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641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필요성 2
    2. 연구 목적 및 분석 구조 4
    3. 선행연구와 차별성 5

    Ⅱ. 영상 로케이션의 개괄과 효과 6
    1. 영상 로케이션의 정의 6
    2. 영상 로케이션의 파급 효과 7
    1) 경제 효과 7
    2) 관광 효과 8
    3) 홍보 효과 9
    4) 사회문화 효과 9
    3. 영상 로케이션의 파급 효과 모델 및 사례 제시 10
    1) 파급 효과 모델: 연관 효과 프로세스(process) 10
    2) 사례 제시: 뉴질랜드의 ‘프로도 경제 효과(Frodo Economy Effect)’ 12

    Ⅲ.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의 발전과 한계 15
    1.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 발전 현황 16
    1) 제주지역 영상 산업 발전 현황 16
    2)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 발전 현황 19
    2.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 비교 분석: 성과와 한계 26
    1) 촬영 편수 27
    2) 흥행 영화 30
    3) 한계 분석 37
    3.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의 문제점 42
    1) 물리적 요인 43
    2) 사회적 요인 46
    3) 제도적 요인 47

    Ⅳ.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 발전의 기본 방향 51
    1. 제주와 영상 로케이션 51
    1) 제주의 경제정책 방향 및 전략 51
    2) 제주 영상 로케이션의 전략적 위치 53
    2. 제주 영상 로케이션의 활성화 전략 55
    1) 영상 로케이션의 환경 변화 55
    2) 제주 영상 로케이션의 역량 58
    3) 제주 영상 로케이션의 활성화 방향 60

    Ⅴ. 제주지역 영상 로케이션 발전의 세부 방안 64
    1. 선행 전략 65
    1) 전문성 활성화 방안 65
    2)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68
    3) 제작지원 제도 구체화 방안 70
    2. 장기 전략 74
    1) 연관효과 극대화 방안 74
    2) 질적 성장 78
    3) 아시아 영상 메카 81

    Ⅵ. 요약 및 결론 83

    참고문헌 86

    부록 89

    Abstract 91
  • 제주교육재정 실태분석 및 세출효율화 방안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210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주요 내용 2
    3. 기대효과 2

    Ⅱ.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재정 규모 및 현황 3
    1. 교육재정 규모 3
    2. 세입예산(교육비 특별회계) 9
    3. 세출예산 분석 28
    4. 세입·세출결산 요약 분석 50

    Ⅲ. 제주교육재정 분석 56
    1. 교육재정지표 56
    2. 교육재정분석 64
    3. 제주 교육관련 일반현황 70

    Ⅳ.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재정 세출효율화 방안 82

    Ⅴ. 정책적 제언 90


    참고문헌 94
  • 제주시-서귀포시 지역산업연관표 개발을 통한 산업구조 분석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559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2

    Ⅱ. 지역산업연관표 작성 방법론 고찰 5
    1. 산업연관모형의 개념 및 기본가정 5
    1) 산업연관모형 및 산업연관표의 개념 5
    2) 산업연관모형의 기본가정 6
    2. 지역산업연관모형의 기본구조 7
    1) 지역간 산업연관모형 7
    2) 다지역 산업연관모형 9
    3. 방법론 고찰 및 선정 11
    1) 방법론 고찰 11
    2) 방법론 선정 13

    Ⅲ. 제주시-서귀포시 지역산업연관표 개발 14
    1. 분석 대상 산업 분류 14
    2. 지역산업연관표 작성 과정 15
    1) 타지역 중간거래행렬 외생화 16
    2) 기술계수 추정 17
    3) 교역계수 추정 18
    4) 제주시-서귀포시 지역산업연관표 작성 19


    Ⅳ. 산업구조 분석 21
    1. 제주시-서귀포시지역 산업별 현황 21
    1) 제주시-서귀포시지역 산업별 산출액 현황 분석 21
    2) 제주시-서귀포시지역 기반산업 분석 23
    2. 제주시-서귀포시지역 주요 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25
    1) 농림어업 25
    2) 음식료품 제조업 27
    3)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업 29

