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특별자치도 전략환경평가 토지이용 검토기준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06

    Ⅰ. 연구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3. 선행연구 4

    Ⅱ. 전략환경평가제도 6
    1. 제도의 개요 6
    2. 법 · 제도적 검토 13

    Ⅲ. 전략환경평가 운영 현황 22
    1. 절차 및 대안설정 22
    2.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현황 25

    Ⅳ. 전략환경평가 토지이용 기준 29
    1. 전략환경평가(토지이용) 검토 기준 29
    1-1. 환경부 29
    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2
    2. 전략환경평가 검토 사례 35
    2-1. 사례 선정 35
    2-2. 도시개발 분야 36
    2-3. 관광단지 분야 43
    3. 전략환경평가 검토기준 종합 53
    3-1. 환경부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검토기준 53
    3-2. 전략환경평가 사례의 검토기준 56

    Ⅴ. 전략환경평가 토지이용 검토기준(안) 58
    1. 검토기준(안) 58
    1-1. 도시개발 분야 58
    1-2. 관광단지 개발 분야 59
    2. 토지이용 검토기준(안) 활용 62
    2-1. 활용 기준(안) 62
    2-2. 항목의 중요도 평가 64
    2-3. 정책 활용 방안 66

    참고문헌 67

    ABSTRACT 68
  • 제주특별자치도 스마트시티 조성 전략 연구

    연구책임 : 미래전략연구부|구분 : 미래기획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553

    Ⅰ. 연구개요 1
    1.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3. 주요 선행연구 5

    Ⅱ. 스마트시티 7
    1. 학술적 검토 7
    2. 제도적 검토 12
    3. 개념 및 범위 설정 16

    Ⅲ. 스마트시티 정책 18
    1. 국가 정책 18
    2. 제주특별자치도 정책 26
    3. 정책추진의 시사점 31

    Ⅳ. 제주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32
    1. 기본방향 32
    2. 분야별 추진 전략 34
    2-1 스마트 도시계획 34
    2-2 스마트 교통 39
    2-3 스마트 농업 48
    2-4 스마트 수산업 58
    2-5 스마트 데이터센터 69

    참고문헌 73

    ABSTRACT 76
  • 제주지역 관광산업의 ICT훈련수요와 향후과제

    연구책임 : 장성수|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36

    Ⅰ. 연구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4차 산업혁명과 관광산업 4
    1.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변화 4
    2. 4차 산업혁명과 관광산업 8
    3. 관광숙박업 ICT 적용사례 12

    Ⅲ. 조사설계 14
    1. 조사개요 14
    2. 설문지 구성 15

    Ⅳ. 관광숙박업 설문조사 결과 16
    1. 응답자 특성 16
    2. ICT 관련 기술현황 18
    3. ICT 관련 교육수요 37
    4. 기업환경 53

    Ⅴ. 결론 및 정책제언 62

    참고문헌 65
    ABSTRACT 66
    부록(설문지) 67
  • 관광환경변화에 따른 내국인 관광객 유치방안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630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2
    3. 연구의 접근체계 3

    Ⅱ. 내국인 관광시장 환경변화 요인 분석 5
    1. 관광을 둘러싼 거시환경 분석 5
    2. 관광환경 변화분석 15
    3. 내국인 핵심 관광트렌드 분석 및 전망 26
    4. 시사점 31

    Ⅲ.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별 내국인 관광시장 전략 33
    1. 중앙정부의 국내관광 활성화 정책 분석 33
    2. 국내 지방자치단체 37
    3. 시사점 46

    Ⅳ. 제주지역 내국인 관광시장 현황 및 특성 분석 47
    1. 관광사업체 현황 47
    2. 제주방문 내국인 관광객 현황 51
    3. 주요 관광지 및 관광시설 등 이용객 현황 55
    4. 주요 단체여행상품 현황 70
    5. 우수관광사업체 지정사업 및 제주관광진흥기금 운용 현황 75
    6. 관광안내소 운영 및 문화관광해설사 현황 77
    7. 제주방문 내국인 관광객 성향 79
    8. 시사점 83

    Ⅴ. 전문가 및 관광객 의견조사 86
    1. 전문가 의견조사 86
    2. 관광객 의견조사 108

    Ⅵ. 내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 방안 118
    1. 기본 방향 118
    2. 활성화 방안 120
    3. 주체별 시기별 추진방안 143

    Ⅶ. 결 론 145

    참고문헌

    설문조사서

    영문초록
  •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립방향 설정 연구

    연구책임 : 정승훈|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615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방법 및 범위 2
    3. 연구의 접근체계 3

