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 방향 및 실행과제 도출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01-31 |조회수 : 399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1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
    4. 기대효과 2

    II. 제주특별자치도 경제 현황 및 2019년 전망 3
    1. 제주경제 규모 및 성장 3
    2. 2018년 제주경제 평가 5
    3. 2019년 제주경제 전망 13

    Ⅲ. 2019년 경제정책 기조 및 방향 18
    1. 정책방향 설정 18
    2. 제주경제 추세 및 정책 기조 18
    3. 2019년 제주경제정책 기본 방향 21

    Ⅳ. 2019년 경제정책 실천과제 22
    1. 민생안정과 경제활력 제고로 소득 향상 22
    2.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구축 29
    3. 지역특화형 미래성장산업 집중 지원 36
    4. 사회기반시설 신속 투자 및 건설산업 활성화 40

    참고문헌 47

    부 록 48

    ABSTRACT 52
  • 제주특별자치도 열린혁신 성과평가 지표개발

    연구책임 : 박종관|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8-12-31 |조회수 : 676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정부의 열린혁신 정책구조 5
    1. 정부개혁 기조변화 5
    2. 열린혁신 내용구조 13
    3. 열린혁신 평가체계 22

    Ⅲ. 제주 열린혁신 정책사업 42
    1. 비전체계 42
    2. 핵심사업 44
    3. 추진체계 175

    Ⅳ. 열린혁신 성과평가 지표개발 195
    1. 성과평가 의의 195
    2. 열린혁신 성과평가체계 검토 200
    3. 열린혁신 성과지표 설계 204
    4. 열린혁신 관리매뉴얼 211

    참고문헌 217

    ABSTRACT 218
  • 제주지역 대중교통체계개편에 따른 건강영향평가

    연구책임 : 송정국|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8-12-31 |조회수 : 827

    목 차

    I. 연구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 내용 및 방법 5

    Ⅱ. 제주도민의 교통이용 관련 신체활동량조사 6
    1. 조사개요 6
    2. 조사계획 및 수행 10
    3. 자료처리 및 분석 11
    4. 조사한계 11

    Ⅲ. 교통이용 관련 신체활동량조사 기초분석 12
    1. 응답자 특성 13
    2. 여가시간 신체활동 23
    3. 통근과 통학시 신체활동 32
    4. 교통이용 관련 신체활동량 48
    5. 요약 63

    Ⅳ. 조사자료 및 분석결과 활용방안 73

    Ⅴ. 결론 및 정책제언 74

    참고문헌 75

    ABSTRACT 77

    부 록 78
  • 제주지역 틈새시장 육성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민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8-12-31 |조회수 : 733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범위 3
    3. 연구 방법 6
    4.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 효과 10

    II. 새로운 수익 창출을 위한 틈새시장 11
    1. 틈새시장 11
    2. 틈새시장의 사례 24

    Ⅲ. 조사 분석 29
    1. 델파이 분석 29
    2. AHP 분석 32
    3. 분석 결과 34

    Ⅳ. 육성 방안 및 로드맵 수립 38
    1. 육성 방안 38
    2. 틈새시장 유형별 육성방안 41
    3. 로드맵 수립 52

    참고문헌 55
    부록 58
  • 신남북관계 하에서 제주의 남북교류협력 방안

    연구책임 : 고성준|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8-12-31 |조회수 : 761

    목 차

    Ⅰ. 신남북관계 환경 분석 1
    1. 2018년 남북관계 특성 1
    2.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남북관계 전개 3

    Ⅱ. 기존 남북교류협력 실태 분석 및 제주의 대북교류협력 평가 16
    1. 한국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교류협력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16
    2.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 실태분석과 평가 17
    3.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과제 27
    4. 제주의 대북교류협력 평가 29
    5. 2018년 새로운 남북관계 전개와 민선 7기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 사업 동향 33

    Ⅲ. 국외 사례로 얻는 교훈과 시사점 36
    1. 동·서독 사례 36
    2. 중국-대만 양안 사례 47

    Ⅳ. 남북교류협력과 북한, 그리고 제주 59
    1.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북한의 시각 59
    2. 남북교류협력의 조건 61
    3. 남북교류협력과 제주 63

    Ⅴ. 제주형 남북교류협력의 새로운 방향 67
    1. 새로운 교류협력 방향의 기본 틀 67
    2. 제주도의 「5+1」대북사업의 뉴 버전 72
    3. 제주 대북사업의 새로운 접근 모색 86

    Ⅵ. 대북교류협력 매뉴얼 89
    1. 접촉 매뉴얼 89
    2. 인력 양성 매뉴얼 90
    3. 제도적 보완 사항 92
    4. 교류협력 매뉴얼 95


    Ⅶ. 결론: 요약 및 정책 제언 97
    1. 연구 요약 97
    2. 정책 제언 100

    참고문헌 102

    ABSTRACT 105
  • 마을 전통예능을 통한 노인 건강 증진 방안 연구 - 오키나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책임 : 강경희|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8-12-31 |조회수 : 623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내용 2
    5. 연구의 기대효과 3

