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지역 스타트업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1869

    Ⅰ. 서 론…………………………………………………………………………………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
    1-1 연구의 배경…………………………………………………………………………… 1
    2 연구목적……………………………………………………………………………… 2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
    3-1 연구 내용 …………………………………………………………………………… 2
    3-2 연구 방법 …………………………………………………………………………… 2
    3-3 연구 흐름도 ………………………………………………………………………… 2
    4. 기대효과……………………………………………………………………………… 3

    Ⅱ. 스타트업 개요 및 세계 동향…………………………………………………… 4
    1. 스타트업 개요 및 특성……………………………………………………………… 4
    1-1 스타트업 개요 ………………………………………………………………………4
    1-2 스타트업의 특징과 투자구조 ………………………………………………………8
    1-3 스타트업의 환경적 특성 ………………………………………………………… 8
    2. 세계 스타트업 현황 및 선진사례……………………………………………………10
    2-1 국가별 스타트업 현황 및 투자동향 ………………………………………………10
    2-2 해외 스타트업 육성 거점 ………………………………………………………… 18
    2-3 중국 선전시 스타트업 육성 사례 현지 조사 …………………………………… 22

    Ⅲ. 국내 스타트업 현황 및 정책동향……………………………………………27
    1. 국내 스타트업 현황… ………………………………………………………………27
    1-1 한국 스타트업의 현황 및 투자상황 …………………………………………… 27
    2. 국내 스타트업 육성정책… …………………………………………………………35
    2-1 개요 ……………………………………………………………………………… 35
    2-2 중소벤처기업부의 스타트업 육성 정책 …………………………………………35
    2-3 주요 기관 ………………………………………………………………………… 38
    3. 국내 스타트업 창업정책과 특징……………………………………………………41
    3-1 액셀러레이터 등록제도 ………………………………………………………… 42
    3-2 창업도약패키지 ………………………………………………………………… 43
    3-3 청소년 비즈클 …………………………………………………………………… 43
    3-4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TIPS) ………………………………………… 44
    3-5 한국 스타트업의 특징 …………………………………………………………… 44
    3-6 한국 스타트업 이벤트 개최 ……………………………………………………… 44

    Ⅳ. 제주지역 스타트업 현황 및 실태……………………………………………49
    1. 제주지역 스타트업 육성기관… ……………………………………………………49
    1-1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49
    1-2 JDC혁신성장센터 ………………………………………………………………… 56
    1-3 서귀포시 스타트업베이(Startupbay) …………………………………………… 57
    1-4 제주테크노파크(TP) ……………………………………………………………… 61
    1-5 제주산학융합원 …………………………………………………………………… 61
    1-6 제주청년사관학교 ………………………………………………………………… 62
    1-7 제주더큰내일센터 ………………………………………………………………… 62
    1-8 대학창업보육센터 ………………………………………………………………… 62
    2. 제주지역 스타트업 육성정책 동향………………………………………………… 62
    2-1 제주관광공사 J-startup 사업 …………………………………………………… 63
    2-2 팹랩제주 …………………………………………………………………………… 64
    3. 제주지역 스타트업 경영체 현황 및 실태… ……………………………………… 64
    3-1 제주스타트업협회(JSA) ……………………………………………………………64
    3-2 주요 스타트업 ……………………………………………………………………… 66
    4. 제주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의 한계………………………………………………… 68

    Ⅴ. 제주지역 스타트업 발전전략… ………………………………………………70
    1. 스타트업 생태계 이해 필수…………………………………………………………71
    2. 규제개선 활성화 사업 추진…………………………………………………………73
    3. 스타트업 육성 인프라 확충…………………………………………………………75
    4. 전략펀드 조성 운용 및 자금지원……………………………………………………76
    5. 창업보육지원기관 협업 및 지원강화………………………………………………78
    6. 인력유치 및 마케팅 강화……………………………………………………………79

    Ⅵ. 정책적 제언……………………………………………………………………………81
    1. 제주 스타트업 육성 비전과 전략 마련… …………………………………………81
    2. 규제개선 컨설팅 사업 추진…………………………………………………………81
    3. 주기적 현장 방문단 운영……………………………………………………………82
    4. 제주국제해커톤대회 등 개최… ……………………………………………………82
    5. 스타트업 생태계 이해 교육 주기적 실시… ………………………………………83

    참고문헌… ………………………………………………………………………………84

    ABSTRACT………………………………………………………………………………85
  •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