    Ⅱ. 메가트렌드 분석과 미래환경 전망 5
    1. 메가트렌드 선행 연구동향 5
    2. 메가트렌드 변화요인 분석 11
    3. 제주특별자치도에 미치는 영향 전망과 이슈 분석 27

    Ⅲ.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추진 분석 28
    1. 국제자유도시 추진 개요 28
    2.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추진 현황 34
    3. 기존 제주국제자유도시 전략 비교
    4.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게획상의 개발 프로젝트 및 전략사업 43
    5. 제주국제자유도시 주요 핵심사업 54
    6. 시사점 67

    Ⅳ. 관련집단 설문조사 70
    1. 조사 개요 70
    2. 조사 결과 70
    3. 시사점 78

    Ⅴ. 국가 및 지역 계획 사례 분석 80
    1. 제5차 국토종합계획 80
    2. 2040 서울플랜(서울 도시기본계획) 82
    3. 강원비전 2040 86
    4. 시사점 88

    Ⅵ.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립 방향 설정 90
    1.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방향 설정 90
    2. 부문별 계획 방향 설정 98

    Ⅶ. 결론 171

    참고문헌 173
  • 제주도 공동자원(commons)관리정책 개발을 위한 기반연구

    연구책임 : 정창원|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597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필요성 2
    3. 연구의 주요 내용 3

    Ⅱ. 공동자원의 개념 5
    1. 공동자원의 개념 5
    2. 공동자원에 대한 논쟁 10

    Ⅲ. 공동자원 관리와 생태적 전환 13
    1. 불평등과 공동자원 13
    2. 생태적 전환과 공동자원 14

    Ⅳ. 제주의 공동자원 17
    1. 지하수 17
    2. 곶자왈 20
    3. 어장과 바다밭 24
    4. 바람 26
    5. 경관 31
    6. 공동목장과 토지 36
    7. 산담 43

    Ⅴ. 제주의 공동자원의 바람직한 관리정책과 과제 48
    1. 공동자원을 활용한 생태관광과 협치-선흘1리 48
    2. 공동자원을 활용한 마을자산 축적과 복지-가시리 50
    3. 공동자원을 활용한 시민배당 53
    4. 기대효과 및 정책제언 57

    참고문헌 61
    ABSTRACT 63
  • 탐라문화광장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09-30 |조회수 : 1608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탐라문화광장 조성 기본계획 분석 5
    1. 광장 유형의 개념 5
    2. 탐라문화광장의 성격 12
    3. 탐라문화광장 조성 기본계획 분석 14

    Ⅲ. 탐라문화광장 활용 여건 분석 23
    1. 탐라문화광장 주변지역 현황 23
    2. 탐라문화광장 관리체계 및 이용 현황 30
    3. 시사점 39

    Ⅳ. 국내 사례 분석 40
    1. 사례 분석 개요 40
    2. 사례 분석 결과 40

    Ⅴ. 전문가 면접조사 결과 53
    1. 관계자 면접조사 결과 53
    2. 전문가 의견 수렴 결과 64

    Ⅵ. 탐라문화광장 활성화 방안 75
    1. 기본 방향 75
    2. 정책제언 76

    참고문헌 85
    ABSTRACT 87

    부록
    1. 탐라문화광장 사용허가 관련 각종 서식 89
    2. 「제주특별자치도 탐라문화광장 문화진흥 조례」 96
  • 제주지역 생활임금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및 민간확산 방안

    연구책임 : 이순국|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09-30 |조회수 : 486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목적 …………………………………………………………………… 2
    3.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 2

    Ⅱ. 생활임금제 특징 및 현황 ……………………………………… 5
    1. 생활임금의 정의 및 적용방법 ………………………………………………… 5
    2. 생활임금 적용현황 …………………………………………………………… 8
    3. 생활임금의 적용확대 노력 …………………………………………………… 18

    Ⅲ. 제주지역 생활임금 적용현황 ……………………………… 23
    1. 제주지역 노동시장 현황 ……………………………………………………… 23
    2. 제주지역 생활임금제 추진현황 ………………………………………………33
    3. 제주지역 생활임금제를 위한 노력 ……………………………………………35

    Ⅳ. 제주지역 생활임금적용 실태 및 의견조사 결과 …………… 44
    1. 조사설계 ………………………………………………………………………44
    2. 생활임금 수혜자 실태조사 결과 ………………………………………………46
    3. 생활임금 수혜(예정)자 의견조사 결과 ……………………………………… 52
    4. 심층면접조사 결과(민간기업 사업주 대상) …………………………………63
    5. 소결 및 시사점 ………………………………………………………………69

