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평가연구

    연구책임 : 강창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7-07-15 |조회수 : 1644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3

    Ⅱ.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4
    1. 행복 및 행복지수의 개념 4
    2. 행복의 학문적 영역 5
    3. 행복지수의 개념 6
    4. 국내ㆍ외 선행사례 지표분석 8

    Ⅲ.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설계를 위한 지표 20
    1. 통계청 국민 삶의 질 조사(2016) 20
    2.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조사(2015) 25
    3. 행정자치부 지역공동체 행복수준 조사(2015) 26
    4. 제주특별자치도 통계연보(2016) 30
    5. 제주특별자치도 사회조사(2016) 31

    Ⅳ.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선정 41
    1. 행복지수 구성방법 41
    2. 행복지수 분석지표 구성 43
    3. 행복지수 선정 44
    4. 행복지수 종합 50

    Ⅴ.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평가 53
    1.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전문가 평가(AHP) 53
    2.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객관적 지표 분석 63
    Ⅵ. 정책제언 및 결론 97
    1. 정책제언(행복지수 관리방안) 97
    2. 결론 101

    참고문헌 104
    Abstract 106


    [부록 1]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AHP 조사지 109
  • 지방소득세의 독립세 전환에 따른 세수증대효과 및 소요인력 산정연구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7-07-15 |조회수 : 1050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2
    3. 연구 범위 2
    4. 주요 연구 내용 3
    5.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효과 4

    Ⅱ. 지방소득세의 독립세 전환 개요 5
    1. 지방소득세 독립세 전환 개념 5
    2. 지방소득세 세무인력 보강 필요성 6
    3. 지자체 조직 운영 8
    4. 지방소득세 과세체계 개편에 따른 업무 흐름도 10

    Ⅲ. 지방소득세 개편 주요내용 11
    1. 현행 지방소득세제 내용 11
    2. 지방소득세제 개편 내용 17
    3. 지방세무조직 운영 현황 24

    Ⅳ. 독립세 전환에 따른 세수 증대 효과 및 소요인력 산정 42
    1. 세수 증대 효과 42
    2. 국세조직 인력비례 소요인력 산출 44
    3. 지방소득세 업무량별 소요인력 산출 58


    Ⅴ. 요약 및 정책적 제언 62

    참고문헌 69
    ABSTRACT 70
  • 청정 제주 수산물 해상운송 물류비 조사 연구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7-07-15 |조회수 : 135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
    4. 기대효과 3

    II. 제주 수산물 생산 현황 및 유통․물류 실태 4
    1. 제주 수산물 생산 현황 4
    2. 우리나라 수산물 유통․물류 실태 14
    3. 제주 수산물의 유통 실태 및 유통물류비 조사 사례 21
    4. 물류비 산정에의 시사점 27

    Ⅲ. 제주 수산물 물류비 원가산정 조사 28
    1. 물류비 원가산정 28
    2. 제주 수산물 물류비 원가산정 조사결과 34

    Ⅳ. 수산물 물류비 원가산정 조사에 따른 정책적 제언 116
    1. 제주 수산물 물류비 원가산정의 의의 116
    2. 수산물 물류비용 관련 정책적 제언 117
    3. 향후과제 118


    참고문헌 119

    ABSTRACT 120
  • 제주 농가의 부채관리 지원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7-07-15 |조회수 : 1153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차별성 2
    3. 연구내용 5

    Ⅱ. 제주 농가부채 현황 7
    1. 농가부채 7
    2. 농가자산 대비 부채 11
    3. 농가소득 및 가계지출 14

    Ⅲ. 제주 농가부채 분석틀 24
    1. 농가부채 접근방식 24
    2. 제주 농가부채 분석틀 27

    Ⅳ. 제주 농가부채 분석 결과 29
    1. 유형별 농가경제 현황 29
    2. 부채상환능력지표 농가 비중 36
    3. 부채증가 규모별 농가 분석 38

