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 해양문화자원 활용 방안 연구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2897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범위와 방법 2
    3. 해양문화자원의 개념 정의와 유형 4

    II. 제주 해양문화자원의 실태 분석 15
    1. 정부의 해양문화정책 개관 15
    2. 제주특별자치도의 해양문화정책 개관 21
    3. 제주 해양문화자원 현황 분석 34
    4. 분석 결과 76

    Ⅲ. 국내․외 사례분석 79
    1. 국내 사례 79
    2. 국외 사례 86
    3. 사례조사 시사점 96

    Ⅳ. 제주 도민 의견 조사 결과 104
    1. 조사 개요 104
    2. 조사 결과 105
    3. 분석 결과 시사점 157

    Ⅴ. 제주 해양문화자원의 활용 방안 165
    1. 기본 방향 165
    2. 활용 방안 167



    참고문헌 172
    ABSTRACT 175

    <부록> 설문지 177

  • 제주도내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942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6

    Ⅱ. 협동조합의 이론적 고찰 및 현황분석 9
    1. 협동조합의 이론적 고찰 11
    2. 중소기업협동조합 현황 18

    Ⅲ. 국내 사례분석 23
    1. 국내 사례분석 25
    2. 시사점 37

    Ⅳ. 의견조사 39
    1. 조사설계 41
    2. 조사결과 43
    3. 시사점 76

    Ⅴ. 도내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83
    1.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과제 85
    2.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활성화 방안 92
    1) 기본방향 92
    2)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활성화 방안 95


    참고문헌 108

    ABSTRACT 110

    부 록(설문지) 113
  • 제주지역 쇼핑관광 발전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378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내용 3

    Ⅱ. 쇼핑관광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1. 쇼핑관광의 고찰 4
    2. 관광기념품의 개념 및 유형 9
    3. 선행연구 검토 15

    Ⅲ. 제주지역 쇼핑관광 현황 및 사례분석 20
    1. 제주지역 쇼핑관광 현황 20
    2. 내도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23
    3. 사례 분석 27
    4. 주요 시사점 32
    5. 제주지역 문제점 및 과제 35

    Ⅳ. 제주지역 쇼핑관광 발전 방안 37
    1. 정책 방향 37
    2. 정책 과제 39

    Ⅴ.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2
    Abstract 55
  • 제주지역 농산물 자조금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905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농업부문 자조금제도 현황 ··········································································4
    1. 자조금의 정의와 유래 ·····················································································4
    2. 자조금제도의 성격 및 본질 ···········································································6
    3. 우리나라 자조금제도 현황 ·············································································8

    III. 제주지역 농산물 자조금 실태분석 ······················································ 15
    1. 제주지역 농산물 생산현황 ···········································································15
    2. 제주지역 농산물 수급안정대책 ···································································24
    3. 제주지역 농산물 자조금 사업에 대한 평가 ·············································30

    IV. 제주지역 농산물 자조금 사업 활성화 방안 ······································ 50
    1. 제주지역 농산물 자조금 사업의 문제점 ···················································50
    2. 제주지역 농산물 자조금 사업의 활성화 방안 ·········································52

    V. 요약 및 결론 ······························································································58

    참 고 문 헌 ······································································································62

    Abstract ·············································································································63
  • 제주활소라 고부가가치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064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
    4. 기대효과 3

    Ⅱ. 제주활소라 생산 및 유통 실태 4
    1. 제주활소라 특성 4
    2. 제주활소라 생산 실태 9
    3. 제주활소라 유통 실태 및 정책 동향 15
    4. 제주활소라 생산유통의 문제점 및 시사점 23

    Ⅲ. 제주활소라 소비자 인식조사 28
    1. 조사개요 28
    2. 조사결과 분석 29
    3. 조사 분석결과의 시사점 40

    Ⅳ. 제주활소라 고부가가치화 모색 42
    1. 제주활소라 요리개선 방안 42
    2. 제주활소라 식품개발 모색 63
    3. 제주활소라 마케팅 전략 71
    4. 제주활소라 사업화 방안 87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89
    1. 결론 89
    2. 정책적 제언 91

    참고문헌 96
    부 록 97
    ABSTRACT 101

  • 제주지역 생활권 분석 및 생활권 활성화 전략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739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1

    Ⅱ. 현황 분석 7

    1. 일반현황 7
    1) 인구현황 7
    2) 정주환경 11
    3) 산업환경 20
    4) 교육환경 24
    5) 의료환경 27
    6) 문화·복지환경 29

    Ⅲ. 관련연구 및 전문가 조사 31

    1. 생활권 정의 및 관련이론 31
    1) 생활권의 개념 31
    2) 정주환경의 정의 33
    3) 지역연계성을 고려한 생활권 관련 연구 33
    2. 지역공간분석 이론 35
    1) 중심지이론 35
    2) 네트워크도시 이론 36
    3) 근린주구 이론 37
    4) 생활권 계획 40
    5) 지역행복생활권 44
    3. 관련연구 46
    1) 제주지역 생활권 관련 연구 46
    2)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 전략계획 48
    3) 서울특별시 생활권계획 51
    4. 전문가 설문조사 57
    1) 조사개요 및 신뢰성 57
    2) 전문가조사 주요내용 및 결과 58

    Ⅳ. 생활권 구상 및 지역공간구조 분석 62

    1. 제주지역 공간관련 계획 62
    1) 제주특별자치도 권역별 균형발전계획 62
    2)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기본계획 66
    3) 제주미래비전 72
    2. 제주지역 생활권 설정을 위한 주요 지표분석 79
    1) 지표선정 개요 79
    2) 인구변화 및 인구구조 80
    3) 인구이동 86