    연구책임 : 박창열|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969

    I.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 목적 2
    2. 연구 주요내용 3
    3. 재해 회복탄력성 정의와 연구범위 3
    3-1 재해 회복탄력성 정의 3
    3-2 연구범위 3

    II. 리질리언스 정의와 구성요소 4
    1. 리질리언스 개념 4
    2. 리질리언스 원리 5
    3. 리질리언스 구성요소 6

    III. 국내외 재해 회복탄력성 관련 법제도 9
    1. 국내 관련 법제도 9
    1-1 관련 법령 9
    2. 국외 관련 법제도 20
    2-1 미국 20
    2-2 일본 22
    3. 법제도를 통해 본 시사점 26

    IV. 지역사회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사례와 시사점 28
    1. 국내 사례 28
    1-1 서울특별시 관련 사례 28
    1-2 제주특별자치도 관련 사례 29
    2. 해외 사례 33
    2-1 주요 국가별 사례 33
    2-2 국제기구 사례 45
    3. 시사점 50

    V.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 52
    1. 제주지역 재해 여건과 특성 52
    2.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기본체계 55
    2-1 목적과 필요성 55
    2-2 기본체계 56
    3.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 57
    3-1 독립적 방재체계 구축 57
    3-2 방재성능 개선 61
    3-3 재해예방형 도시 구축 63
    3-4 인명피해 관리체계 강화 68

    VI. 결론 72

    참고문헌 74
    Abstract 76
  • 제주 문화예술의 섬 활성화 전략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1673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제주 문화예술의 섬 조성 전략 분석 5
    1. 문화예술의 섬 조성 추진 배경 및 방향 5
    2. 문화예술의 섬 조성 비전 및 전략 7
    3. 중점과제 주요 내용 9
    4. 분석 결과 17

    Ⅲ. 정부의 문화정책 방향 및 추진과제 19
    1. 국정 비전과 문화정책 19
    2.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정책 비전과 계획 28
    3. 제주 문화예술의 섬 활성화 방향과 정부 문화정책의 조응 53

    Ⅳ.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 현황 및 추진과제 58
    1. 제주 문화정책 환경 58
    2. 민선 6기 문화정책 추진 결과 63
    3. 민선 7기 문화정책 추진 현황 74
    4. 도민 및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79


    Ⅴ. 제주 문화예술의 섬 활성화 방안 91
    1. 추진 방향 91
    2. 전략과제 선정 방법 92
    3. 전략과제 주요 내용 95

    참고문헌 112
    ABSTRACT 113
  • 오름 생태자원 보전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홍창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951

    I.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2. 주요 연구내용……………………………………………………………………… 3
    3. 연구방법… ………………………………………………………………………… 5
    4. 연구의 접근체계…………………………………………………………………… 6

    II. 오름 생태자원의 현황 분석
    1. 제주 오름의 생태자원 현황분석… ……………………………………………… 7
    2. 제주 오름 생태자원 보전관리 거버넌스 운영실태 조사……………………… 16

    Ⅲ. 협력적 생태보전 거버넌스의 개념 정의와 국외사례 정리
    1. 협력적 생태보전 거버넌스의 정의와 구성요소………………………………… 19
    2. 일본 기타큐슈 생태보전 거버넌스 사례………………………………………… 22
    3. 독일 프라이부르크 환경보전 거버넌스 사례…………………………………… 25
    4. 미국 푸에르토리코 생태보전 거버넌스 사례…………………………………… 27
    5. 미국 하와이 생태보전 거버넌스 사례…………………………………………… 28
    6. 영국 에딘버러 생태보전 거버넌스 사례………………………………………… 29

    Ⅳ. NGT+Conjoint 분석법을 이용한 모델 시뮬레이션 비교평가
    1. 제주 오름 생태자원 거버넌스의 요소…………………………………………… 31
    2. Nominal Group Technique……………………………………………………… 32
    3. Conjoint Analysis………………………………………………………………… 32
    4. Survey 디자인…………………………………………………………………… 33
    5. Survey 결과 분석… ……………………………………………………………… 35

    V. 제주 오름 관리보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적 시사점
    1. 요소1: 원칙적 결속 증대(Principled Engagement)…………………………… 45
    2. 요소2: 공유사회유도 촉진(Shared Motivation)… …………………………… 47
    3. 요소3: 공동행동역량 강화(Capacity for Joint-Action)……………………… 49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오름 생태자원 거버넌스 체계 업데이트 필요………………………………… 50
    2. 제주 오름 관리보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적 진단 시사점………………… 52
    3. 향후 오름 생태거버넌스 업데이트 방향 제언… ……………………………… 54