    Ⅴ. 농가부채 관련 정책 40
    1. 농가부채 대책 경과 40
    2. 현행 농가부채 관련 정책 42




    Ⅵ. 제주 농가의 부채관리 지원 방안 54
    1. 농가 금융상담센터 설치 및 운영 55
    2. 농가부채 모니터링 체계 구축 56

    Ⅶ. 결 론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3

  • 제주시청 청사 재정비를 위한 타당성 및 기본구상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7-07-15 |조회수 : 117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Ⅱ. 현황 및 여건분석 5
    1. 시청사에 대한 정의 5
    1) 공공청사 및 시청사 유래 5
    2) 우리나라 청사 건축 6
    3) 지방자치시대의 시청사의 의미 7
    4) 시청사 공간에 대한 수요의 변화 7
    5) 시군본청 청사 면적 기준 8
    2. 제주시 및 주변 현황 11
    1) 인구현황 11
    2) 여건분석 12
    3) 부지분석 17
    4) 제주시청 주변 주요 건축물 현황 28

    Ⅲ. 사례분석 및 설문조사 분석 32
    1. 국내사례 32
    1) 경기도청 북부청사 별관 32
    2) 경기도 하남시청 별관 34
    3) 경남도청 별관 35
    4) 경기도 구리시청 별관 37
    5) 울산시청 별관 38
    6) 광주남구청 별관 40
    2. 관련계획 검토 41
    3. 설문조사 분석 42
    1) 목적 및 방법 42
    2) 제주시청 종사자(공무원) 주요내용 43
    (1) 인구통계적 특성 43
    (2) 제주시청 종사자 인식조사 45
    3) 제주시청 이용자(민원인) 주요내용 56
    (1) 인구통계적 특성 56
    (2) 제주시청 이용객 인식조사 57

    Ⅳ. 기본구상 70
    1. 기본구상 70
    1) 기본원칙 70
    2. 대안의 선정 및 비교 75

    Ⅴ. 결 론 92
    1. 마무리 92
    2. 정책제언 93
  • 사업장 폐기물 감량 및 효율적인 관리 방안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7-07-15 |조회수 : 1028

    목 차

    연구요약 ⅰ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
    3. 주요 연구내용 2

    Ⅱ. 폐기물 관리 주요 체계 3
    1. 자원의 순환 3
    2. 폐기물의 개념과 분류 6
    1) 폐기물의 개념 6
    2) 폐기물의 분류 6
    3. 폐기물 처리체계 및 처리절차 8
    1) 폐기물 처리체계 8
    2) 폐기물 처리절차 8
    4. 폐기물 관련 법령 10

    Ⅲ.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2
    1. 폐기물 발생현황 추이 12
    2. 지역별 폐기물 발생현황 13
    3. 폐기물 종류별 발생 현황 14
    1) 생활폐기물 14
    2)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15
    3) 건설폐기물 16
    4. 폐기물 성상 변화추이 16
    1) 종량제에 의한 생활폐기물배출 16
    2)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19

    3) 건설폐기물 21
    5. 폐기물 종류별 처리방법 변화추이 22
    1) 총폐기물 22
    2) 생활폐기물 22
    3)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24
    4) 건설폐기물 25
    6. 폐기물 처리주체별 처리현황 26

    Ⅳ. 제주지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8
    1. 연도별 폐기물 발생량 증감률 추이 29
    2. 연도별 폐기물 발생량 추이 32
    3. 폐기물 성상 변화추이 36
    1) 종량제에 의한 생활폐기물 배출 36
    2)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43
    3) 건설폐기물 46
    4. 폐기물 종류별 처리방법 변화추이 49
    1) 총폐기물 처리방법 변화추이 49
    2) 생활폐기물 처리방법 변화추이 51
    3)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56
    4) 건설폐기물 59
    5. 요약 및 함의 61
    1) 폐기물 발생량 증감률 추이 61
    2) 폐기물 발생량 추이 62
    3) 폐기물 성상 변화추이 62
    4) 폐기물 처리방법 추이 65
    5) 제주지역의 폐기물 배출 특성 70

    Ⅴ. 관련 정책 72
    1. 자원순환법 72
    1) 개요 72

    2) 주요내용 74
    3) 기대효과 77
    2.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관리 조례 78
    3. 사업장 폐기물 봉투실명제 85

