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과세자주권 제주 이양방안에 대한 연구

    연구책임 : 고철수|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357

    I. 연구의 개요………………………………………………………………………………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2
    3. 연구방법………………………………………………………………………………2
    4. 주요 연구내용…………………………………………………………………………3
    5. 기대 효과………………………………………………………………………………3

    II. 과세자주권 및 재산세 과표의 이론적 고찰… ………………………… …4
    1. 과세자주권의 개념 및 근거… …………………………………………………… …4 1-1. 개념 및 의의 ……………………………………………………………………… 4 1-2. 조례에 의한 새로운 세목 신설권 ………………………………………………… 5 1-3. 법적 성격 …………………………………………………………………………… 6

    2. 재산세 과세표준의 이론적 고찰………………………………………………… …7 2-1. 과세표준의 개념과 기능 ………………………………………………………… 7 2-2. 과세표준 결정권의 개념과 중요성 ………………………………………………10

    III. 제주특별자치도의 과세표준 현황… ……………………………………… 14
    1. 토지 지목별 현황……………………………………………………………………14
    2. 개별주택 현황 및 보급률 현황…………………………………………………… 15
    3. 지가 변동률 현황… ……………………………………………………………… 16
    4. 토지거래 현황……………………………………………………………………… 17
    5. 주택가격 현황……………………………………………………………………… 19
    6. 소결………………………………………………………………………………… 20

    IV. 과세자주권 이양 방안………………………………………………………… 21
    1. 법률적 검토………………………………………………………………………… 21
    2. 제주 이양 방안… ………………………………………………………………… 26
    3. 정책 제언 및 과제………………………………………………………………… 30

    참고문헌… ……………………………………………………………………………… 32
  • 지방분권을 향한 제주특별법의 정비방안

    연구책임 : 권영호|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540

    I.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1. 연구목적… ……………………………………………………………………………1 2. 연구필요성……………………………………………………………………………1

    Ⅱ. 지방분권의 개념……………………………………………………………………3
    1. 지방분권의 필요성……………………………………………………………………3

    2. 지방분권의 의의………………………………………………………………………3 2-1 지방분권에 관련된 사상과 이론
    2-2 지방자치의 헌법적 기능
    2-3 지방자치권의 헌법적 보장의 내용
    2-4 지방분권의 의의
    2-5 자치분권의 의의
    2-6 정치적인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서의 지방분권

    3.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의필요성……………………………………………………27 3-1 헌법 개정의 규범적 요청
    3-2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의 원칙
    3-3 현행 헌법의 한계
    3-4 한반도의 재통일

    Ⅲ. 특별자치도의 개념 및 법적 지위……………………………………………36
    1. 특별자치제의 개관……………………………………………………………………36 1-1 특별자치제의 의의
    1-2 특별자치제의 외국 사례
    1-3 일반자치제와 특별자치제의 관계
    1-4 일반자치제의 한계가 특별자치제에 미치는 영향

    2. 우리나라 특별자치도 관련법 규정 및 개념………………………………………44

    3. 특별자치도의 사무와 권한… ………………………………………………………46 3-1 ‘특수한 지위’로서의 특별자치도의 사무
    3-2 현행법상 특별자치제의 유형
    3-3 국가와 특별자치도의 관계
    3-4 자치사무의 확대
    3-5 기초자치단체의 폐지에 따른 자치사무의 확대
    3-6 중앙행정기관 사무의 단계적 이양에 따른 자치사무의 확대

    4. 제주특별자치도의 권한……………………………………………………………52 4-1 제주특별법상 자치권
    4-2 자치조직권의 확대
    4-3 자치입법권의 확대

    Ⅳ. 현행법체계에서의 특별자치도의 실현상의 문제………………………56
    1. 특별자치도의 법적 지위 문제… ……………………………………………………56 1-1 문제소재
    1-2 중앙행정기관의 사무 및 권한이양 방법상의 문제와 개선방향
    1-3 자치입법권의 실질적 확대의 문제와 개선방향
    1-4 자치재정의 확보의 문제와 개선방향

    2. 제주특별자치도의 헌법적 보장… …………………………………………………59 2-1 특별자치도의 헌법적 보장 및 모델
    2-2 헌법 개정 방안
    2-3 제주특별자치제도의 헌법에서의 보장방안
    2-4 통일에 대비한 특별자치제의 도입
    2-5 헌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개정안

    Ⅴ. 제주특별자치도법 개선방안……………………………………………………66
    1. 제주특별자치제의 새로운 제도…………………………………………………66

    2. 제주사회에 고유한 삼무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법제마련… ……………………68 2-1 도둑 없는 사회·안전한 사회 건설을 위한 안전관련 법제
    2-2 거지 없는 사회·복지사회 조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2-3 대문 없는 사회·신뢰받는 사회 추진 방안
    2-4 제주특별법 입법체계 개정방안

