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마을만들기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6742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1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1. 연구의 범위 1
    2. 연구의 방법 2
    제4절 연구의 절차 2

    제2장 마을만들기의 정의 및 관련연구 3
    제1절 마을만들기의 정의 3
    1. 마을 만들기란 무엇인가? 3
    2. 마을 만들기의 연혁은? 4
    제2절 마을마을기 관련 연구 검토 4
    1. 지역개발의 역사적 변천 4
    2. 농촌지역개발의 정책방향 8

    제3장 제주지역 마을만들기 현황 14
    제1절 제주지역 마을의 일반현황 14
    1. ‘마을’이란? 14
    제2절 제주지역 마을의 이해 30
    1. 제주 농촌마을의 특수성 30
    2. 시사점 30

    제4장 사례조사 분석 44
    제1절 국내사례조사 44
    1. 토고미 마을(강원도 화천군) 44
    2. 외갓집 체험마을(양평 신론리) 47
    3. 교동(蛟洞)마을(경기도 포천군) 49
    Contents|목차
    4. 다랭이 마을(경남 남해군) 51
    5. 지족갯마을(경남 남해군) 56
    6. 고읍 단감마을(경남 사천시) 59
    제2절 국외사례조사 61
    1. 토요오카市의“황새야생복귀”와“에코뮤지엄” 61
    2. 산촌의 지역 만들기와 주체형성 64
    3. 과소"재생을 위한 "촌영(村營) 백화점"만들기 67
    4. 미야다 마을의 자연을 살린 마을 만들기 70
    5. 일본 미나베정(南部町)」/와카야마현 미나베정(南部町) 72
    6「. 다이몬요코쵸(大門橫丁)(」하코다테 불빛 포장마차)건설사업 」74
    7. 고야·구마노(高野·熊野)세계유산 보존·활용계획/와카야마현 지역재생사업 77
    제3절 시사점 80

    제5장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과평가 82
    1. 마을 만들기 사업평가의 배경 82
    2. 사업성과평가의 전반적 논의 88
    3. 사업성과평가모형의 설계 및 측정지표 개발 93

    제6장 제주지역 마을만들기 사업 진단 104
    제1절 평가대상마을의 특징 104
    1. 평가지역 및 조사대상 선정 104
    2. 평가지역 특징 107
    1) 제주시 영평동 107
    2) 명도암 참살이마을 111
    3) 예래동 115
    4) 위미1리 121
    5) 신흥2리 125
    6) 김녕리 130
    7) 온평리 133
    8) 수산1리 138
    9) 신풍리 141
    10) 선흘2리 145
    11) 교래리 148
    12) 판포리 152
    13) 조수1리 155
    14) 저지리 158
    15) 낙천리 163
    16) 신도1리 168
    17) 가파리 171
    18) 무릉2리 174
    19) 대평리 178
    20) 장전리 182
    3. 마을만들기 사업비 집행의 특징 186
    제2절 마을만들기 사업추진 마을 분석 190
    1. 평가개요 190
    2. 사업추진 개요 194
    3. 사회적 자본 조사 197
    1) 네트워크 수준 197
    2) 신뢰수준 199
    4. 공동체주의 조사 205
    5. 사업인식 조사 206
    1) 전반적 만족도 206
    2) 기대-성과 일치도 211
    3) 소득 및 마을환경개선 212
    6. 사업평가 217
    1) 효과성·능률성 217
    2) 성장변화 218
    3) 관리구조 219
    4) 고객관리 221
    7. 체험마을 사업평가 222
    제3절 제주 마을만들기 추진 마을 유형화와 유형별 특징 231
    1. 제주지역 마을만들기 마을의 유형화 231
    1) 유형화 기준 231
    2) 유형화의 절차 231
    2. 유형별 특징 232

    제7장 제주지역 마을만들기 활성화방안 240
    제1절 기본방향 240
    1. ‘지역특수성’에 근거한 전략 240
    2. ‘주민주도’의 원칙 240
    3. 마을공동체의 삶터만들기를 위한 마을만들기 240
    4. 민ㆍ관 협력의 원칙 241
    제2절 제주지역 마을만들기의 발전방안 241
    1. 제주지역 마을만들기의 강점 241
    2. 제주지역 마을만들기의 과제 242
    3. 마을만들기 활성화방안 244
    1)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균형잡힌 마을만들기 244
    2) 소득연계사업 강화방안 245
    3) 주체역량 강화방안 247
    4) 행정적 지원체계 수립 255
    5) 홍보 및 마케팅 강화 258
    6) 제도적 보완 259
    제3절 마을만들기 추진체계 262
  • 제주형 중소기업 지원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356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주요내용 및 방법 2