    Ⅵ. 사업장폐기물 감량 및 효율적 관리 방안 87
    1. 폐기물발생의 전국과 제주 비교 및 매립현황 분석 88
    1) 폐기물발생의 전국과 제주 비교분석 88
    2) 제주지역 사업장폐기물매립관련 현황분석 95
    2. 사업장폐기물감량 및 관리방안 101
    1) 공공부문에서의 폐기물관리 102
    2)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폐기물관리 103

    참고문헌 106

    Abstract 107
  • 제주지역 회원제 골프장 이용객 개별소비세 면제 전략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미래기획연구

    발행일 : 2017-02-28 |조회수 : 1330

    - 목 차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5

    Ⅱ. 전국 및 제주지역 골프장 현황 ················································7
    1. 전국의 골프장 이용 및 요금 현황 ·················································9
    2. 제주지역 골프장 이용 및 요금 현황 ···········································22

    Ⅲ. 골프장 이용객 의견조사 ··························································33
    1. 조사설계 ·····························································································35
    1) 조사개요 ·························································································35
    2) 조사내용 ·························································································35
    2. 조사결과 ·····························································································37
    3. 정책적 시사점 ···················································································67

    Ⅳ. 제주지역 골프관광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73
    1. 골프관광객의 소비지출 규모 분석 ···············································75
    2.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76
    1)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결과 ·······················································76
    2)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의 한계와 활용 ·····································80

    Ⅴ. 개별소비세 면제 필요성 ··························································83
    1. 수요적 관점 ·······················································································85
    2. 조세․세무 관점 ················································································121
    3. 법․제도 등 종합적 관점 ································································156

    Ⅵ. 결 론 ··························································································171
    1. 제주지역 회원제 골프장 개별소비세 면제의 타당성 및 효과성 ···173
    2. 제주지역 회원제 골프장 개별소비세 면제의 필요성 및 당위성 ···181
  • 물순환 선도도시 사업추진을 위한 기본연구

    연구책임 : 박창열|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12-31 |조회수 : 3858

    목 차


    I. 서 론 3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주요내용 4

    II. 제주도 물순환 체계와 여건 변화 5
    1. 일반 현황 5
    1) 입지 5
    2) 지형 및 지질 6
    3) 기상 9
    4) 토양과 토지이용 12
    2. 물순환 체계 현황 16
    1) 물순환계 16
    2) 지하수 현황 17
    3. 물순환 체계 여건 변화 23
    1) 도시환경 변화 23
    2) 기후환경 변화 26
    3) 사회경제적 변화 29

    III. 국내․외 물순환 체계 복원사례 31
    1. 국내의 물순환 체계 복원사례 31
    1) 개요 31
    2) 그린빗물인프라 조성사업 32
    3) 빗물제로화 시범사업 34
    4) 물순환 선도도시 사업 37
    5) LID 기법 적용 도시개발 사업 38
    6) 서울시 LID 사업 41
    2. 해외 주요도시의 물순환 복원사례 42
    1) 독일 함부르크 42
    2) 독일 하노버 44
    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46
    4) 미국 뉴욕시 48
    5) 일본 동경도 52
    3. 국내외 사례를 통해 본 제주지역의 시사점 57

    IV. 제주도 특성을 고려한 물순환 회복방안 58
    1. 제주도 빗물관리 현황 58
    1) 빗물이용시설 현황 58
    2) 빗물이용시설 운영실태 59
    3) 빗물이용․관리 관련 제도 60
    2. 제주도 물문화 특성과 변화 62
    1) 용천수 개요 62
    2) 용천수 현황 62
    3) 물이용 형태와 활용 63
    4) 용천수에 대한 인식 변화 66
    3. 제주도 특성을 고려한 물순환 회복방안 68
    1) 제주도 물순환 및 물문화 특성 고려사항 68
    2) 제주도 물순환 및 물문화 특성을 고려한 물순환 회복 방안 69
    3) 제주도 물순환 회복방안 적용을 위한 추후 과제 70


