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특별자치도 평생교육 발전계획

    연구책임 : 제주RHRD센터|구분 : 인적자원

    발행일 : 2010-02-26 |조회수 : 2529


    제주특별자치도 평생교육 발전계획
  • 제주특별자치도 평생교육 실행계획

    연구책임 : 제주RHRD센터|구분 : 인적자원

    발행일 : 2010-02-26 |조회수 : 2438

    제주특별자치도 평생교육 실행계획
  • 제주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제도의 개선방안

    연구책임 : 한동주 도정연구관|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6393

    목 차

    제 1 장 연구의 개요 1
    1. 배 경 1
    2. 목 적 2
    3. 연구방법 3
    4. 연구범위 3
    5. 추진체계 4

    제 2 장 문화예술의 성격 고찰 5
    1.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 5
    2.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지원의 이론적 근거 10

    제 3 장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외국의 사례 13
    1. 문예진흥기금의 변천과정 13
    2. 제주도 문예진흥기금의 운영과정 19
    3. 외국의 문화예술 지원제도 23

    제 4 장 제주도 문예진흥기금 운용 실태 분석 33
    1. 제주도내 문화예술인의 창작여건 분석 33
    2. 제주도 문예진흥기금 지원 실태 분석 37
    3. 제주도내 예술인 설문지 조사 분석 40
    4. 제주도 문예진흥기금 운용의 문제점 70

    제 5 장 제주도 문예진흥기금의 효율적 활용방안 77
    1. 제도적 측면 77
    2. 내용적 측면 81

    제 6 장 정책 제언 84

  • 제주지역 경기종합지수 개편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6752

    ◈ 목 차 ◈

    제 1 장 서 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 목적 ····························································································· 3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제 2 장 경기종합지수의 이론적 고찰 ··············································· 5
    제1절 경기순환이론 ······················································································· 5
    1. 경기순환의 의미 ·················································································· 5
    2. 경기순환의 국면분류 ··········································································· 6
    3. 경기순환의 종류 ·················································································· 8
    4. 경기순환의 다양성 ············································································ 11
    제2절 경기종합지수의 종류 ········································································ 12
    1. 경기지수의 종류 ················································································ 12
    2. 경기종합지수의 작성방법 및 절차 ·················································· 18
    제3절 제주지역 경기종합지수의 현황 및 문제점 ····································· 21
    1. 현황 ···································································································· 21
    2. 문제점 ································································································ 22
    제 3 장 제주지역 경제의 특성 분석 ·············································· 25
    제1절 제주지역의 경제규모 ········································································ 25
    1. 개요 ···································································································· 25
    2. 제주지역의 산업구조 ········································································ 27
    제2절 제주지역의 산업구조 분석 ······························································· 28
    - ii -
    1. 명목 GRDP를 이용한 분석 ····························································· 30
    2. 1인당 GRDP를 이용한 분석 ·························································· 45
    3. 실질 GRDP를 이용한 분석 ····························································· 50
    제3절 시사점 및 향후 연구 ········································································ 58
    제 4 장 제주지역 경기종합지수 개편 분석 ··································· 61
    제1절 기본방향 설정 및 후보지표 선정 ···················································· 61
    1. 기본방향 ····························································································· 61
    2. 후보지표 선정기준 ············································································ 63
    3. 각 부문별 후보지표 선정 ································································· 64
    제2절 PCA 분석을 통한 구성지표의 적정성 ··········································· 68
    1. 주성분분석(PCA)의 이론적 배경 ··················································· 68
    2. 주성분분석 결과 ················································································ 70
    제3절 제주지역 경기종합지수 개편(안) ···················································· 73
    1. 개요 ···································································································· 73
    2. 동행종합지수의 시산작업 결과 ························································ 74
    3. 선행종합지수의 시산작업 결과 ························································ 77
    제 5 장 요약 및 결론 ······································································· 81
    참 고 문 헌 ····················································································· 83
    부 록 ··································································································· 85
  • 특별자치권 확립을 위한 제주특별자치도법의 헌법적 재검토