    Ⅱ. 제주지역의 중소기업 지원현황 및 실태 4
    1. 중소기업 현황 4
    2. 제주지역 중소기업 지원현황 6
    3. 제주의 중소기업 지원 세부지침 9
    1) 기술혁신으로 성장유망 선도 기업군 육성 9
    2) 분야별 기업환경 개선으로 경쟁력 강화 10
    3) 지역 생산제품의 대외시장 진입능력 강화 12
    4) 지역전략산업 육성기반 조성 14
    5) 고객 중심의 행정 구현으로 경영의욕의 고취 15

    Ⅲ. 국내 지자체 지원현황 및 선진사례 연구 17
    1. 국내 지자체 지원현황 17
    1) 강 원 도 17
    2) 충청북도 18
    3) 충청남도 20
    4) 전라북도 21
    5) 전라남도 22
    6) 경상북도 23
    7) 경상남도 24
    2. 해외사례 조사 26
    1) 조사목적 26
    2) 조사일정 26
    3) 조사기관 27
    4) 성과 28
    5) 대만 중소기업 정책 28

    Ⅳ. 지원시스템에 대한 기업체 의견조사 40
    1. 조사의 개요 40
    1) 목적 40
    2) 조사기간 40
    3) 조사개요 40
    2. 조사내용 41
    1) 기업의 일반현황 42
    2) 일반적인 내용에 관한 질문 45
    3) 지원제도에 관한 사항 53

    Ⅴ. 제주형 중소기업 지원시스템 59
    1. 지원계획에 따른 지원방안 59
    1) 제주형 자체 브랜드 상품의 개발 59
    2) 1대 1중소기업 연계지원사업의 지속적인 확대 59
    3)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의 활용 59
    4) 바이오산업 및 신성장 동력산업에의 집중적 육성 60
    5) 제주전력산업기획단의 운영 60
    2. 설문분석에 따른 지원방안 61
    1) 제주도내 공공기관의 기업 활동 지원 서비스 확대 61
    2) 애로요인의 분석과 해결방안 62
    3) 기술개발상 애로요인 64
    4) 금융권으로부터 자본 조달상 애로요인 65
    5) 제품판매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 66
    6) 제주지역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68
    7) 기타 애로요인에 대한 지원방안 69
    3. 제주형 중소기업 지원시스템 구축방안 70
    1) 창업 지원에 최우선 정책 71
    2) 지역경제 및 클러스터 정책과 긴밀한 연계 71
    3) 혁신적 중소기업에 대한 차별적 지원 72
    4)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쟁력 배양 72
    5) 일원화된 지원모형 구축 72

    Ⅵ. 요약 및 제언 74
    1. 연구결과의 요약 74
    2. 정책적 제언 78
  • 제주지역의 직업훈련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375

    목 차

    제1장 연구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의 주요내용 및 범위 4
    4. 연구방법 5
    5. 연구의 기대효과 5

    제2장 우리나라 직업훈련 정책의 현황과 향후 과제 6
    1. 우리나라 직업훈련 정책의 현황 6
    2. 정책환경의 변화와 지역밀착형 직업훈련 정책의 방향 23

    제3장 외국의 지역 직업훈련 정 사례 29
    1. OECD의 파트너십 추진 권고 29
    2. 미국의 지역 노동력 혁신 사업과 지역 파트너십 31
    3. 영국의 지역 거버넌스 33
    4. 외국 사례의 시사점 37

    제4장 제주지역의 직업훈련 현황 및 문제점 39
    1. 직업훈련사업 현황 39
    2. 직업훈련사업의 문제점 53

    제5장 제주지역의 직업훈련 실태조사 및 해석 55
    1. 조사의 설계 55
    2.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조사결과 분석 및 해석 57
    3. 직업훈련생에 대한 조사결과 분석 및 해석 98

