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도시공원의 방재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박창열|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033

    <목 차>
    I. 서론 ······························································································· 3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3
    2. 연구 목적 ··································································································· 4
    3. 연구 주요내용 ··························································································· 4

    II. 도시공원의 방재기능 도입배경 ·············································· 5
    1. 도시공원 및 녹지 개념과 의의 ····························································· 5
    1) 도시공원 ································································································· 5
    2) 녹지 ········································································································· 7
    2. 도시공원 및 녹지의 기능 ······································································· 8
    3. 도시공원의 방재기능과 도입배경 ························································· 9
    1) 도입배경 ································································································· 9
    2) 도시공원의 방재기능 ········································································· 11

    III. 관련 법제도와 적용사례 및 시사점 ··································· 13
    1. 국내 관련 법제도와 적용사례 ····························································· 13
    1) 국내 관련 법제도 ··············································································· 13
    2) 국내 적용사례 ····················································································· 28
    2. 일본 관련 법제도와 적용사례 ····························································· 35
    1) 일본 관련 법제도 ··············································································· 35
    2) 일본 적용사례 ····················································································· 58
    3. 법제도 및 적용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 73

    IV. 제주지역 도시공원의 방재기능 실태와 활성화 방안 ···· 75
    1. 도시공원 현황 ························································································· 75
    2. 도시공원 방재기능 현황 ······································································· 76
    1) 재해저감 ······························································································· 76
    2) 대피 ······································································································· 79
    3) 방범 ······································································································· 79
    3. 재난안전 사고 현황 ··············································································· 80
    1) 자연재해 ······························································································· 80
    2) 화재 ······································································································· 82
    3) 기타 ······································································································· 83
    4. 방재기능 측면에서 본 제주지역 도시공원 실태 ····························· 84
    5. 방재기능 활성화를 위한 제언 ····························································· 85

    V. 결론 및 향후 과제 ································································· 89
    1. 결론 ··········································································································· 89
    2. 연구 한계 및 추후 과제 ······································································· 91

    ■ 참고문헌 ·················································································· 92
  • 제주지역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녹색건물 확충방안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933

    목 차

    요약 ⅰ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1
    3. 선행연구 현황 2
    4. 주요 연구내용 6
    5.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효과 6

    Ⅱ. 국내․외 에너지 절약형 건축 관련 정책현황 분석 7
    1. 해외 에너지 절약형 건축 관련 정책 현황 7
    1) 정책여건 7
    2) 주요 정책 수단 10
    3) 해외 주요국의 정책 13
    2. 국내 에너지 절약형 건축 관련 정책 현황 19
    1) 건축물의 설계․건축단계에서의 에너지 소비 감축수단 19
    2) 주요 정책 수단 21
    3) 주요 제도 및 법령 23

    Ⅲ. 제주특별자치도 녹색건축 관련 정책 및 조례재정현황 30
    1. 녹색건축 관련 정책현황 30
    1) 기존주택에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 사업 30
    2) 그린 리모델링, 원도심 재생사업 31
    3) 도민교육 및 홍보 32
    2. 녹색건축 관련 법률 및 조례재정현황 33
    1) 제주 특별법 중 건축․도시 관련 특례조항 33
    2) 녹색건축 관련 조례 제정현황 35

    Ⅳ. 제주지역의 건축물 및 에너지 사용 현황 38
    1. 건축물 현황 38
    1) 건축물 종합 현황 38
    2) 용도별․지역별 건축물 현황 38
    3) 노후 건축물 현황 및 신축 추이 40
    4) 녹색 건축물 현황 및 분포 42
    2.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44
    1) 전국․제주 에너지 소비 현황 44
    2) 제주특별자치도 읍․면․동별 건물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49
    3) 시도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50
    4) 제주특별자치도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 현황 52

    Ⅴ. 제주특별자치도 건축물부분 에너지수요절감방안 55
    1. 제주특별자치도의 용도별 건축물 현황 55
    2. 건물의 에너지성능 평가 방법 61
    3. 제주특별자치도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대상건물 개요 66
    4. 녹색건축물 도입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 71