    연구책임 : 강창민|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6589

    목 차

    제1장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기대효과 3

    제2장 제주특별자치도의 감사체계의 공법적 검토와 개선방향 4
    제1절 문제소재 4
    제2절 국가기관에 의한 제주특별자치도의 감사체계와 그 개선방향 5
    Ⅰ. 국가기관에 의한 감사 5
    1. 감사원의 감사 6
    2. 국회에 의한 감사 8
    3. 중앙행정기관 장의 감사 10
    4. 제주특별자치도의 감사의 특례 11
    Ⅱ. 자치감사체계의 구축을 위한 국가기관 감사의 개선방향 12
    1. 문제소재 12
    2. 국회 국정감사의 개선방향 13
    3. 감사원 감사의 개선방향 14
    제3절 감사위원회에 의한 자치감사 체계와 개선방향 16
    Ⅰ. 자치감사의 의의 및 관련 규정 16
    Ⅱ. 감사위원회의 주요내용 18
    1. 감사위원 구성 18
    2. 감사위원의 소속 및 직무 20
    3. 자치감사의 종류 및 범위 22
    4. 자치감사계획 수립 24
    5. 감사위원회의 감사결과에 대한 조치 25
    6. 시민감사관제도 26
    Ⅲ. 감사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7
    1. 문제소재 27
    2. 감사위원회의 소속에 관한 문제와 개선방향 28
    3. 감사위원 구성의 문제와 개선방향 31
    4. 감사위원 임기규정의 문제와 개선방향 33
    5. 감사의 범위에 관한 규정의 문제와 개선방향 35
    6. 감사의 대상 기관에 관한 규정의 문제와 개선방향 36
    제4절 감사위원회에 대한 지방의회에 의한 감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39
    Ⅰ. 지방의회 감사의 주요내용 39
    Ⅱ. 자치감사와의 관계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40

    제3장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체계에 대한 공법적 검토 42
    제1절 문제의 제기 42
    제2절 특별자치와 재정고권 43
    Ⅰ. 헌법과 지방자치 43
    Ⅱ. 재정고권 44
    Ⅲ.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고권 47
    제3절 제주특별자치도법상의 재정체계 49
    Ⅰ. 특례규정 현황 49
    Ⅱ. 특례규정의 개별적 검토 50
    1. 제주특별자치도세 50
    2. 과세면제 등에 관한 특례 52
    3. 세율조정에 관한 특례 54
    4. 지방교부세에 관한 특례 59
    5.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국가의 재정지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에 제주 특별자치도계정설치에 관한 특례- 62
    6. 지방채 등의 발행 특례 64
    7. 예산편성 과정에 주민참여 65
    제4절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체계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66
    Ⅰ. 제주특별자치도 재정체계의 최적화를 위한 헌법개정검토 67
    Ⅱ. 제주특별법 등의 개정검토 70
    1. 자주재원의 강화 70
    2. 의존재원의 확충 74

    제4장 제주특별자치법의 헌법적 개선방안 76
    제1절 제주특별자치도 기본구상 및 계획 76
    Ⅰ. 제주특별자치도의 기본계획 76
    Ⅱ. 제주특별자치도의 추진과정에서의 제약 요인 77
    1. 권한이양 등 제도개선 추진방식의 개선필요 77
    2. 현행 재정․세제시스템 하에서의 자치재정권 한계 78
    3. 현행 법제 하에서의 자치입법권의 한계 78
    4. 권한이양 등 제도개선 추진방식의 개선 필요 78
    제2절 제주특별자치도 추진을 위한 제도 구축방안 79
    제3절 제주특별자치도를 위한 헌법개정의 필요성 81
    Ⅰ. 배경 81
    Ⅱ. 제주특별자치도의 법적 지위의 한계 82
    Ⅲ. 자치권 보장의 한계 83
    Ⅳ. 권한이양 규정상의 한계 84
    Ⅴ. 제주특별법상 업무수행의 문제점 85
    제4절 헌법 개정의 일반적 동향과 지방자치 86
    Ⅰ. 헌법개정의 주요과제 86
    Ⅱ. 국회 헌법개정자문위원회의 이원정부제안에 대한 비판 88
    Ⅲ. 지방자치조항의 개정 94
    제5절 제주특별자치도의 헌법적 근거마련 100
    Ⅰ. 특별자치제의 함의 100
    Ⅱ. 헌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헌법개정안 101
    Ⅲ. 특별자치제의 실시를 위한 헌법개정안 102