    V. 제주도 물순환 선도도시 사업 추진계획 72
    1. 물순환 선도도시 사업 현황과 평가항목 72
    1) 물순환 선도도시 사업 현황 72
    2) 평가 유의사항 72
    2. 저영향개발 기법의 추진방향 75
    1) 저영향개발 기법의 기본원칙 75
    2) 저영향개발 기법의 추진전략 75
    3) 저영향개발 기법의 요소기술 78
    3. 시범사업 대상지역 79
    1) 대상지역 79
    2) 현황 및 특성 82
    4. 요소기술과 적용방안 85
    1) 물관리 목표수준 설정 85
    2) 주요 요소기술과 적용방안 86

    Ⅵ. 결 론 93


    참고문헌 95
  • 제주 탄소제로섬 조성 전략 연구(Ⅱ)

    연구책임 : 강진영|구분 : 미래기획연구

    발행일 : 2016-12-31 |조회수 : 1327

    목 차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Ⅱ. 탄소제로섬 조성 추진 여건 4
    1. 제주도의 사회·경제적 환경 4
    2.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전망 10
    3.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연 환경 14
    4. 제주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19

    Ⅲ. 비전 및 추진전략 26
    1. 탄소제로섬 비전 및 목표 26
    2. 탄소제로섬 추진 전략 27

    Ⅳ. 추진전략별 세부사업 29
    1. 청정에너지 자립섬 실현 29
    2. 세계 전기차 산업의 메카 41
    3. 기후변화 적응 47
    4. 저탄소 생활 실천 75
    5. 글로벌 브랜드로 발전 88

    Ⅴ. 추진전략별 핵심 사업 지표와 목표 94
    1. 추진전략별 핵심 사업 94
    2. 핵심 사업별 지표 및 목표 96



    Ⅵ. 정책 제언 114

    참고문헌 117
    Abstract 119
  • 부동산 금융제도를 활용한 지역개발사업의 도민 자본 참여 방안

    연구책임 : 강철준|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12-30 |조회수 : 2919

    목 차

    I. 연구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선행연구 고찰 및 정책동향 3
    1. 선행연구의 고찰 3
    2. 정책동향 19
    3. 제주지역 부동산시장과 정책동향 22

    Ⅲ. 제주지역 개발사업의 문제점 분석 30
    1. 제주지역 개발사업의 구조와 특징 30
    2. 제주지역 개발사업의 문제점 32
    3. 적정 발전방향 59

    Ⅳ. 제주 지역잡몬(도민자본)에 대한 고찰 70
    1. 지역자본(도민자본)의 정의 70
    2. 도민자본의 특성과 한계 73
    3. 도민자본 동원과제 및 발전방향 78

    Ⅴ. 부동산금융제도 및 실무 86
    1. 부동산금융의 개념과 종류 86
    2. 자본시장법상 부동산금융상품 및 투자사례 86
    3.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상 사회간접자본시설펀드(자본시장법 적용) 108
    4. 신탁법상 부동산신탁 115
    5.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부동산투자회사(리츠) 122
    6 법인세법상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134
    7.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상 부동산담보자산유동화증권(ABS) 137
    8. 기타 부동산금융관련 제도 142
    9. 정책성 자금 146
    10. 기관투자가 자금 146
    11. 부동산금융 관련 공기업 자금 148
    12. 개별법상 부동산금융 150

    Ⅵ. 전문가 설문조사 및 분석 154
    1. 조사개요 154
    2. 질문구성 154
    3. 분석결과 154
    4. 시사점 167

    Ⅶ. 제주지역 맞춤형 부동산금융기법 169
    1. 사업유형별 부동산금융 모형 169
    2. 효과적 부동산금융기법 개발전략 175
    3. 지역부동산사업 사례 179

    Ⅷ. 요약 및 정책제언 185
    1. 요약 185
    2. 정책제언 187

    참고문헌 189

    ABSTRACT 193

    부록 1. 설문지 194
    부록 2. 설문지 응답자 명단 197
    부록 3. 기타 펀드관련 법률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