    Ⅴ. 산업연관효과 분석 32
    1. 생산유발계수 및 부가가치유발계수 32
    1) 생산유발계수 32
    2) 부가가치유발계수 36
    2. 전․후방 연관성 분석 39
    1) 감응도계수 39
    2) 영향력계수 41
    3) 핵심산업 선정(감응도․영향력계수 기준) 43

    Ⅵ. 연구의 요약 및 한계 44


    【참고문헌】 49
    【부 록】 50

    【ABSTRACT】 66
  •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수거요소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책임 : 강진영|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371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추진 체계 및 방법 3

    Ⅱ.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일반 현황 6
    1. 서귀포시 환경기초시설 현황 6
    2.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8

    Ⅲ.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관리 수요 15
    1. 폐기물 관리 수요 예측 기본 방향 15
    2.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정 30
    3.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발생량 산정 34
    4.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처리 대상량 37
    5. 장래 서귀포시 생활폐기물 관리 인력 및 장비 수요 예측 40

    Ⅳ. 서귀포시 동지역 생활폐기물 수거요소 분석 46
    1. 서귀포시 동지역 차량별 수거요소 분석 개요 46
    2. 서귀포시 동지역 차량별 수거 노선 현황 50
    3. 서귀포시 동지역 차량별 수거요소 분석 결과 76
    4. 서귀포시 동지역 폐기물 수거 체계 문제점 97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101

    참고문헌 106

    Abstract 108
  •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강창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151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방법 2

    Ⅱ. 이론적 고찰 3
    1. 스마트워크의 개념 및 유형 3
    2. 스마트워크의 필요성 10
    3. 스마트워크의 기대성과 12

    Ⅲ. 제주특별자치도 스마트워크 실태분석 20
    1.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부정책 추진 현황 20
    2. 스마트워크 운영 현황 22
    3. 스마트워크 실시를 위한 인사관리 규정 분석 23

    Ⅳ. 스마트워크 국내외 사례 분석 28
    1. 국내 스마트워크 사례 28
    2. 스마트워크 운영 사례 및 공공부문에의 시사점 도출 32
    3. 해외 스마트워크 활용 사례 33

    Ⅴ.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설문 조사 결과 41
    1. 조사 설계 41
    2. 분석 결과 43
    3. 분석 결과 종합 83
    Ⅵ.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 87
    1.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 87
    2. 관리자의 인식개선과 구성원의 도덕적 해이 방지 마련 필요 88
    3. 스마트워크에 대한 선도적 사례 개발 및 홍보 필요 89
    4.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기술적 보완 90
    5. 합리적인 성과 관리 필요 91
    6. 지방정부 확산과 지역과의 연계 필요 91

    참고문헌 92

    Abstract 93

    부록 95
  •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감귤류 시장 세분화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30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3. 기존 연구 검토 ········································································································2
    4. 용어 정의 ···············································································································4
    II. 과일 소비 트렌드 ··················································································6
    1. 연도별 과일 소비 트렌드 ·······················································································6
    2. 월별 과일 소비 트렌드 ·························································································12
    3. 감귤류의 소비 트렌드 ···························································································15
    4. 백화점에서 과일 소비 트렌드 ·············································································23
    5. 소결 ·························································································································28
    III. 감귤류 시장 세분화 ···········································································29
    1. 시장 세분화 ············································································································29
    2. 데이터 마이닝 ········································································································31
    3. 가우시안 믹스쳐 모델 ··························································································33
    4. 인구통계적인 변수 ································································································34
    5. 분석 결과 ·············································································································35
    6. 소결 ·························································································································39
    IV. 감귤류 유통 정책 검토 ····································································40
    1. 감귤 조례를 통한 공급량 조절과 품질관리 ·······················································40
    2. 조직화를 통한 유통창구 단일화 정책 ································································42
    3. 홍보·마케팅 정책 ································································································44
    4. 감귤 의무 자조금 정책 ························································································45
    V. 요약 및 결론 ·······················································································46
  • 제주 LNG인수기지 주변마을지원 기반 구축사업 후속 연구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11-15 |조회수 : 1781