    Ⅵ. 정책건의 82
    1. 제주특별자치도의 에너지 소비 특성과 함의 82
    2. 제주특별자치도의 건물현황과 시사점 83
    3. 제주특별자치도의 녹색건축물현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접근 84

    참고문헌 88

    Abstract 89

  • 제주지역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현지시장 개척 지원 방안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915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 필요성 2
    3) 연구 목적 2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주요 내용 및 방법 3
    2) 연구 방법 3

    Ⅱ. 국내외 화장품 산업 현황 4
    1. 국외 화장품 시장 동향 4
    1) 정책환경 4
    2) 투자동향 6
    3) 특허동향 7
    2. 국내 화장품 시장 동향 7
    1) 정책환경 7
    2) 투자동향 9
    3) 특허동향 10
    4) 산업기술 동향 11
    3. 화장품 시장 규모 12
    1) 국외 시장 규모 12
    2) 국내 시장 규모 14
    4. 국내외 화장품 산업 종합의견 15


    Ⅲ. 제주지역 화장품 산업 현황 17
    1. 제주지역 화장품 산업 환경 진단 17
    1) 정책 환경 분석 17
    2) 화장품 산업 성장성 분석 19
    3) 기술환경 분석 21
    4) 5-Force 분석 24
    2. 제주지역 화장품 산업 종합의견 26

    Ⅳ. 베트남 화장품 산업 현황 28
    1. 베트남 시장 현황 28
    1) 베트남 개황 28
    2) 베트남 거시경제 동향 28
    3) 베트남 경제 및 시장 특징 30
    4) 우리나라 기업 진출과 투자 현황 32
    2. 베트남 화장품 산업 33
    1) 화장품 산업 현황 33
    2) 화장품 유통 채널 37
    3) 베트남 화장품 시장 트렌드 43
    4) 베트남 화장품 시장 규제 : 파라벤 성분 금지 44
    3. 베트남 화장품 산업 실태조사(현지조사 및 설문조사) 45
    1) 현지 화장품 매장 실태조사 45
    2) 현지 실태조사(설문조사) 47
    3) 현장조사 및 실태조사 종합의견 57

    Ⅴ. 제주도 기업 베트남 진출 전략 59
    1. SWOT 분석 59
    1) SWOT 분석 개요 59
    2) SWOT 분석에 따른 진출전략 방향 설정 60
    2. 마케팅 역량 제고 61
    1) SNS를 활용한 온라인 마케팅 역량 61
    2) 품질 마케팅 강화 62
    3. 지자체의 효과적 지원 64
    1) 홈쇼핑과 연계한 베트남 진출 지원 64
    2) 베트남 박람회 지원 66
    4. 제품 전략 강화 67
    1) 중저가 시장 공략 67
    2) 제품의 현지화 69
    3) 제품의 주요 소비층 선정 70
    Ⅵ. 결 론 71

    참고문헌 72
    ABSTRACT 73

    <부록> 설문조사 75
  • 제주지역 독거노인의 생활실태와 정책 대응방안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413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3
    3. 연구의 주요내용 4
    4. 연구의 기대효과 4

    Ⅱ. 독거노인의 특성과 주요 정책 5
    1. 독거노인의 개념 및 일반적 특성 5
    2. 독거노인 정책의 주요 내용 8
    3. 독거노인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10

    Ⅲ. 국내외 독거노인 정책의 선진사례 분석 17
    1. 국내 사례 18
    2. 국외 사례 20
    3. 정책적 시사점 25

    Ⅳ. 제주지역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조사 및 결과 27
    1. 제주지역 독거노인의 현황 분석 27
    2. 제주지역 독거노인 지원정책 현황과 문제점 32
    3. 제주지역 독거노인 생활실태 조사결과 및 해석 39
    4. 제주지역 독거노인 대상 생활실태 조사의 시사점 71

    Ⅴ. 제주지역의 독거노인의 정책 대응방안 79
    1. 정책방향 80
    2. 향후 독거노인 정책의 대응방안 83
    3. 독거노인 정책 대응방안 주체별․시기별 추진 로드맵 96
    □ 참고문헌 99