    제6장 결론 128
    1. 요약 및 결론 129
    2. 정책적 제언 143

    □ 참 고 문 헌 149

    □ 부 록(설 문 조 사 표) 151
  • 건강식품과 연계한 제주지역 농산물 클러스터 구축 방안

    연구책임 : 강승진|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745

    <제목 차례>

    Ⅰ. 연구의 개요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내용 및 방법 3

    Ⅱ. 클러스터의 개념과 적용 4
    1. 산업 클러스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4
    2. 지역농업 클러스터 구성요소 8
    3. 지역농업 클러스터 입지여건 및 성립형태 10
    4. 지역농산물 클러스터의 발전조건 16
    5. 지역농산물 클러스터 현황 21

    Ⅲ. 건강식품과 연계한 지역농산물 개념과 현황 26
    1. 건강식품의 개요 26
    2.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뽑은 10대 건강식품 31
    3. 건강식품과 연계한 제주지역농산물 현황과 종류 35
    4. 정부 식품산업 육성계획 및 국내 건강식품업계 동향 59

    Ⅳ. 건강식품과 연계한 지역농산물 클러스터 구축방안 73
    1. 건강식품과 연계한 지역농산물 클러스터 국외 사례 73
    2. 국가 식품 클러스터 96
    3. 건강식품 연계 지역농산물 실태조사 109
    4. 제주지역 청정농산물 건강·웰빙식품의 경제성 추정 ·························· 125
    5. 건강식품과 연계한 지역농산물 클러스터 구축방안 127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53

    참 고 문 헌 155

    부 록 : 설문지 157
  • 제주지역 하천 유출수 활용을 위한 수문 및 수질특성 기초연구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234

    목 차



    제1장 서 언 1

    제2장 연구대상 하천의 유역현황 3
    2-1. 형상 및 지형 5
    2-2. 토지이용 9
    2-3. 지질 12

    제3장 하천의 유출특성 15
    3-1. 이론적 고찰 15
    3-1-1. 강우와 유출 15
    3-1-2. 하천유량 수문곡선 16
    3-1-3. 수문모델을 적용한 유출특성 모의 17
    3-2. 유출특성 20
    3-2-1. 강수량 20
    3-2-2. 유출발생 빈도 24
    3-2-3. 유출특성 27

    제4장 하천유출량 및 유출률 산정 31
    4-1. 기존의 하천유출량 조사방법 31
    4-2. 수위-유속 및 수위-유출량 관계식의 유도 34
    4-3. 유출량 및 유출률 산정 38




    제5장 하천유출수의 수질조사 45
    5-1. 강우의 수질특성 45
    5-2. 지하수의 수질특성 48
    5-3. 하천유출수의 수질특성 50

    제6장 하천유출수를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58
    6-1. 지하수 인공함양 방법 59
    6-2. 한라산 고지대 하천유출수를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시범연구 60
    6-2-1. 홍수저감 저류지 설치 60
    6-2-2. 홍수저감 저류지와 연계한 지하수 인공함양 시범연구 63
    6-2-3. 과거 유출사상별 하천유출수의 저류지 유입 가능성 74

    제7장 요약 및 제언 93

    참고문헌 97
  •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지방세 신세원 발굴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144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과정 5

    II. 지방세 신 세원 발굴 관련 논의 8
    1. 지방세 신 세원 발굴의 개념 8
    2. 지방세 신 세원 발굴 관련 논의 10
    2.1. 중앙정부의 논의 10
    2.2. 지방자치단체의 논의 18
    2.3. 학문적 논의 21
    2.4. 소결 35

    III. 지방세 신 세원 발굴 방안 37
    1. 이론적 측면 37
    1.1. 지방세의 원칙 37
    1.2. 시사점 41
    2. 법률적 측면 41
    2.1. 우리나라의 지방세 체계 42
    2.2. 지방세 신 세원의 법제화 방안 45
    2.3. 지방세 신 세원의 과세 방안 48
    3. 경제적 측면 51
    3.1. 신 세원 부과 재화의 수요 변화 분석모형 52
    3.2.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모형 59