    Ⅵ. 결론…………………………………………………………………………………78

    참고문헌… ………………………………………………………………………………80

    Abstract… ………………………………………………………………………………82
  • 제주 승마산업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덕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69

    Ⅰ. 연구개요…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범위, 내용 및 추진체계… ………………………………………………… 2 2-1 연구의 범위 ……………………………………………………………………… 2 2-2 연구의 내용 ……………………………………………………………………… 2 2-3 연구의 추진방안 ………………………………………………………………… 3

    Ⅱ. 승마산업 특성 조사… …………………………………………………………… 4
    1. 말산업 개념과 범주… ……………………………………………………………… 4 1-1 말산업의 개념 ……………………………………………………………………… 4 1-2 말산업 범주 및 다양성 …………………………………………………………… 6 1-3 말산업의 분류체계 ………………………………………………………………… 7

    2. 승마산업의 개념과 범주… ………………………………………………………… 8 2-1 승마산업의 개념 ……………………………………………………………………8 2-2 승마산업의 범주 …………………………………………………………………… 9

    Ⅲ. 국내·외 말산업 현황………………………………………………………………12
    1. 국내·외 말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분석… …………………………………………12 1-1 국외 현황 ………………………………………………………………………… 12 1-2 국내 현황 ………………………………………………………………………… 50

    2. 제주 승마산업의 여건 분석…………………………………………………………61 2-1 제주승마관련 기초자료 및 승마산업 자원 …………………………………… 61

    Ⅳ. 제주 승마산업 활성화 방안……………………………………………………72
    1. 제주 승마산업 비전 및 전략…… ………………………………………………72
    1-1 제주 승마산업 SWOT 분석 ……………………………………………………… 72 1-2 제주승마산업 비전 및 전략 목표 ……………………………………………… 74

    2. 제주 승마산업 활성화 방안……… …………………………………………………76 2-1 추친과제 1: Think Tank 구축 …………………………………………………… 76 2-2 추진과제 2: 전문인력 양성 ……………………………………………………… 77 2-3 추진과제 3: 미래 승마인 육성 ………………………………………………… 78 2-4 추진과제 4: 승마산업 생태계 조성 ……………………………………………… 80 2-5 추진과제 5: 승마관광 활성화 …………………………………………………… 81 2-6 추진과제 6: Risk Management ………………………………………………… 83 2-7 추진과제 7: Environment Management Program …………………………… 84 2-8 추진과제 8: 말 사육환경 개선 …………………………………………………… 86 2-9 추진과제 9: 승마관련 스포츠 성과 강화 ……………………………………… 87 2-10 추진과제 10: 승마 Club 지원 ……………………………………………………89

    참고문헌… ………………………………………………………………………………91

    ABSTRACT………………………………………………………………………………92

    부록………………………………………………………………………………………93

  • 제주특별자치도 공동주택 내 전기자동차 충전기 보급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588

    Ⅰ. 연구의 목적과 주요내용 1
    1. 연구의 추진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1
    3. 연구방법 및 범위 2

    Ⅱ. 전기차, 충전기 보급 현황 및 전기차 대량보급을 위한 충전설비 고려사항 3
    1. 국내 및 제주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현황 3
    2. 대규모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위한 고려사항 9
    3. 전기차 충전기 설치관련 제도의 문제점 14
    4. 기타 고려사항 18

    Ⅲ. 설문조사 및 분석 22
    1. 설문조사의 개요 22
    2. 응답자 일반사항 26
    3. 전기자동차 보유 응답자특성 28
    4. 전기자동차 및 충전기 보급과 이용에 관한 사항 31
    5. 이동형 충전기에 관한 사항 51
    6. 설문조사 결과의 시사점 59

    Ⅳ. 실증분석 62
    1. 실증모형 검토 62
    2. 변수설정 64
    3. 회귀분석 결과 65
    4. 분석의 주요함의 70

    Ⅴ. 결론 73
    1. 기술적(전기공학적)측면에서의 시사점 73
    2. 설문조사 결과의 시사점 74
    3. 실증분석의 주요함의 75

    부록 공동주택내 전기자동차 충전기 보급 활성화를 위한 설문 77

    참고문헌 83
    ABSTRACT 84
  • 제주특별자치도 청년취업 서비스 제고방안

    연구책임 : 김혜연|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11

    1.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주요 내용…………………………………………………………………… 4
    3. 연구의 기대효과…………………………………………………………………… 4
    4. 한계…………………………………………………………………… 5

    Ⅱ. 취업지원프로그램 현황……………………………………………… 6
    1.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개념 …………………………………………………………6
    2.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9
    3. 정부의 일자리지원 사업 …………………………………………………………… 15
    4. 제주특별자치도의 일자리지원 사업………………………………………………21