    참고문헌… ……………………………………………………………………………… 56
    설문지…………………………………………………………………………………… 59

    ABSTRACT
    1. English Abstract…………………………………………………………………… 63
    2. 日文 抄錄…………………………………………………………………………… 65
  • 제주형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1595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 1
    2-1 연구방법 및 연구 설계
    2-2 주요 연구내용
    2-3 연구의 한계
    2-4 기대효과

    Ⅱ. 해양레저관광의 이론적 고찰 및 현황분석… ………………………… 4
    1. 해양레저관광의 이론적 고찰… ………………………………………………… 4
    1-1 해양레저관광 정의
    1-2 해양레저관광의 특성
    1-3 해양레저관광의 분류
    1-4 해양레저관광과 해양레저산업
    2. 해양레저관광 현황………………………………………………………………… 7
    2-1 세계 해양레저관광
    2-2 국내 해양레저관광
    2-3 제주지역 해양레저관광
    3. 제주의 해양레저관광 여건분석… ……………………………………………… 17
    3-1 해양레저관광 여건분석
    3-2 해양레저관광 SWOT분석
    3-3 SWOT분석에 따른 전략
    4. 해양레저관광 정책동향…………………………………………………………… 24
    4-1 중앙정부
    4-2 제주특별자치도

    Ⅲ. 도민 의견조사… ………………………………………………………………… 32
    1. 조사설계… ………………………………………………………………………… 32
    1-1 조사개요
    1-2 조사내용
    2. 조사결과… ………………………………………………………………………… 33
    2-1 인구통계적 특성
    2-2 해양레저관광 활동 관련 질문
    2-3 해양레저관광 전망 관련 질문
    2-4 해양레저관광 대중화 관련 질문
    2-5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관련 질문
    2-6 해양레저관광객 유치 관련 질문
    3. 시사점… …………………………………………………………………………… 70
    3-1 저렴한 비용의 다양한 해양레저관광 활동 유도
    3-2 해양레저 관련 도민 참여기회 확대
    3-3 관광객 특성을 고려한 해양레저관광객 확대 유치
    3-4 해양레저지원센터 설립 등 해양레저관광 대중화 정책 수립
    3-5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 강화
    3-6 해양레저관광 핵심 산업인 수중레저산업 활성화 지원
    3-7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한 국제 박람회 및 대회 확대 유치·개최
    3-8 경쟁력 있는 해양레저기업 육성
    3-9 해양레저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한 상품개발 강화
    3-10 해양레저관광 마스터 플랜 수립

    Ⅳ. 국내 사례분석… ………………………………………………………………… 74
    1. 국내 사례…………………………………………………………………………… 74
    1-1 부산·울산 사례
    1-2 전라남도의 해양레저 사례
    1-3 경기도의 해양레저 사례
    2. 시사점… …………………………………………………………………………… 88
    2-1 친수문화 정착을 위한 도민인식 제고
    2-2 해수욕장별 특화된 해양레저종목 육성
    2-3 해양레저스포츠 페스티벌(축제)과 대회 유치·개최 확대
    2-4 제주형 복합해양레저관광지 육성
    2-5 해양레저 체험 무료 아카데미 확대 운영
    2-6 전문인력 양성
    2-7 해양레포츠센터 설립

    Ⅴ. 제주형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 …………………………………… 90
    1. 해양레저관광의 과제……………………………………………………………… 90
    1-1 시설부문
    1-2 콘텐츠부문
    1-3 교육 및 인력부문
    1-4 산업지원부문
    1-5 제도부문
    2.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 …………………………………………………… 95
    2-1 제주형 해양레저관광이 나아갈 방향
    2-2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 104
    ABSTRACT………………………………………………………………………………106
    부 록………………………………………………………………………………………108
  • 제주지역 최저임금인상의 고용영향과 정책대응방안

    연구책임 : 이순국|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729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범위 및 방법… ………………………………………………………………… 2
    3-1 연구범위…………………………………………………………………………… 2
    3-2 연구방법……………………………………………………………………………2

    Ⅱ. 최저임금 변화와 업종별 고용특징 분석 ………………………………… 4
    1. 최근 정부 최저임금 변화와 특징…………………………………………………… 4
    1-1 2020년 최저임금 결정 : 8,590원…………………………………………………… 4
    2. 업종별 고용특징 분석… …………………………………………………………… 5
    2-1 전국-제주 고용특징………………………………………………………………… 5
    2-2 업종별 특징… ……………………………………………………………………………… 7
    3. 제주지역 최저임금과 산업구조 특징… …………………………………………… 12
    3-1 제주지역 산업구조 특징… …………………………………………………………12
    3-2 제주지역 최저임금미만자 현황… ………………………………………………… 16