    IV. 제주지역의 지방세 신 세원 도입 방안: 관광세 62
    1. 이론적 측면 63
    2. 법률적 측면 66
    2.1. 관광세의 법제화 방안 66
    2.2. 관광세의 과세 방안 67
    3. 경제적 측면 70
    3.1. 분석의 전제 71
    3.2. 관광세 도입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 72
    3.3. 관광세 도입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 83
    3.4. 종합적 평가 85

    V. 결 론 88

    【참고 문헌】 92
    【부록 1】관광세 부과에 따른 산업별 지역경제파급효과(부가가치 효과) 96
    【부록 2】설문지 99
    표 차 례

    <표 2-1> 선택적 과세권 확대 정책의 검토 세원 13
    <표 2-2> 신 세원 가능 부존자원 조사 내역 14
    <표 2-3> 지방세 신 세원 도입 상의 문제점 16
    <표 2-4>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신 세원 발굴 구상 18
    <표 2-5> 관광세 도입 관련 선행연구 26
    <표 2-6> 환경세의 과세 유형 28
    <표 2-7> 환경세 도입 관련 선행연구 31
    <표 4-1> 제주지역 방문 관광객 수 및 관광수입 65
    <표 4-2> 선행 연구의 관광세 과세 방안 68
    <표 4-3> 기초통계량 75
    <표 4-4> 모형 추정 결과 78
    <표 4-5> 관광세 부과에 따른 수요감소율 80
    <표 4-6> 관광객의 지출관광비용 81
    <표 4-7> 관광세 부과에 따른 관광수입 변화 82
    <표 4-8> 관광세 부과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83
    <표 4-9> 관광세 부과 수준별 재정 확충 효과 84
    <표 4-10> 관광세 도입에 대한 종합적 평가 85
    <표 4-11> 제주지역 관광세입의 규모 87
    그 림 차 례

    (그림 1-1) 연도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2
    (그림 1-2) 연구의 과정 7
    (그림 2-1) 지방세 신 세원 발굴 방안 9
    (그림 2-2) 관광객과 관광세 부담과의 관계 23
    (그림 3-1) 지방세의 조세 체계도 43
    (그림 3-2) 분석모형 설정의 개요 52
    (그림 4-1) 제주지역의 방문 관광객 현황 62
    (그림 4-2) 모형추정 결과 79
  • 어촌종합개발사업 경영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765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구성 3

    Ⅱ. 어촌종합개발사업 현황 4
    1.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성격 4
    2.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정의 및 목표 5
    3. 어촌종합개발사업의 범위 7
    4.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추진배경 9
    5.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추진과정 10
    6.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추진방식 12
    7.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추진성과 15
    8. 제주지역 어촌종합개발사업 현황 17

    Ⅲ.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21
    1. 개발사업에 따른 비용 및 편익 21
    2. 제주지역 경제파급효과 분석과정 24
    3. 제주지역 경제파급효과 분석결과 28


    Ⅳ. 문제점 31
    1. 사업추진상의 문제점 31
    2. 사업집행 및 제도적 문제점 36

    Ⅴ. 개선방안 38
    1. 경영측면의 개선방안 38
    2. 부실사업의 개선방안 40
    3. 지속가능한 개발방안 검토 43
    4. 어촌관광정보망 확보방안 46
    5. 어업인의 관광객 수용능력 강화 47

    □ 참고문헌 48
    □ 부 록 49
    1. 어촌종합개발사업 집행지침 해설 51
    2. 제주지역 주요 해양수산 통계 59
  • 도시공공시설의 입지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583

    <제목 차례>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제2장 이론적 고찰 4
    1. 도시공공시설 4
    1) 학술적 측면 4
    2) 법적 측면 6
    2. 모형의 기본이론 9
    1) 접근성 9
    2) 중력모형 10
    3. 공공시설의 입지모형 11
    1) 기본 분류 11
    2) 네트워크 분석 16
    3) 공간적 상호작용 모형 18
    4. 공공시설입지와 GIS 분석모듈 적용 19
    5. 선행연구 고찰 22