    Ⅲ. 조사방법 …………………………………………………25
    1. 조사 대상………………………………………………………… 25
    2. 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 25

    Ⅳ. 실증분석………………………………………27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27
    2. 청년들의 취업계획 및 취업현황…………………………………………………29
    3. 청년들의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실태 …………………………………34
    4. 청년들의 제주특별자치도 청년일자리 사업 참여 실태 ……………………… 38

    Ⅴ. 결론 및 제언 ……………………………………… 44
    1. 조사 결과의 요약 ………………………………………………… 53
    2. 정책 제언………………………………………………………… 45

    참고문헌 ……………………………………………………………………………… 50

    부록 : 설문지…………………………………………………… 53
  • 도정 혁신방안 발굴 및 제안 과제 발굴

    연구책임 : 민기|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01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2
    2-1 연구의 범위 ……………………………………………………………………… 2
    2-2 연구의 방법 ……………………………………………………………………… 2

    Ⅱ. 정부의 열린혁신 정책구조……………………………………………………… 4
    1. 정부개혁 기조변화…………………………………………………………………4
    1-1 정부서비스 의의 ………………………………………………………………… 4
    1-2 정부서비스 접근관점 변화 ……………………………………………………… 5
    1-3 역대정부별 개혁기조 …………………………………………………………… 5
    2. 열린혁신 내용구조……………………………………………………………………10 2-1 추진배경 …………………………………………………………………………… 10
    2-2 비전체계 …………………………………………………………………………… 11
    2-3 중점사업 …………………………………………………………………………… 13
    2-4 추진체계 및 성과관리 …………………………………………………………… 15
    3.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정책……………………………………………………………16 3-1 비전체계 …………………………………………………………………………… 16
    3-2 중점사업 …………………………………………………………………………… 17
    3-3 2019년 혁신과제 …………………………………………………………………… 18

    Ⅲ. 광역자치단체 혁신체계 분석… ………………………………………………20
    1. 분석설계……………………………………………………………………………20
    2. 광역별 사례분석………………………………………………………………………21 2-1 서울시 사례내용 ………………………………………………………………… 21
    2-2 부산시 사례내용 ………………………………………………………………… 23 2-3 대구시 사례내용 ………………………………………………………………… 25
    2-4 인천시 사례내용 ………………………………………………………………… 27 2-5 광주시 사례내용 …………………………………………………………………28 2-6 대전시 사례내용 ………………………………………………………………… 30 2-7 울산시 사례내용 ………………………………………………………………… 32 2-8 세종시 사례내용 ………………………………………………………………… 34 2-9 경기도 사례내용 ………………………………………………………………… 36 2-10 강원도 사례내용 ………………………………………………………………… 38 2-11 충북도 사례내용 ………………………………………………………………… 40 2-12 충남도 사례내용 ………………………………………………………………… 41 2-13 전북도 사례내용 ………………………………………………………………… 44 2-14 전남도 사례내용 ………………………………………………………………… 46 2-15 경북도 사례내용 ………………………………………………………………… 48 2-16 경남도 사례내용 ………………………………………………………………… 49
    3.…사례분석…결과……………………………………………………………………52

    Ⅳ. 국내외 행정혁신 사례분석………………………………………………………54
    1. 분석설계……………………………………………………………………………54
    2. 국내사례 분석………………………………………………………………………55 2-1 인권 분야 ………………………………………………………………………… 55 2-2 사회통합 분야 …………………………………………………………………… 55 2-3 공동체 분야 ……………………………………………………………………… 56 2-4 상생협력 분야 …………………………………………………………………… 57 2-5 시민참여 분야 …………………………………………………………………… 58
    3. 국외사례 분석…………………………………………………………………………58 3-1 협업 관련 사례 …………………………………………………………………… 58 3-2 적극행정 관련 사례 ……………………………………………………………… 76 3-3 디지털 행정 관련 사례 ……………………………………………………………84
    4. 사례분석 결과종합……………………………………………………………………96

    Ⅴ. 도정혁신 정책과제 발굴…………………………………………………………99
    1. 접근방향……………………………………………………………………………99
    2. 도민참여 강화방안………………………………………………………………… 100 2-1 기본논리 ……………………………………………………………………………100 2-2 정부정책 및 기존사례 ……………………………………………………………102 2-3 대안설계 ……………………………………………………………………………105
    3. 도민중심 서비스공급 방안… …………………………………………………… 111 3-1 기본논리 ……………………………………………………………………………111 3-2 체계적 시책관리 …………………………………………………………………112 3-3 통합민원 시스템 구축 ……………………………………………………………113