    목 차

    요약 ⅰ

    제Ⅰ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1
    3. 연구범위 2
    4. 주요 연구내용 2

    제Ⅱ장 제주 LNG인수기지 유치 및 추진 관련 현황 3
    1. 제주 LNG인수기지 사업내용 3
    2. 제주 LNG인수기지 유치 및 추진경과 4
    3. 제주 LNG인수기지 향후 추진계획 및 기대효과 6

    제Ⅲ장 제주 LNG인수기지 및 사업대상지 관련 법률,
    주변지역 주요사례 분석 7
    1. 사업대상지 현황분석 7
    2. 관련 법 정책 및 검토 13
    1) 주민지원 관련 법 검토 13
    2) 마을개발 관련 법 검토 22
    3) 관련 계획 검토 29
    3. 주변지역 지원사업 주요사례 분석 38
    1) 평택 LNG 인수기지 주민지원 사례 38
    2) 삼척 LNG 인수기지 주민지원 사례 39
    3) 인천 LNG 인수기지 주민지원 사례 43
    4) 주요 사례지역 특징 및 시사점 44


    제Ⅳ장 제주 LNG인수기지 주변지역 지원사업(안) 47
    1. 지원사업 추진방향 및 기준 설정 47
    1) 지원사업의 추진방향 47
    2) 지원사업의 선정기준 48
    3) 사업 아이템 검토 50
    4) 주요 지원사업 발굴 52
    2. 추진전략 52
    3. 주요 지원사업 발굴 및 시행방안 53
    1) 사회복지사업(에너지복지) 53
    2) 공공시설사업 60
    3) 소득증대사업 76

    제Ⅴ장 결 론 87

    참고문헌 91

    Abstract 92
  • (가칭)제주국립공원 조성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10-15 |조회수 : 1860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주요 연구 내용 3

    Ⅱ. 제주지역 자연자산의 기본 현황 4
    1. 자연환경자산의 개념과 유형 분류 4
    2. 제주지역의 자연환경 특성 9
    3. 제주지역 자연자산의 기본 현황 18
    4. 국립공원제도 및 관련 계획 76

    Ⅲ. 도민인식 조사 및 결과 분석 92
    1. 조사 개요 92
    2. 인구 통계적 특성 92
    3. 조사 결과 분석 94
    4. 조사 결과 시사점 112

    Ⅳ. 제주국립공원의 대상구역 검토 118
    1. 한라산국립공원 118
    2. 중산간지역 118
    3. 연안역 120
    4. 오름 122
    5. 습지 124
    6. 하천 125
    7. 곶자왈 126
    8. 천연동굴 128
    9. 용천수 130

    Ⅴ. 제주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정책 제언 132
    1. 제주국립공원 지정 추진 132
    2. 제주국립공원 타당성 조사 실시 134
    3. 제주국립공원의 관리방안 및 관리주체 정립 135
    4. 제주국립공원 조성을 위한 범정부 거버넌스 구축․운영 136
    5. 제주국립공원 내 사유지 매입계획 수립 추진 137
    6. 제주국립공원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137

    참고문헌 138

    영문초록 140

    부록 142

  • 제주 탄소제로섬 조성 전략 연구(Ⅰ)