    제3장 도시공공시설의 입지평가시스템 구축 28
    1. 공공시설 입지모형의 이론 정립 28
    1) 모형의 기본 구조 28
    2) 입지평가모형의 정립 29
    2. 입지평가모형의 구축 30
    1) 구축 과정 30
    2) 자료구축 방법 32
    3) GIS 분석모듈 적용방안 33
    제4장 적용사례 연구 35
    1. 제주시 기초 현황 35
    2. 제주시 학교시설 39
    1) 선정 근거 39
    2) 제주지역 학교시설 41
    3) 제주시 동지역 중학교 41
    3. 자료구축 43
    1) 제주시 중학교 시설 43
    2) 잠재취학아동수 추정 44
    3) 잠재취학아동수의 공간적 배분 46
    4) 제주시 도로망 자료구축 48
    4. 제주시 중학교의 입지평가 49
    1) 평가기준 설정 49
    2) 평가결과 및 분석 51
    5. 제주시 중학교의 신규입지 53
    1) 입지 기준설정 53
    2) 입지결과 및 분석 54

    제5장 연구의 종합 55
    1. 연구의의 55
    2. 정책적 활용성 56
    3. 향후 연구과제 56

    참고문헌 58
    부 록 : 도시공공시설의 법적 분류 61

  • 제주지역 주택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512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1
    3. 연구의 진행 및 내용 2

    Ⅱ. 주택관련 이론적 고찰 3

    제1절 주택의 개념과 특징 3
    1. 주택의 정의 3
    2. 주택의 특징 4

    제2절 국내외 주택관련 연구 5
    1. 주거환경의 질 관련 연구 5
    2.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접근방법 6
    3. 국내의 관련연구 검토 7
    4. 국외의 관련연구 동향 9

    제3절 주거와 주택의 미래 12
    1. 절제된 소비사회 도래 12
    2. 지방화 진전 12
    3. 인구와 가족구조 변화 13
    4. 정보화 진전 13
    5. 소비 패러다임 변화 13

    제4절 주생활 개념의 변화 14
    1. 소유에서 사용으로 의식변화 14
    2. 획일에서 개성으로 의식변화 15
    3. 쉘터에서 쾌적성 추구로의 의식변화 15

    Ⅲ. 제주특별자치도 주거현황 분석 16

    제1절 주택관련 일반적인 지표 분석 16
    1. 주택 지표 비교 16
    2. 주택보급률 관련 17
    3. 인구주택총조사 관련 19

    제2절 제주특별자치도의 인구‧가구‧주택 현황 22

    Ⅳ. 제주특별자치도민 주거의식 조사‧분석 23

    제1절 주거의식 설문조사 개요 23
    1. 설문조사의 개요와 내용 23
    2. 조사개요 24

    제2절 설문분석 25
    1. 설문응답자의 일반사항 25
    2. 설문응답자의 주거관련 사항 28
    3. 주거환경 만족도 33
    4. 주택소유 및 주거지 이전 관련 41
    5. 공동체 의식 분석 47

    제3절 도내 주거환경 정책방향 50
    1. 주거환경‧의식 분석 50

    Ⅴ. 주택재생 관련 국내외 사례 52
    1. 단독주택 주거지 사례 52
    2. 공동주택단지 원인 및 과제 54
    3. 주택정책 개선방안 56
    4. 향후 주거지재생 59
    5. 주택정책의 재생측면 제언 79

    Ⅵ. 결 론 82
  • 제주지역의 크루즈관광 실태 및 활성화방안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11-30 |조회수 : 608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한계 3
    3. 연구 구성 3

    Ⅱ. 크루즈관광 이론연구 5
    1. 크루즈관광의 개념 5
    2. 크루즈관광의 분류 7
    3. 크루즈관광의 발전과정 7
    4. 크루즈선사의 기항지 선정요건 9
    5. 크루즈항과 크루즈터미널 10

    Ⅲ. 국내․외 크루즈관광 현황 12
    1. 국내 크루즈관광 현황 12
    2. 국외 크루즈관광 현황 30
    3. 시사점 53

    Ⅳ. 제주지역의 크루즈관광 현황 55
    1. 크루즈항 개발 55
    2. 크루즈 관광객 수 추이 55
    3. 제주방문시 관광코스 63
    Ⅴ. 중국인 크루즈관광객 설문조사 66
    1. 조사개요 66
    2. 분석결과 67

    Ⅵ. 제주지역 크루즈관광 활성화방안 79
    1. 기본방향 79
    2. 활성화방안 81

    Ⅶ. 결론 97

    참고문헌 100

    설문조사서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