ················································································································· 8

    Ⅱ. 김만덕 생애의 역사적 고증·········································································· 9
    1. 생애사 개요 ············································································································· 9
    2. 질곡의 시대를 극복한 김만덕의 삶 ····································································· 10
    3. 김만덕에 대한 당대의 평가 ·················································································· 26
    4. 김만덕 삶이 갖는 역사적 의미 ············································································ 35
    5. 만덕 생애의 주요 사항에 대한 고증 사료 정리 ················································· 36

    Ⅲ. 김만덕 현양 사업 방안················································································· 43
    1. 김만덕의 사적 연구 ······························································································· 43
    가. 당시 상황 ·········································································································· 43
    나. 역사(歷史) ········································································································· 45
    2. 김만덕 현양 사업 계획 ························································································· 55
    가. 김만덕의 가계(家係) ······················································································· 55
    나. 제주사회에서 김만덕이 부각된 시기 ······························································· 57
    다. 김만덕의 위상 ··································································································· 58
    라. 김만덕의 호칭 ··································································································· 60
    마. 기념관 등 유형적 기념사업 필요성 ································································· 60
    바. 김만덕 기념사업의 우선순위 ············································································ 61
    사. 김만덕 공원 조성(기념관 이설 등) 여부 ························································· 62
    아. 김만덕 기념관의 역할 ······················································································ 64
    3. 추진 사항 ··············································································································· 66
    가. 변화의 필요성 ··································································································· 66
    나. 김만덕 지적재산권(특허권) 확보 ····································································· 68
    다. 지자체 전담 부서 운영 ··················································································· 69
    라. 김만덕 홍보 방법 ······························································································ 69
    바. 김만덕의 이야기 변화 욕구(스토리텔링화) ····················································· 71
    4. 김만덕의 위상 재정립 방안 ·················································································· 73
    가. 김만덕의 후예로서 제주도의 역할 기대 ························································ 73
    나. 「김만덕상」의 위상 재고 필요 ·········································································· 74
    5. 유족들이 전하는 김만덕 이야기 ··········································································· 76
    가. 김 균 구술 ········································································································ 76
    나. 김영희 구술 ······································································································· 80
    6. 논의점 ···················································································································· 82
    가. 산지포의 입지 조건 ·························································································· 82
    나. 산지포 서쪽을 객주터로 추정하는 관점 ·························································· 84
    다. 산지포 동쪽(구건입동사무소 포함)을 객주터로 추정하는 관점 ····················· 85
    라. 객주터 복원의 의미 ·························································································· 88

    Ⅳ. 결론 및 정책제언····························································································· 99
    1. 결론 ························································································································ 99
    가. 요약 ··················································································································· 99
    나. 김만덕 기념사업회의 경위와 현황 ··································································· 99
    2. 정책 제언 ············································································································· 101

    참고자료 ························································································································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