    □ <부록 1> 설문지 103

    □ <부록 2> 홀로 사는 노인 보호․지원 조례 119

    □ ABSTRACT 122
  • 제주지역의 문화예술 창작공간 지원사업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7-11-30 |조회수 : 2420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방법 및 범위 4
    4. 연구 의의와 한계점 7

    Ⅱ. 창작공간 정책 및 사례 분석 8
    1. 창작공간 지원정책 8
    2. 국외 창작공간 지원정책 21
    3. 시사점 25

    Ⅲ. 제주지역의 문화예술 창작공간 현황 27
    1. 창작공간 사례 분석 27
    2. 사례 분석 결과 49

    Ⅳ. 지역 주민의 창작공간 인식조사 및 전문가조사 결과 분석 51
    1. 지역주민의 창작공간 인식조사 결과 51
    2. 전문가조사 결과 76

    Ⅴ. 제주지역의 창작공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85
    1. 전문 기획자 제도 운영 활성화 85
    2. 예술활동 관련 지원사업의 제도 개선 86
    3. 창작공간 운영 활성화를 위한 거점센터 지정 87
    4. 제주지역의 공공시설을 예술활동 공간으로 활용 88
    5. 공공재가 투입된 창작공간 운영의 지속화 방안 마련 88
    6. 레지던스사업의 유형별 지원제도 운영 90
    7. 창작공간 운영에 적합한 코디네이터 제도 도입 91
    8. 예술가의 지역 정착 강요정책 추진 92

    참고문헌 93

    Abstract 95

    <부록> 설문지 96
  • 제주지역 노인주거복지 진단과 대응과제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7-11-30 |조회수 : 2016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2
    3. 연구의 주요 내용 3
    4. 연구의 기대효과 4

    Ⅱ. 노인주거복지의 특성과 주요 정책 5
    1. 노인주거복지의 개념 및 특성 5
    2. 노인주거복지시설 현황 7
    3. 노인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내용 12
    4. 노인주거복지의 선행연구 분석 18

    Ⅲ. 국내외 노인주거복지의 선진 사례 분석 23
    1. 국내 사례 23
    2. 국외 사례 32
    3. 국내외 선진사례의 정책적 시사점 41

    Ⅳ. 제주지역 노인주거복지의 실태조사 결과 45
    1. 제주지역의 노인인구 변화와 특성 45
    2. 제주지역의 노인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내용 47
    3. 제주지역 노인주거복지 정책사업의 문제점 56
    4. 제주지역의 노인대상 주거복지 실태조사 결과 및 해석 58
    5. 제주지역 노인대상 주거복지 실태조사의 시사점 100
    Ⅴ. 제주지역 노인주거복지 정책의 대응과제 110
    1. 정책방향 111
    2. 향후 노인주거복지의 정책 대응과제 114
    3. 노인주거복지 정책 대응과제 주체별․시기별 추진 로드맵 129

    □ 참고문헌 132

    □ 부록 1 <설문지> 136

    □ 부록 2 <제주특별자치도 주거기본 조례> 147

    □ ABSTRACT 153
  • 제주사랑상품권 발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7-11-30 |조회수 : 1945

    목 차

    I.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방법 3

    II. 제주지역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현황 및 제주사랑상품권 4
    1. 유통환경 트렌드 4
    1) 온라인과 모바일쇼핑 확대 4
    2) 옴니채널 확산 5
    3) 대형마트, 편의점 등의 PB 상품 확대 6
    4) 1인 가구 증가와 소비행태 변화 7
    2. 제주지역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현황 8
    1) 제주지역 전통시장 현황 8
    2) 제주지역 골목상권 현황 10
    3. 제주사랑상품권 현황 12
    1) 상품권의 정의와 유형 12
    2) 제주사랑상품권의 개요 15
    3) 제주사랑상품권 발행‧판매 및 지원 현황 16
    4) 제주사랑상품권의 경제적 효과 유형 18