    Ⅲ. 제주지역 최저임금인상의 고용영향 실태조사 결과………………… 18
    1. 조사개요… …………………………………………………………………………… 18
    2. 설문조사 결과………………………………………………………………………… 20
    2-1 사업장 일반현황… ………………………………………………………………… 21
    2-2 경영관련……………………………………………………………………………… 22
    2-3 최저임금인상 관련… ………………………………………………………………25
    2-4 향후 고용 축소 및 축소 이유………………………………………………………31
    2-5 향후 최저임금인상 지속과 경영방식…………………………………………… 31
    2-6 최저임금인상으로 인한 기대효과… ……………………………………………32
    2-7 외국인 고용 관련… ……………………………………………………………… 33
    2-8 제주지역 최저임금 충실도와 문제해결 방법… …………………………………35
    3. 소결 및 시사점… …………………………………………………………………… 36
    4. 심층면접조사 결과…………………………………………………………………… 37
    4-1 조사개요……………………………………………………………………………… 37
    4-2 조사내용………………………………………………………………………………38
    4-3 대상자 선별… ……………………………………………………………………… 39
    4-4 업종별 분석결과… ………………………………………………………………… 40
    5. 소결 및 시사점… …………………………………………………………………… 47

    Ⅳ. 제임금인상의 고용영향 분석 및 정책대응 방안…………………… 49
    1.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분석… ……………………………………………………… 49
    1-1 최저임금과 고용연계성… ………………………………………………………… 49
    1-2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추정결과… ………………………………………………… 50
    2. 최저임금인상과 고용영향 분석 및 시사점………………………………………… 53
    2-1 경영악화 및 비용증가 지속… …………………………………………………… 53
    2-2 1인 경영 및 가족경영 증가 추세… ……………………………………………… 54
    2-3 최저임금인상과 인건비 부담, 그리고 고용축소… …………………………… 54
    2-4 최저임금인상과 외국인고용 증가… ……………………………………………55
    2-5 최저임금인상과 사업주 대처방안… ……………………………………………55
    3. 최저임금인상에 따른 정책대응방안… …………………………………………… 55
    3-1 외국인고용과 근로환경 개선… ………………………………………………… 55
    3-2 업종별 차별화된 지원정책… …………………………………………………… 56
    3-3 일자리안정자금 지원정책의 실효성 강화……………………………………… 57
    3-4 영세소상공인 임차료, 카드수수료 등 비용경감 방안 마련… ……………… 57

    Ⅴ. 결론 및 정책제언…………………………………………………………………… 58

    참고문헌… ……………………………………………………………………………… 60
    Abstract… ………………………………………………………………………………62
    부록 1…………………………………………………………………………………… 63
    부록 2…………………………………………………………………………………… 72
  • 제주지역 청년취업 현황과 정책 대응 과제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1360

    I. 개 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2
    2. 연구 구조 및 방법… ………………………………………………………………… 3
    2-1. 연구 구조… ………………………………………………………………………… 3
    2-2. 연구 방법… ………………………………………………………………………… 4
    3. 선행연구 검토………………………………………………………………………… 5

    II. 청년 고용 동향과 정책 현황… ………………………………………………… 8
    1. 청년 고용동향………………………………………………………………………… 8
    2. 정책 추진 현황… …………………………………………………………………… 20
    2-1. 중앙정부 정책 추진 현황… ……………………………………………………… 20
    2-2. 지자체별 청년정책 추진 현황… ………………………………………………… 27
    2-3. 지자체별 청년지원 프로그램 사례… …………………………………………… 32

    III. 제주지역 청년층 인재 유출입 현황 및 특성 분석……………………… 38
    1. 들어가며… …………………………………………………………………………… 38
    2. 대졸 청년층 노동이동 현황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41
    2-1. 1차이동: 고등학교 → 대학교 이동 현황……………………………………… 42
    2-2. 2차이동: 고등학교 → 현 일자리 이동 현황… …………………………………48