    제5장 결론 105
    제1절 헌법개정검토 105
    제2절 제주특별자치도법의 개정검토 105

  • 기후변화가 섬관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7448

    목 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 1
    제2절 연구목적 / 4
    제3절 연구계획과 방법 / 5
    제4절 기대효과 및 연구 장점 / 5

    제2장 기후변화와 관광 8
    제1절 기후변화 현황 및 영향 / 8
    가. 세계 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 8
    나. 영향 요인에 의한 기후변화 / 16
    다. 한국의 기후변화 현황 및 영향 / 18
    제2절 기후변화와 관광 / 21
    가. 기후변화와 관광과의 관계 / 21
    나. 관광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실태 / 23
    다. 기후변화로 인한 관광분야의 변화 양상 / 25

    제3장 섬 지역의 기후변화 30
    제1절 섬 지역에서의 기후변화 / 30
    가. 섬 관광지역에서 잠재적인 기후변화의 영향 이해 / 30
    나. 소규모 섬 지역의 기후변화 양상 /31
    제2절 섬 지역의 기후변화와 정책적 대응 / 34

    제4장 국내외 기후변화 정책과 섬 사례 연구지역 38
    제1절 국내외 기후변화 정책 / 38
    가. 대한민국 / 38
    나. UNEP / 45
    다. 캐나다 / 47
    제2절 사례 연구지역 / 53
    가. 제주도 / 53
    나. 벤쿠버 섬 / 54

    제5장 기후변화가 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 57
    제1절 조사 개요 / 57
    제2절 조사 결과 / 59
    가. 기후변화와 환경에 대한 일반적 인식 / 59
    나. 섬 관광과 기후변화와 관련한 이슈 / 60
    다. 섬 관광과 관련한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전략 / 64
    라. 섬 관광의 기후변화에 대한 섬 관광 이해관계자들의 상대적 역할 / 68

    제6장 섬 지역의 기후변화에 대비한 정책방향 73
    제1절 정책결정자와 관광산업에 대한 조언 / 73
    가. 기후변화에 의한 섬 관광의 취약성 고려 / 73
    나. 기후변화정책에 대응하는 섬 관광 전략과 프로그램 / 76
    다. 저탄소 사회를 위한 관광정책 추진 / 80
    제2절 기후변화와 관광미래의 연구의제 / 82

    제7장 영문보고서 84

    참고문헌
  • 경마장 이용객의 도박중독성과 알코올 남용,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강창민|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6898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3. 연구의 기대효과 5

    Ⅱ. 이론적 배경 7
    1. 경 마 7
    2. 도박으로서의 경마 8
    3. 도박과 알코올 중독 12
    4. 도박과 정신건강 14

    Ⅲ. 조사설계 16
    1. 연구설계 16
    2. 자료수집방법 16
    3. 연구 목적 16
    4. 용어의 정의 17
    5. 조사도구 18
    1) 경마행동 조사지 18
    2) 도박성 판단 도구 19
    3) 알코올 남용 진단 척도 20
    4) 정신건강 척도 21
    6. 자료의 분석 23
    Ⅳ. 조사결과 24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1) 성별 구조 24
    2) 연령 구조 24
    3) 학력 25
    4) 직업 25
    5) 결혼상태 26
    6) 주거상태 26
    7) 월 소득 27
    8) 거주지 27
    9) 경마 시작 나이 28
    10) 일 평균 참가 경주 수 28
    11) 일 평균 마권 구입 액수 29
    12) 월 평균 방문 횟수 29
    13) 동반자 29
    14) 경마 참가 목적 30
    2. 대상자의 도박중독성 3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박중독성 32
    1) 성별에 따른 도박중독성 32
    2) 연령에 따른 도박중독성 33
    3) 학력에 따른 도박중독성 34
    4) 직업에 따른 도박중독성 35
    5) 결혼상태에 따른 도박중독성 36
    6) 주거형태에 따른 도박중독성 37
    7) 월 소득에 따른 도박중독성 38
    8) 거주지에 따른 도박중독성 39
    9) 경마 시작 나이에 따른 도박중독성 40
    10) 일 평균 참가 경주 수에 따른 도박중독성 41
    11) 마권구입액에 따른 도박중독성 42
    12) 월 평균 경마장 방문횟수에 따른 도박중독성 43
    13) 동반자에 따른 도박중독성 44
    14) 경마 참가 목적에 따른 도박중독성 45
    4. 조사대상자들의 알코올 사용 정도 45
    1) 대상자들의 알코올 사용 정도 45
    2) 대상자들의 도박중독 정도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46
    5.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47
    1) 성별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47
    2) 연령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47
    3) 학력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48
    4) 직업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49
    5) 결혼상태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0
    6) 주거상태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1
    7) 월 소득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2
    8) 거주지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3
    9) 경마 시작 나이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3
    10) 일 평균 참가 경주수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4
    11) 마권 구입액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5
    12) 월 평균 경마장 방문횟수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6
    13) 동반자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7
    14) 경마 참가 목적에 따른 알코올 사용 수준 57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들의 정신건강 수준 58
    7. 도박중독수준별 알코올 남용 및 정신건강 정도 64
    8. 경마의 도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