    Ⅴ. 제주지역 생활임금의 파급효과 및 민간확산 정책방안 …… 70
    1. 생활임금의 제주경제 영향 분석 ……………………………………………… 70
    2. 생활임금 민간확산 정책 방향 ……………………………………………… 72
    3. 생활임금 민간확산 정책 대안 ……………………………………………… 76

    Ⅵ. 결 론 ………………………………………………………… 84

    참고문헌 ………………………………………………………… 86

    부록 ……………………………………………………………… 90
  • 제주지역 먹거리체계 구축과 푸드플랜 수립 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08-15 |조회수 : 556

    I. 서 론…………………………………………………………………………………… 1
    1. 연구배경 및필요성… ……………………………………………………………… 1
    2. 연구내용……………………………………………………………………………… 2

    Ⅱ. 푸드플랜 수립 동향… …………………………………………………………… 3
    1. 푸드플랜 개념………………………………………………………………………… 3
    2. 국내 푸드플랜 수립 동향…………………………………………………………… 5 2-1 국가 푸드플랜 ……………………………………………………………………… 6 2-2 지역 푸드플랜 ……………………………………………………………………… 7
    3. 해외 푸드플랜 수립 동향……………………………………………………………17 3-1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 중 기아해소 목표 ………………………………… 18 3-2 밀라노 도시먹거리 정책 협약(2015) …………………………………………… 19 3-3 캐나다 토론토 …………………………………………………………………… 19

    Ⅲ. 제주지역 먹거리 현황 및 이슈 분석… ……………………………………21
    1. 먹거리 생산 현황 및 이슈……………………………………………………………21 1-1 농가인구 및 농가경제 …………………………………………………………… 21 1-2 주요작물 재배 현황 ……………………………………………………………… 24 1-3 농산물 인증 현황 ………………………………………………………………… 27
    2. 먹거리 유통ㆍ가공 현황 및 이슈……………………………………………………29 2-1 농축산물 판매처 현황 …………………………………………………………… 29 2-2 먹거리 자급률 …………………………………………………………………… 29 2-3 먹거리 유통 현황 ………………………………………………………………… 31 2-4 도내 먹거리 순환체계 현황 ……………………………………………………… 33 2-5 먹거리 가공 현황 ………………………………………………………………… 36 2-6 음식점 현황 ……………………………………………………………………… 38
    3. 먹거리 보장 현황 및 이슈……………………………………………………………40 3-1 도민 식생활 형편 ………………………………………………………………… 40
    3-2 노인 먹거리 보장 현황 …………………………………………………………… 41 3-3 아동 먹거리 보장 현황 ………………………………………………………… 42 3-4 취약계층 현황 …………………………………………………………………… 44
    4. 먹거리 폐기 현황 및 이슈……………………………………………………………46
    5. 종합 및 과제 도출……………………………………………………………………50

    Ⅳ. 제주지역 푸드플랜 거버넌스 구축 방안… ………………………………51
    1. 민관 거버넌스 구축 개요……………………………………………………………51 1-1 민관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 ……………………………………………………… 51 1-2 민관 거버넌스 구축 방향 ………………………………………………………… 51 1-3 민관 거버넌스 구축 과정 ………………………………………………………… 52
    2. 제주 푸드포럼 운영… ………………………………………………………………53
    3. 제주 푸드위원회 구성 및 운영………………………………………………………53
    4. 전담부서 설치…………………………………………………………………………55
    5. 제주푸드통합지원센터 설치…………………………………………………………56

    참고문헌… ………………………………………………………………………………57

    Abstract… ………………………………………………………………………………57
  • 제주지역 시티투어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07-15 |조회수 : 1180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3. 연구의 내용 및 절차 …………………………………………………………3

    Ⅱ. 시티투어 개념 및 사례 고찰 ………………………………… 5
    1. 시티투어 개념 …………………………………………………………………5
    2. 선행연구 검토 …………………………………………………………………8
    3. 시티투어 사례 ……………………………………………………………… 10

    Ⅲ. 제주지역 시티투어 현황 및 만족도 조사 ……………………19
    1. 제주지역 시티투어 현황 …………………………………………………… 19
    2. 이용객 만족도 조사 ……………………………………………………… 27
    3. 이용객 조사 비교분석 …………………………………………………… 41
    4. 시사점 ……………………………………………………………………… 45

    Ⅳ. 제주지역 시티투어 활성화 방안 …………………………… 48
    1. 활성화 방향 ………………………………………………………………… 48
    2. 세부 방안 …………………………………………………………………… 49

    Ⅴ. 결론 및 제언 ………………………………………………… 56
    참고문헌 ……………………………………………………………………………… 58
    Abstract ……………………………………………………………………………… 59
    부록(설문조사지)………………………………………………………………………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