    IV. 대졸 청년층 노동이동 코호트(cohort) 분류 및 특성 분석… …… 60
    1. 코호트(cohort) 분류 및 특성 분석… ……………………………………………… 60
    1-1. 수도권 및 출신지역 회귀를 중심으로… ………………………………………… 60
    1-2.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63
    2. 제주지역 청년종사자 특성 분석… ………………………………………………… 65
    2-1. 제주지역에서 일자리를 가진 이들의 특성… …………………………………… 65
    2-2. 제주지역 내 좋은 일자리(Good Job)를 갖기 위한 조건… ……………………69

    V. 결론 및 제언… ……………………………………………………………………… 71
    1. 결론… ………………………………………………………………………………… 71
    2. 제언… ………………………………………………………………………………… 72
    참고문헌… ……………………………………………………………………………… 75
    ABSTRACT……………………………………………………………………………… 77
    부록……………………………………………………………………………………… 78
  • 제주지역 건설산업 발전 방안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837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 2

    Ⅱ. 제주지역 건설산업 현황 분석……………………………………………… 4
    1. 제주지역 건설산업의 위상………………………………………………………… 4
    1-1 제주지역 건설산업 생산액 및 LQ
    1-2 제주지역 건설산업 성장률
    2. 제주지역 건설업체 현황… ……………………………………………………… 6
    2-1 사업체 수
    2-2 취업자 수
    3. 제주지역 건설시장 현황… ……………………………………………………… 8
    3-1 건설투자
    3-2 건설 수주
    3-3 건축 허가·착공 면적
    3-4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3-5 주택시장
    4. 종합 및 시사점… ………………………………………………………………… 30
    4-1 종합
    4-2 시사점

    Ⅲ. 제주지역 건설산업의 공급 및 수요 구조 분석……………………… 34
    1. 공급구조 분석……………………………………………………………………… 34
    2. 수요구조 분석……………………………………………………………………… 38
    3. 생산기술구조 분석………………………………………………………………… 42
    3-1 주거용 건물 건설업
    3-2 비주거용 건물 건설업
    3-3 건축보수업
    3-4 교통시설 건설업
    3-5 일반토목시설 건설업
    3-6 산업시설 건설업
    3-7 기타 건설업
    3-8 건축·토목 관련 서비스업
    3-9 생산기술구조 분석 결과 종합
    4. 제주지역 건설산업의 경제적 효과… …………………………………………… 50
    4-1 생산유발계수
    4-2 부가가치유발계수
    4-3 취업유발계수
    4-4 지역 내 산업별 파급효과(*100억 원 수요 발생 시)

    Ⅳ.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요 조사……………………………… 55
    1. 조사설계… ………………………………………………………………………… 55
    2. 조사결과… ………………………………………………………………………… 56

    ⅴ. 제주지역 건설산업 발전 방안……………………………………………… 68
    1. 건설 수요 확대……………………………………………………………………… 69
    2. 건설 생산성 제고… ……………………………………………………………… 73
    2-1 지역 중소건설업체 보호제도 내실화
    2-2 지역 중소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
    2-3 지역 건설인력 육성
    2-4 연관 산업 기반 강화 및 지역 내 산업간 연관관계 강화
    3. 제도 개선…………………………………………………………………………… 84

    참고문헌 … …………………………………………………………………………… 89

    Abstract… …………………………………………………………………………… 90
  • 제주지역 대중교통 노선조정 제도화 방안

    연구책임 : 손상훈|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658

    목 차 CONTENTS

    I. 서 론… …………………………………………………………………………………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1
    3. 연구 범위…………………………………………………………………………… 2
    4. 연구 추진 체계… ………………………………………………………………… 3

    Ⅱ. 제주지역 대중교통 현황……………………………………………………… 4
    1. 면허 현황…………………………………………………………………………… 4
    2. 노선 및 운행 현황… ……………………………………………………………… 5
    3. 이용 현황…………………………………………………………………………… 20

    Ⅲ. 노선조정 및 제도운영 사례… ……………………………………………… 30
    1. 노선조정… ………………………………………………………………………… 30
    1-1 서울특별시 심야 전용 올빼미 버스 신설
    1-2 서울특별시 버스 이용수요 대응 다람쥐 버스 신설
    1-3 서울특별시 교통약자를 위한 무료 셔틀버스 노선 개발
    1-4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조정
    1-5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 및 효율화 추진
    1-6 전주시 교통카드 DB를 활용한 대중교통 현황 분석

    2. 제도운영… ………………………………………………………………………… 41
    2-1 노선조정 업무처리 지침
    2-2 위원회

    3. 기타… ……………………………………………………………………………… 49
    3-1 인천광역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 등에 관한 조례
    3-2 경기도 여주시 버스 노선 개편