    Ⅴ. 조사결과 요약과 정책제언 67
    1. 조사결과 요약 67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7
    2) 조사대상자의 도박중독성 68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박중독성 68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알코올 남용 및 정신건강 정도 70
    5) 도박중독수준별 알코올 남용 및 정신건강 정도 73
    6) 경마의 도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4
    2. 정책제언 74

    참고문헌 77
    부록 1) 경마행동조사지 83
    부록 2) 도박성 판단 도구 85
    부록 3) 알코올 남용 진단 척도 86
    부록 4) 정신건강척도 87

  • 제주지역의 생활계 페기물의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6339

    목 차

    제I장 서 론 1

    제II장 생활폐기물의 분류체계 및 발생현황 4
    1. 폐기물의 분류체계 4
    1.1. 폐기물의 법률적 개념 4
    1.2. 폐기물의 분류 5

    2. 생활폐기물의 배출방법 및 발생현황 6
    2.1. 생활페기물의 배출방법 6
    2.2. 생활폐기물 발생현황 8

    제III장. 생활폐기물의 배출체계 18
    1. 제주특별자치도 생활페기물 배출방법 18
    1.1. 배출방법, 장소 및 시간 18

    2. 생활폐기물의 배출체계 고찰 20
    2.1. 생활폐기물의 처리의무 20
    2.2. 생활쓰레기 배출형태별 분류 20

    제IV장 쓰레기 배출방법, 수수료 부과방법 현황 및 특성 24
    1. 쓰레기 종량제 연혁 24
    2. 쓰레기 종량제 일반현황 24
    3. 쓰레기 배출과 수수료 부과방법 34

    제V장 쓰레기 배출 관련 일본사례 조사 37
    1. 후쿠오카 37
    1.1 후쿠오카 쓰레기 배출원칙 37
    1.2 가연성 쓰레기 38
    1.3 불연성 쓰레기 40
    1.4 빈병·페트병 41
    1.5 대형쓰레기 41
    1.6 수거하지 않는 쓰레기 43
    1.7 지역 집단 수거 기반시설 44
    1.8 기타 쓰레기 45

    1. 키타큐슈 45
    2.1 가정 쓰레기 45
    2.2 캔·병·페트병 47
    2.3 플라스틱제 포장용기 49
    2.4 종이팩, 형광등, 금속제품 51
    2.5 음식쓰레기, 나뭇가지 등 51
    2.6 대형쓰레기 52
    2.7 수거하지 않는 쓰레기 54

    제Ⅵ장 현행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5
    1. 정책운용 현황 55
    1.1 우리나라의 페기물관리 정책 55
    1.2 제주도의 폐기물관리 정책 59

    2. 쓰레기 규격봉투에 의한 배출방법의 문제점 60
    2.1 종량제 봉투에 의한 2차 오염 및 이산화탄소 발생 60
    2.2 종량제 봉투의 다양성으로 인한 관리비용 증가 62
    2.3 종량제 봉투를 사용할 수 없는 쓰레기 처리에 한계 63
    2.4 재활용품 종류의 다양화로 인한 분리배출 한계 65

    3. 제주특성에 맞는 쓰레기 배출방법 및 개선사항 66
    3.1 제주의 지리적 특성과 쓰레기 배출방법 66
    3.2 제주시 청소행정의 현실태 및 개선사항 67
    3.3 제주시 청소행정의 한계와 문제점 69