    III. 제주사랑상품권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및 전망 21
    1. 분석모형 설정 21
    1) 지역경제 파급효과 21
    2) 소비규모 예측모형 23
    2. 파급효과 분석결과 24
    1) 생산유발효과 24
    2) 부가가치유발효과 26
    3) 고용유발효과 28
    3. 제주사랑상품권 회수액 예측 및 파급효과 전망 30
    1) 제주사랑상품권 회수액 소비규모 예측 30
    2) 2017년 제주사랑상품권 파급효과 전망 34

    IV. 결론 및 정책제언 37
    1. 결론 37
    2. 정책제언 38
    1) 범위 확대 방안 39
    2) 편리성 제고 방안 41
    3) 이용촉진 및 홍보강화 방안 42

    참고문헌 45
  • 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산업화를 위한 기초연구

    연구책임 : 좌민석|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7-11-30 |조회수 : 1961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방법 및 범위 5
    4. 연구의 기대효과 6

    II. 6차산업화 개념과 유형 7
    1. 개념 7
    2. 이론적 유형 8
    3. 수산업·어촌 6차산업화 유형의 발전 10

    Ⅲ. 6차산업의 주요 정책과 사례 12
    1. 우리나라 6차산업화 관련 정책 12
    2. 일본의 6차산업화 추진사례 13
    3. 국내 유사 수산업 6차산업화 추진사례 21
    4. 제주지역 유사 수산업 6차산업화 추진사례 33

    Ⅳ. 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산업화 현황 및 자원 47
    1. 제주지역 수산업·어촌 6차산업화 현황 47
    2. 제주지역 수산업·어촌 6차산업화 자원 50
    3. 제주지역 어업인의 6차산업화에 대한 의식조사 56

    Ⅴ. 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산업화 추진방안 68
    1. 수산업 6차산업화 여건 68
    2. 수산업 6차산업화 활용방안 68

    3. 6차산업화 추진 방안 74

    Ⅵ. 요약 및 정책제언 95
    1. 요약 95
    2. 정책제언 96

    참고문헌 98

    부록 99
    ABSTRACT 113

  • 오름 자율탐방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7-11-30 |조회수 : 1706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목적 2
    3. 주요 연구 내용 2

    Ⅱ. 오름의 기본현황 및 탐방 활동 4
    1. 오름의 기본 현황 4
    2. 오름 탐방활동 9
    3. 1단체 1오름 활동 21
    4. 오름 관리 실태 25

    Ⅲ. 오름 탐방객 인식조사 33
    1. 조사 개요 33
    2. 인구 통계적 특성 34
    3. 조사결과 분석 36

    Ⅳ. 오름탐방 자율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 79
    1. 필요성 및 전제 조건 79
    2. 오름탐방 안내 프로그램 83
    3. 오름해설 정보 프로그램 88
    4. 오름 보전․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 92
    5. 오름탐방 교육프로그램 94
    6. 오름탐방 경험공유 프로그램 99
    7. 기타 오름 보전․관리 프로그램 102
    Ⅴ. 정책 제언 103
    1. 오름자율탐방관리센터 설립 103
    2. 오름 탐방자 대상 교육 및 홍보 104
    3. 오름 자율탐방관리시스템 참여율 모니터링 105
    4. 집중탐방 오름 대상 사전예약제 시행기반 구축 106
    5. 홈페이지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106
    6.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예산 확보 107

    참고문헌 108
    Abstract 109
    부록. 오름 자율탐방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오름탐방자 인식 조사 111
  • 제주관광 질적 성장 지표 관리방안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7-11-30 |조회수 : 2497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내용 및 개념 3

    Ⅱ. 질적 성장 지표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1. 지속가능한 관광과 질적 성장 4
    2. 지표의 개념과 특성 6
    3. 관광지표 관련 선행연구 11

    Ⅲ. 제주관광 현황 분석 16
    1. 제주관광 일반 현황 16
    2. 제주관광 질적 성장 기본계획 18

    Ⅳ. 관광지표 관리 사례조사 29
    1. 오키나와 29
    2.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5
    3. 시사점 37

    Ⅴ. 관광지표 관리방안 38
    1. 질적 성장 관광지표의 개발 38
    2. 질적 성장 관광지표의 관리 41
    3. 기타 정책제언 43

    참고문헌 53
    Abstract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