    Ⅴ. 생활권간 연계방안 93

    1. 도시계획환경 변화에 유연한 대응 부족 93
    2. 실질적 주민생활지원을 위한 생활권계획 필요 96
    3. 생활권 구상 및 연계방안 98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03

  • 제주특별자치도 농 ·축산 분야 이양 권한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85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기본 개념 논의 2
    3. 연구단계 5

    Ⅱ. 제주특별자치도 추진 개요 7
    1. 제주특별자치도 추진 목표 7
    2. 제주특별자치도 추진 경과 10
    3. 농ㆍ축산 분야 주요 지표 변화 14

    Ⅲ. 농ㆍ축산 분야 이양 권한 활용도 분석 방법 19

    Ⅳ. 농ㆍ축산 분야 이양 권한 활용도 분석 결과 21
    1. 농업 부문 활용도 분석 결과 21
    2. 농촌 부문 활용도 분석 결과 43
    3. 축산 부문 활용도 분석 결과 64

    V. 농ㆍ축산 분야 이양 권한 활용도 제고 방안 74
    1. 농업 부문 75
    2. 농촌 부문 77
    3. 축산 부문 79

    참고문헌 80

    [부록 1] 해외 사례 84
    [부록 2] 제주특별법 농ㆍ축산 분야 조문 86
    Abstract 92

  • 제주 방문객 통행실태 분석

    연구책임 : 손상훈|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589

    목 차

    I.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및 방법 2
    4. 연구 추진 체계 3

    II. 제주 방문객 통행실태조사 4
    1. 조사개요 4
    2. 조사계획 및 준비 5
    3. 조사수행 8
    4. 자료처리 9
    5. 조사한계 10

    III. 선행연구 고찰 11
    1. 분석 내용 측면 11
    2. 분석 결과 측면 22

    IV. 제주 방문객 통행실태조사 기초분석 35
    1. 응답자특성 36
    2. 방문특성 41
    3. 통행실태 47
    4. 요약 120

    V. 조사자료 및 분석결과 활용방안 124
    1. 제주 방문객 통행 및 관광 행태 이해 124
    2. 방문객 통행수요 추정 및 전체 통행수요 파악 126
    3. 교통부문 법정계획 수립 및 교통인프라 타당성 평가 126
    4. 관광교통계획 수립 및 관광교통수단 검토 128
    5. 렌터카 정책 활용 및 모니터링 129

    VI. 결론 및 정책제언 130
    1. 연구내용 요약 130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34
    3. 정책제언 136

    참고문헌 138

    Abstract 139

    부 록 140

  • 지하수 수질관측망 개선방안 연구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1308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접근체계 4

    Ⅱ. 제주도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 현황 분석 5
    1.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 현황 5
    1) 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현황 5
    2) 지하수수질측정망 분석 항목 및 모니터링 주기 6
    2.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상의 문제점 7
    1) 이용 중인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이용 7
    2)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 연속성 부재 8
    3) 지하수수질측정망 수질 측정시기 및 자료 활용의 문제 10

    Ⅲ. 국내외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 사례 연구 11
    1. 환경부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 11
    1) 지하수수질측정망의 종류 15
    2) 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주체 16
    3) 지하수 수질 측정주기 및 항목 17
    2. 유럽의 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기준 18

    Ⅳ. 환경부 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계획 검토 21
    1.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계획 21
    1) 환경부 지하수수질전용측정망 설치 계획 21
    2) 타 기관 지하수관측망 활용 계획 22
    2. 지역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계획 23
    1) 지역지하수수질측정망의 운영 상황 23
    2) 지역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운영 계획 24

    Ⅴ. 제주특별자치도 지하수수질측정망 구축 방안 25
    1. 개요 25
    2. 지하수수질측정망 구축 방안 26
    1) 지하수수질측정망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 26
    2) 지하수수질전용측정망 설치 위치 선정 28
    3) 지하수수질측정망 수질 분석 항목 및 측정 주기 35
    4)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 36

    Ⅵ. 결론 및 제언 38

    참 고 문 헌 40
  • 중국 온라인 미디어 분석을 통한 제주 이미지 제고 방안

    연구책임 : 정지형|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8-07-15 |조회수 : 865

    목 차

    I.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범위 3

    II. 중국의 온라인 환경과 주요 언론 매체 4
    1. 이론적 배경 및 논의 4
    1) 중국인의 인터넷 이용 규모 4
    2) 중국 네티즌 구성 현황 5
    2. 중국 언론 매체 특징 12
    1) 중국의 주요 기관지 12
    2) 중국 온라인 미디어의 특징 16

    III. 분석 대상 및 SNA 분석 결과 18
    1. 사회관계망분석의 활용과 연구 18
    2. 기초통계 분석결과 21
    1) 중국 주요 기관지 21
    2) 중국 인터넷 게시판 21
    3. SNA 분석결과 22
    1) 중국 주요 기관지의 고빈도 단어 분석 23
    2) 중국 인터넷 게시판의 고빈도 단어 분석 29
    3) 중국 주요 기관지의 SNA 시각화 분석 35
    4) 중국 인터넷 게시판의 SNA 시각화 분석 40

    IV. 정책제언 46
    1. 시사점 46
    1) 중국과 중국인 상호 구분 46
    2) 한반도 사드배치 이후 제주 이미지 47
    3) 향후 위협요인 사전예방 49
    4) 새로운 제주 이미지 강화 50
    2. 대중국 제주 이미지 제고 방안 51
    1) 중국인에 초점 맞춘 정책 개발 51
    2) 제주-중국 간 우호관계 강화를 위한 정책 개발 53

    V. 결 론 56

    ■ 참고문헌 59
    Abstract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