    4. 제주시 청소행정 분야별 정책 71
    4.1 클린 하우스(거점배출 방식) 제도 71
    4.2 대형폐기물 신고 및 수거체계의 개선 74
    4.3 쓰레기 규격(종량제)봉투 공급체계 개선 76
    4.4 분야별 추진성과와 과제 78

    제Ⅶ장 제주특별자치도 생활쓰레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장기 정책제언 84
    1. 쓰레기 규격봉투 재질 변경 및 전용용기 쓰레기 배출방법 제고 84
    2. 쓰레기 규격봉투 종류의 단순화 85
    3. 재활용품 배출에 있어 수수료 부과방안 87
    4. 쓰레기 종류별 수거요일의 지정운영 87
    5. 대형폐기물 배출체계의 개선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88
    6. 생활쓰레기 기계적 전처리시설 도입 90

    부록 1. 대법원 폐기물 분류기준 유권해석 사례 92
    부록 2. 가연성 쓰레기 및 불연성 쓰레기의 종류 93
    부록 3. 재활용품의 종류 및 분리배출 방법 94
    부록 4. 생활페기물 종류별 배출요일
  • 행정계층구조 개편에 따른 도민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책임 : 강창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2-31 |조회수 : 3440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제2장 행정구조개편과 주민 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제1절 제주특별자치도 행정구조개편의 의의 3
    1. 행정구조개편 추진과정 3
    2. 행정구조개편의 의의 4
    3. 제주특별자치도 시행 이전과 이후의 행정조직 6
    4. 읍․면의 위상 변화와 주민 8
    제2절 주민 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14
    1. 주민 생활지원서비스의 개념과 범위 14
    2.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징 15
    3. 주요국의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사례 16

    제3장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실태조사 분석 23
    제1절 조사개요 23
    제2절 조사분석 결과 25
    1. 행정구조 개편 이후 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25
    2. 청소 서비스 29
    3. 대중교통 서비스(시내ㆍ외 버스관련) 32
    4. 대중교통 서비스(택시 관련) 38
    5. 보건 서비스 44
    6. 상수도 서비스 49
    7. 구조구급 서비스 55
    8. 사회복지분야 서비스 61
    제3절 분석결과 종합 62

    제4장 제주특별자치도 주민 생활행정서비스 개선방향 64
    제1절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행정체제의 정비 필요성 64
    1. 주민행정수요 변화에 대한 행정관리적 적응성 취약 64
    2. 맞춤형 주민생활지원 업무 증대에 대한 대응성 부족 66
    3. 기존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 약화 67
    제2절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행정체제의 정비 기본방향 68
    1. 행정시와 읍․면․동의 역할분담 68
    2. 민관의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68
    3. 읍․면․동의 역할 강화 69
    4. 읍․면․동 기능 재정립 69
    5. 읍․면과 동의 생활지원서비스의 차별적 공급 70
    제3절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행정체제 정비 방안 71
    1. 행정기능의 강화 방향 71
    2. 행정조직의 재구축 방향 72
    3. 인력운영의 효율화 방향 72
    제4절 주민 생활지원서비스 관련 민관협력체계의 강화방안 73
    1. 기본방향 73
    2. 민관협력체계 구축방안 73

    제5장 결 론 75

    참 고 문 헌 77

    부록 1) 교차분석 결과 78
    부록 2) 설문지 125
  • 제주문화상징물 99선 활용 방안 연구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6283

    Ⅰ. 서 론 1
    1. 연구 개요 1
    2. 연구추진 방법 2
    3. 논의 대상 3

    Ⅱ. 문화상징과 문화산업 4
    1. 문화자산 4
    2. 문화상징 활용 6
    3. 문화콘텐츠 8

    Ⅲ. 제주문화상징물 99선 활용 방안:자연, 사회․생활을 중심으로 12
    1. 자연분야 12
    2. 사회․생활 분야 23
    3. 언어분야 32

    Ⅳ. 제주문화상징물 99선 활용 방안: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34
    1. 스토리텔링의 가치 34
    2. 원형콘텐츠의 활용 사례 36
    3. 새로운 모색 54

    Ⅴ. 결론 및 제언 72
    1. 결론 72
    2. 제언 74

    참고자료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