    4. 요약 및 시사점… ………………………………………………………………… 50
    4-1 노선조정
    4-2 제도운영

    Ⅳ. 제주지역 노선조정 추진 및 제도화……………………………………… 52
    1. 추진 개요…………………………………………………………………………… 52
    2. 추진 방향…………………………………………………………………………… 54
    3. 추진 방안…………………………………………………………………………… 55
    3-1 노선 신설
    3-2 노선 효율화
    4. 제도화 방안………………………………………………………………………… 59
    4-1 노선조정 업무 지침 마련
    4-2 노선조정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 62
    1. 연구 요약…………………………………………………………………………… 62
    1-1 연구 개요
    1-2 제주지역 대중교통 현황
    1-3 노선조정 및 제도운영 사례
    1-4 제주지역 노선조정 추진 및 제도화 방안
    2. 정책 제언…………………………………………………………………………… 65
    2-1 노선조정 업무지침 제정 및 활용
    2-2 노선조정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참고문헌… …………………………………………………………………………… 67

    부록… ………………………………………………………………………………… 68

    Abstract… …………………………………………………………………………… 69
  • 제주지역 식재료 유통센터 조성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고봉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58

    I. 서 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2-1 연구의 내용적 범위 ………………………………………………………… 2
    2-2 연구 방법 …………………………………………………………………2

    II. 제주지역 농식품 생산 · 유통 · 소비 현황… ……………………………… 3
    1. 제주농업의 개요……………………………………………………………………… 3

    2. 제주지역 농식품 생산현황… ……………………………………………………… 5 2-1 제주지역 농가인구 변화 …………………………………………………………… 5
    2-2 농업 생산 ………………………………………………………………………… 7 2-3 농산물 출하 및 가공 …………………………………………………………… 10

    3. 제주지역 농식품 소비현황… ………………………………………………………13 3-1 소비자 및 취약계층 현황 …………………………………………………………13 3-2 먹거리 지원사업 및 식품산업 규모 …………………………………………… 14 3-3 소매시장 …………………………………………………………………………… 15 3-4 로컬푸드 직매장 및 직거래 장터 ……………………………………………… 17

    4. 제주지역 학교급식 현황… …………………………………………………………17 4-1 제주지역 학교급식 배경 ………………………………………………………… 17
    4-2 친환경 농산물 공급업체 현황 …………………………………………………… 19 4-3 제주지역 학교급식의 실태 및 과제 ……………………………………………19

    III. 식재료 유통센터 조성을 위한 여건분석……………………………………21
    1. 농식품 유통정책 동향… ……………………………………………………………21 1-1 중앙정부의 상위계획 …………………………………………………………… 21
    1-2 문재인 정부의 ‘국가 푸드플랜’ ………………………………………………… 22

    2. 국내 공공급식 정책동향 및 운영실태………………………………………………23 2-1 국내 공공급식 정책동향 ………………………………………………………… 23 2-2 국내 공공급식 운영실태 ………………………………………………………… 24

    3.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26 3-1 해외 유사사례 …………………………………………………………………… 26 3-2 국내 유사사례 …………………………………………………………………… 32

    IV. 제주지역 식재료 유통센터 조성방안………………………………………37
    1. 센터 조성의 필요성… ………………………………………………………………37
    2. 센터 조성의 기본구상… ……………………………………………………………38 2-1 기본 컨셉 ………………………………………………………………………… 38 2-2 기능범위 …………………………………………………………………………… 38
    2-3 공급범위 …………………………………………………………………………… 39

    3. 식재료 유통센터 규모산출… ………………………………………………………43 3-1 취급목표 …………………………………………………………………………… 43 3-2 유통센터 구성과 산출기준 ……………………………………………………… 43 3-3 건축면적 산출 …………………………………………………………………… 44 3-4 사업비 추정 ………………………………………………………………………… 45

    4. 식재료 유통센터 운영방안… ………………………………………………………46 4-1 조직구성 방안 …………………………………………………………………… 46 4-2 공급조직 선정방안 ……………………………………………………………… 49 4-3 식재료 유통센터의 공급체계 …………………………………………………… 51

    V. 요약 및 결론… ………………………………………………………………………54
    1. 연구결과의 주요내용 요약… ………………………………………………………54
    2. 정책적 제언……………………………………………………………………………58

    참고문헌… ………………………………………………………………………………60
    ABSTRACT………………………………………………………………………………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