    II. 선행 연구 4

    Ⅲ. 제주지역 노인건강증진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 10
    1. 제주지역 노인 인구 현황 10
    2. (사)대한노인회 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 현황 12
    3. (사)대한노인회 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 경로당광역지원센터 14
    4. 경로당 프로그램 운영 사례 18

    Ⅳ. 오키나와 노인건강증진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 21
    1. 오키나와현의 개요 21
    2. 오키나와현 노인클럽 연합회 현황 23
    3. 오키나와 지구별 노인클럽 소속 노인 생활 실태 조사 35
    4. 시사점 60

    Ⅴ. 결론과 제언 63
    1. 결론 63
    2. 정책적 제언 65




    참고문헌 70
    ABSTRACT 72
    부록 75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 창업클러스터 기본계획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8-12-31 |조회수 : 873

    목 차

    I.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2

    Ⅱ. 제주지역 창업 및 창업지원 현황 3
    1. 제주지역 창업 현황 3
    2. 제주지역 창업지원 현황 5

    Ⅲ. 제주 창업클러스터 수요 조사 11
    1. 창업클러스터 개념 11
    2. 창업클러스터 수요조사 13
    3. 시사점 21

    Ⅳ. 제주 창업클러스터 기본구상 23
    1. 조성(예정)지역 배경 23
    2. 비전 및 목표 27
    3. 거점공간의 기능 배치 29
    4. 기대효과 39

    참고문헌 41
    ABSTRACT 42
  • 제주 도민의 여가생활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2337

    목 차

    I.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II. 여가의 개념 및 정책 동향 6
    1. 여가의 개념 및 범위 6
    2.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여가정책 동향 17
    3. 제주특별자치도의 여가정책 추진 현황 31
    4. 분석 결과 53

    III. 제주 도민 의견 조사 결과 56
    1. 조사 개요 56
    2. 조사 결과 57
    3. 시사점 126

    Ⅳ. 제주 도민의 여가생활 활성화 방안 135
    1. 기본 방향 135
    2. 정책 제언 137

    참고문헌 144
    ABSTRACT 146
    <부록> 설문지 147
  •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산정 방안 연구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1133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2. 연구 방법 3
    3. 연구 접근체계 4

    Ⅱ. 제주도 빗물이용시설 및 토지이용 현황 5
    1. 빗물이용시설 현황 5
    2. 토지이용 및 시설하우스 현황 8
    1) 토지이용 현황 8
    2) 시설하우스 분포 현황 11

    Ⅲ. 연구대상지역 선정 및 현장조사 13
    1. 연구대상지역 선정 13
    2. 연구지역 토지이용 및 시설하우스 분포 현황 14
    1) 연구지역 토지이용 현황 14
    2) 연구지역 시설하우스 분포 현황 15
    3. 연구지역 농업용수 이용특성 17
    1) 의귀지역 농업용수 이용특성 19
    2) 위미지역 농업용수 이용특성 20
    4. 빗물이용시설 운영 실태 조사 22
    1) 시설하우스 면적과 빗물 집수 면적 22
    2)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시설 규모 23
    3) 빗물 저류 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의 처리 방법 24
    Ⅳ. STORM 모델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의 이용량 평가 26
    1. STORM 모델 개요 26
    2. 입력자료 구축 27
    3. 빗물 이용량 분석 결과 33

    Ⅴ. 강수 분석 및 빗물이용시설 유출량 산정 38
    1. 연도별 강수 특성 분석 39
    2. 월 강수 특성 분석 40
    3. 강수에 따른 빗물이용시설 유출량 산정 42

    Ⅵ.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산정 45
    1. 의귀지역 빗물이용시설 규모 산정 45
    2. 위미지역 빗물이용시설 규모 산정 48
    3. 대용량 빗물이용시설 빗물 이용 가능량 검토 50
    1) 의귀지역 빗물 이용 가능량 50
    2) 위미지역 빗물 이용 가능량 52
    4. 시설하우스 연계를 통한 빗물 활용 극대화 방안 54

    Ⅶ. 결론 및 정책제언 56
    1. 빗물이용시설 실태 조사 결과 56
    2. 빗물이용시설의 빗물 이용량 평가 56
    3.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산정 57
    4. 빗물이용의 극대화 방안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0
  • 제주지역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8-11-30 |조회수 : 1964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내용 3

    Ⅱ. 무장애관광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1. 무장애관광의 개념 4
    2. 무장애관광의 중요성과 법적 근거 6
    3. 선행연구 검토 9

    Ⅲ. 무장애관광 현황 및 사례분석 14
    1. 중앙정부 현황 14
    2. 제주지역 현황 22
    3. 국내외 사례분석 37
    4. 주요 시사점 55

    Ⅳ. 제주지역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 방안 57
    1. 조성 방향 57
    2. 세부 과제 59

    Ⅴ.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Abstract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