    연구책임 : 강진영|구분 : 미래기획연구

    발행일 : 2016-08-31 |조회수 : 1536

    󰠛 차 례 󰠛


    󰠛 제1장 ․ 서 론 󰠛 1
    1.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추진방향 2
    󰠛 제2장 ․ 개념 및 선행사례 󰠛 4
    1. 개념 4
    2. 선행사례 4
    가. 국내 탄소감축 정책 추진 사례 5
    나. 해외 탄소감축 정책 추진 사례 7
    다. 기후변화 적응 계획 추진 사례 9
    󰠛 제3장 ․ 추진 여건 분석 󰠛 12
    1. 온실가스 배출 현황(2013년) 12
    2. 제주도의 사회·경제적 환경 14
    가. 인구 증가 14
    나. 전력 사용량 및 설비 현황 15
    다. 자동차 운행대수 16
    라. 관광객 수 17
    마. 폐기물 18
    바. 인프라 구축(스마트 그리드) 19
    3. 온실가스 배출 전망 19
    4. 온실가스 감축에 유리한 자연 환경 20
    가. 개요 20
    나. 신재생에너지 발전 보급 현황 및 계획 21
    다. 태양광 자원 21
    라. 풍력 자원 22
    5. 취약성 평가 25
    가. 건강 분야 26
    나. 산림 분야 27
    다. 물관리 분야 27
    라. 농업 분야 28
    마. 해양/수산 분야 28
    6. 재해 분야 29
    󰠛 제4장 ․ 비전 및 추진전략 󰠛 30
    1. 비전 및 지표 30
    가. 탄소제로섬 추진 비전 및 목표 30
    나. 탄소제로섬 추진 핵심사업 32
    다. 지표 35
    2. 추진전략 42
    가. 재생에너지로 움직이는 청정 에너지 자립섬 42
    나. 세계 전기차 산업의 메카 조성 45
    다. 자연친화형 탄소제로의 글로벌 명품 관광 브랜드로 발전 47
    라. 주민이 하나되어 전 과정에서 저탄소 생활 실천 50
    마. 기후변화 적응으로 안전한 제주 53
    󰠛 제5장 ․ 정책과제 도출 󰠛 56

    부록 1. 추진전략 64
    전략 1. 청정한 재생에너지로 움직이는 에너지 자립섬 64
    전략 2. 세계 전기차 산업의 메카 조성 66
    전략 3. 자연친화형 탄소제로의 글로벌 브랜드로 발전 68
    전략 4. 기후변화 적응으로 안전한 제주 70
    전략 5. 주민이 하나되어 전 과정에서 저탄소 생활 실천 76
    부록 2. 흡수원 확대 아이디어 81
  • 제주문화콘텐츼 진흥원 설립에 따른 조직 및 기능 연구

    연구책임 : 강창민|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6-07-31 |조회수 : 1863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주요 내용 2


    Ⅱ. 문화콘텐츠관련 추진 현황 4

    1. 국내 문화콘텐츠 현황과 여건변화 4
    2. 제주 문화콘텐츠 현황과 여건변화 11
    3. 제주 문화콘텐츠의 가치 21
    4.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및 운영근거 27
    1) 정부 기본법 및 제도 27
    2) 관련 조례 29


    Ⅲ. 문화콘텐츠진흥기관 사례연구 30

    1. 관련 중앙기관 30
    1) 타 지역 진흥원 30
    2) 기타 진흥원 33
    2. 관련 지역기관 36


    Ⅳ.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타당성 검토 41

    1.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필요성 41
    1) 주민복리에 미치는 효과 41
    2) 제주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 46
    3) 진흥원 운영수입에 미치는 효과 49
    4) 제주지역 지방재정에 미치는 효과 59
    2. 현재 제주문화콘텐츠 진흥 정책의 한계와 문제 62


    Ⅴ.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조직설계 및 운영방안 67

    1.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을 위한 설립 방향 및 검토과제 67
    1)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방향 67
    2)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의 목표 68
    3)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기대효과 68
    4)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시 검토 과제 71
    2.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의 역할 설정 75
    3.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조직 구성 및 운영 방안 79
    1)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인식조사결과 79
    2) 기존 기관과의 중복사업 검토 81
    3)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조직 구성(안) 82
    4) 공무원 정원감축계획 수립 및 적정성 검토 86
    4.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운영 계획(안) 87

    참고문헌 99

    Abstract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