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정보화마을 자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강영준|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542

    목 차

    I. 연구개요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2
    2. 연구내용 및 방법 3
    2-1 연구내용 3
    2-2 연구방법 3
    3. 기대효과 5

    II. 정보화마을사업 개요 및 운영현황 6
    1. 정보화마을사업 개요 6
    1-1 정보화마을사업 목적 6
    1-2 정보화마을사업 추진 법적근거 6
    1-3 정보화마을사업 내용 9
    1-4 정보화마을사업 운영현황 11
    2. 제주지역 정보화마을사업 운영현황 13
    2-1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조성 현황 13
    2-2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지원체계 및 지원현황 16
    2-3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운영 실적 18

    III. 정보화마을사업 활성화방안 선행연구 21
    1. 정보화마을사업 관련 연구 21
    1-1 정보화마을 도입기, 성장기(2001년~2010년) 21
    1-2 정보화마을 성숙기, 쇠퇴기(2011년~2019년) 23
    2. 정보화마을 특성별 활성화 방안 26
    3. 정보화마을의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활성화와 연계방안 27
    3-1 정보화마을사업 정량성과 분석 27
    3-2 정보화마을사업 정성성과 분석 28
    3-3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30
    3-4 정보화마을사업 개선 방안 32

    IV.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운영실태 설문조사 34
    1. 설문 설계 34
    1-1 조사 개요 34
    1-2 문항 구성 35
    2. 응답자 정보 37
    3. 설문 결과 요약 40
    4. 설문 결과 세부내용 43
    4-1 정보화마을 사업성과 43
    4-2 정보화마을 자립기반 47
    4-3 정보화마을사업 운영 활성화 51
    4-4 정보화마을사업 향후 사업 방향 56
    4-5 운영위원장 및 프로그램 관리자 응답 질문 58
    4-6 자유의견 62
    5. 설문 결과 비교 분석 : 제주와 전국 65

    V.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위원장 심층인터뷰 68
    1. 심층인터뷰 개요 68
    2. 심층인터뷰 결과 69
    2-1 심층인터뷰 결과 요약 69
    2-2 심층인터뷰 세부 내용 : 제주시 74
    2-3 심층인터뷰 세부 내용 : 서귀포시 81

    VI. 마을사업 전문가 자문 89
    1. 제주관광공사 지역관광처 89
    2. 마을사업 전문가 93
    VII.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자립 및 활성화방안 96
    1.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자립 방안 96
    2.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활성화 방안 99
    3. 소결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09
    부록 1.설문지 111
    부록 2.정보화마을 조성 및 육성에 관한 법률안 118
    부록 3.정보화마을 운영 세부현황 122
  • 광어 소비확산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좌민석|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579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내용 및 방법 2

    II. 광어 소비 동향
    1. 수산물 소비 특징 4
    2. 광어 생산 및 소비동향 6

    Ⅲ. 수산물 마케팅 사례
    1. 국내 13
    2. 국외 16

    Ⅳ. 양식 광어 소비 확산을 위한 도민 인식 조사
    1. 조사개요 21
    2. 응답자 일반사항 22
    3. 조사결과 분석 24
    4. 시사점 36

    Ⅴ. 결론 및 정책제언 38

    참고문헌 45
    부록 : 설문지 46
    ABSTRACT 51
  • 제주지역 5대 전략산업분야 일자리 동향과 중장기 인력수급 분석

    연구책임 : 이순국|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817

    목 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2
    3.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3

    Ⅱ. 제주지역 고용 및 전략산업 현황 5
    1. 제주지역 산업 및 고용구조 현황 5
    2. 제주지역 일자리 사업 특징 22
    3. 제주지역 전략산업 특징 23

    Ⅲ. 제주지역 전략산업 인력수급 실태조사 결과 41
    1. 조사개요 41
    2. 설문조사 결과 42
    3. 심층면접조사 결과 65

    Ⅳ. 제주지역 전략산업 인력수급 분석 및 정책 대응방안 72
    1. 전략산업 인력수급 분석 특징과 시사점 72
    2.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와 정책 개선방안 75

    Ⅵ. 결 론 79

    참고문헌 81
    부록 82
    Abstract 91
  • 해수면상승 영향에 따른 제주지역 관리방안 연구

    연구책임 : 박창열|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780

    목 차


    I.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1

    II. 재해취약성 분석 제도에서의 해수면상승 분석 방법 검토 3
    1. 기존 재해취약성 분석 제도 3
    1-1 재해취약성 제도 개요 3
    1-2 재해취약성 분석 절차 5
    1-3 해수면상승 재해취약성 분석방법 7
    2. 본 연구의 해수면상승 재해취약성 평가 방법 9
    2-1 분석 지표 및 구축 방법 9
    2-2 본 연구에서의 해수면상승 재해취약성 분석 방법 9


    III. 제주지역 해수면상승 재해취약성 분석 15
    1. 현재 재해취약성 분석 15
    1-1 현재 기후노출 15
    1-2 현재 도시민감도 24
    1-3 현재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 31
    2. 미래 재해취약성 분석 33
    2-1 미래 기후노출 33
    2-2 미래 도시민감도 38
    2-3 미래 재해취약성 분석결과 42
    3. 종합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 43
    4. 해수면상승 재해 취약지역 관리상의 시사점 44

    IV. 해수면상승 재해취약지역 특성과 시사점 46
    1. 해수면상승 재해취약지역 세부인자 특성 46
    1-1 현재 기후노출 46
    1-2 현재 도시민감도 47
    1-3 미래 기후노출 52
    1-4 미래 도시민감도 53
    2. 재해취약지역 특성을 통해 본 시사점 54

    V. 해수면상승 영향에 따른 제주지역 관리방안 56
    1. 국내외 관련사례 56
    1-1 해외 사례 56
    1-2 국내 사례 67
    2. 해수면상승 영향에 따른 관리방안 70
    2-1 기본방향 및 관리영역 70
    2-2 영역별 관리방안 73

    VI. 결론 77


    ※참고문헌 79
  • 제주지역 전지훈련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과 유치 확대방안

    연구책임 : 최영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854

    목 차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2

    Ⅱ. 체육시설 현황 5
    1. 전지훈련 개요 5
    2. 전국현황 8
    3. 제주지역 현황 15
    4. SWOT분석 22

    Ⅲ. 사례조사 26
    1. 국내 사례분석 26
    2. 국외 사례분석 40
    3. 시사점 52

    Ⅳ. 의견조사 55
    1. 조사설계 55
    2. 조사결과 56
    3. 시사점 80

    Ⅴ. 전지훈련의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82
    1. 분석방법 및 과정 82
    2. 소비지출 규모 분석 84
    3. 지역경제파급효과분석 86

    Ⅵ. 전지훈련 팀 유치 확대방안 91
    1. 목표 및 과제 91
    2. 전지훈련 유치 확대방안 93

    참고문헌 100
    ABSTRACT 101
    부 록(설문지) 103
  • 제주지역 사업체 휴폐업 현황과 정책 과제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372

    목 차
    I. 개요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구조 및 방법 2

    II. 제주지역 사업체 휴폐업 현황 분석 4
    1. 분석 방법 4
    2. 현황 분석 5
    1) 사업자 현황 5
    2) 사업장 현황 18
    3) 사업체 현황 27

    III. 제주지역 사업체 경영현황 분석 33
    1. 분석 방법 33
    2. 자본총계 규모 34
    3. 매출액 규모 36
    4. 급여지출액 규모 38
    5. 부채총계 규모 41

    IV. 제주지역 사업체 효율성과 휴폐업 관계 분석 44
    1. 선행연구 44
    2. 분석방법(DEA, Malmquist, Logistic Regression) 46
    1) 자료포락분석(DEA) : 제주기업 효율성 추정 46
    2) 맴퀴스트 생산성지수 : 제주기업 생산성 변화 추정 47
    3) 로지스틱 회귀분석 : 제주기업의 휴폐업 가능성 추정 48
    3. 분석모형 및 자료 49
    3. 분석결과 51
    1) 업종별 효율성 분석 결과 51
    2) 업종별 생산성 변화 분석 결과 52
    3) 제주지역 사업체 휴폐업 가능성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54

    V. 결론 및 제언 60
    1. 결론 60
    2. 제언 62

    참고문헌 64
    Abstract 66
    <부록-1> 67
    <부록-2> 70
  • 제주형 귀농 귀촌 정책개선 및 발전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47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와 차별성 2
    3. 연구내용 3

    Ⅱ. 제주도 인구 현황 4
    1. 전체 인구 변화 4
    2. 제주시 및 읍 · 면 인구 변화 8
    3. 서귀포시 및 읍 · 면 인구 변화 27

    Ⅲ. 귀농ㆍ귀촌 지원 정책 분석 43
    1. 귀농ㆍ귀촌 개념 43
    2.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 정책 45
    3.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 정책 47

    Ⅵ. 귀농ㆍ귀촌 현황 및 사례 분석 51
    1. 귀농 현황 분석 51
    2. 귀촌 현황 분석 60
    3. 귀농 귀촌인 사례 조사 64

    Ⅴ. 귀농ㆍ귀촌 지원 정책 개선 방안 72
    1. 귀농 귀촌 지원 정책 개선 방향 72
    2. 귀촌 귀촌 지원 정책 개선 방안 74

    참고문헌 76
    ABSTRACT 77

  • 제주형 환경영향평가 항목 범위 설정 가이드라인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393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주요 연구 내용 3

    Ⅱ. 환경영향평가 항목 범위와 관련된 법령 검토 4
    1. 환경영향평가법 4
    2. 제주특별자치도 조례 12

    Ⅲ. 환경영향평가 항목의 선정방식 검토 18
    1. 중점평가항목의 선정 18
    2.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운영 20
    3. 스코핑제도 운영사례 22

    Ⅳ. 제주형 환경영향평가 항목 범위설정을 위한 인식 조사 29
    1. 조사 개요 29
    2. 조사결과 분석 30

    Ⅴ. 제주형 환경영향평가 항목 및 범위 설정 가이드라인 89
    1.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운영 가이드라인 89
    2. 대상사업 관련 작성 지침 가이드라인 93
    3. 대상지역 관련 작성 지침 가이드라인 95
    4. 지역의 환경이슈 및 중점항목 선정 가이드라인 98

    Ⅳ. 정책 제언 101
    1.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운영의 내실화 101
    2.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에 투명한 정보공개 101
    3. 대상사업 및 대상지역 작성 기준 강화 103
    4. 대상지역의 환경이슈 검토방식 전환 105

    참고문헌 106
  • 제주혁신도시 발전지원재단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400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방법 2

    Ⅱ. 제주지역 현황 및 여건 분석 5
    1. 지역 현황 분석 5

    Ⅲ. 제주혁신도시 현황 및 타 지역 사례 41
    1. 제주혁신도시 현황 41
    2. 제주혁신도시 정주여건 현황 45
    3. 타 지역 혁신도시 사례 56

    Ⅳ. 혁신도시 발전지원재단 타당성 및 기본구상 66
    1. 관련계획 검토 66
    2. 관련제도 및 법규 분석 69
    3. 도민 의식조사 72
    4. 제주혁신도시 복합혁신센터 건립 84
    5. 제주혁신도시 발전지원재단 기본구상 90

    Ⅴ. 마무리 96
    1. 결론 96

    참고문헌 102
    Abstract 103
  • 제주지역 관광패스 도입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08-31 |조회수 : 406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3. 연구의 내용 및 절차 2
    4. 연구의 한계 3

    Ⅱ. 관광패스 개념 및 국내 · 외 사례 4
    1. 관광패스의 개념 4
    2. 국내 사례 5
    3. 국외 사례 14
    4. 사례조사 시사점 24

    Ⅲ. 제주 관광패스 관광객 의견조사 25
    1. 조사 개요 25
    2. 조사 결과 26
    3. 의견조사 시사점 43

    Ⅳ. 제주 관광패스 관광객 의견조사 45
    1. 도입 방향 45
    2. 활성화 방안 47

    Ⅴ.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5
    Abstract 56
    부록(의견조사지)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