    참고문헌…………………………………………………………………………… 116

    ABSTRACT…………………………………………………………………………117

  • 지방직 공무원 제주 언어·역사·문화 인식 제고 방안

    연구책임 : 배영환 강문종|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20

    I. 서 론… ………………………………………………………………………………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필요성 ……………………………………………………………………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2-1 연구의 내용 ……………………………………………………………………… 3 2-2 연구의 방법 ……………………………………………………………………… 5
    3. 선행 연구 현황과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 6 3-1 선행 연구 ………………………………………………………………………… 6 3-2 본 연구 …………………………………………………………………………… 6
    4.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 효과…………………………………………………… 7

    II. 제주도 공무원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요 조사… …… 8
    1. 조사 개요……………………………………………………………………………… 8
    2. 분석 결과……………………………………………………………………………… 8 2-1 전체 분석…………………………………………………………………………… 8

    Ⅲ. 제주도 공무원 준비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요 조사…………23
    1. 조사 개요………………………………………………………………………………23
    2. 분석 결과………………………………………………………………………………23 2-1 전체 분석 ………………………………………………………………………… 23

    Ⅳ. 오키나와의 역사·문화 검정 시험 제도… …………………………………36

    Ⅴ. 정책적 제언……………………………………………………………………………39

    참고문헌……………………………………………………………………………………43
    ABSTRACT………………………………………………………………………………44
    부록 1………………………………………………………………………………………45
    부록 2………………………………………………………………………………………54
  • 스마트 아일랜드 제주 구현을 위한 정책연구

    연구책임 : 변영철|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532

    1.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스마트 아일랜드 제주 주요 이슈 및 고려사항 ……………………………… 4
    1. 제주특별자치도 비전……………………………………………………………4
    2. 전기자동차 ………………………………………………………………… 5
    3. 에너지 ………………………………………………………………… 5
    4. MaaS……………………………………………………………6
    5. 안전 ………………………………………………………………… 6
    6. 쓰레기 ………………………………………………………………… 7
    7. 블록체인특구……………………………………………………………8
    8. 빅데이터 플랫 ………………………………………………………………… 9
    9. 스마트 교통 ………………………………………………………………… 10
    10. 디지털 트윈 ………………………………………………………………… 16

    Ⅲ. 지속가능한 스마트 아일랜드 제주 핵심요소 조사…………………………18
    1. 개요 ………………………………………………………… 18
    2. 첫번째 팀 토론 내용 …………… 21
    3. 두번쨰 팀 토론 내용 …………24
    3. 세번쨰 팀 토론 내용 …………28

    Ⅳ. 스마트 아일랜드 제주 실행전략………………………………………33
    1. 실행전략 프레임워크 설계……………………………………………… 33
    2. AHP 분석모델 설계 …………………………………………………………36
    3. AHP 분석방법 및 결과 ………………………………………………………38
    4. AHP 분석결과에 따른 추진 전략 및 추진과제 제안 ………………………42
    5. 설문지………………………………………………………46

    Ⅴ.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 58
  • 제주형 경관농업직물제 도입 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522

    Ⅰ. 서 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 2

    Ⅱ. 직불제 추진 현황과 개편 방향 ……………………………… 3
    1. 직불제 추진 현황 ………………………………………………………………3
    2. 2019년 직불제 개편 방향 ……………………………………………………6
    3. 국내ㆍ외 직불제 추진 사례 …………………………………………………9 3-1. EU 직불제 ………………………………………………………………………… 9
    3-2. 스위스 직불제 …………………………………………………………………… 11
    3-3. 충청남도 농업생태환경프로그램 ………………………………………………19
    4. 시사점 ……………………………………………………………………… 22

    Ⅲ. 월동채소 생산조정 필요성 ……………………………………23
    1. 월동채소 개념과 시장 특성 ……………………………………………… 23
    2. 제주산 월동채소 수급 현황 ……………………………………………… 24 2-1. 제주산 채소류 재배면적 및 생산량 ……………………………………………24
    2-2. 주요 품목별 수급 현황 …………………………………………………………26

    Ⅳ. 제주 직불제 추진 실태 ……………………………………… 36
    1. 제주 직불제 추진 개요 …………………………………………………… 36
    2. 월동채소생산조정직불제 추진 실태 …………………………………… 40
    2-1. 월동채소생산조정직불제 개요 ……………………………………………… 40
    2-2. 월동채소생산조정직불제 추진 실태 ……………………………………………41
    3. 경관직불제 추진 실태 …………………………………………………… 45
    3-1. 경관직불제 개요 …………………………………………………………………45
    3-2. 경관직불제 대상 농가 설문조사 결과 …………………………………………48

    Ⅴ. 제주형 경관직불제 도입 방안 ……………………………… 56
    1. 제주형 경관직불제 설계 방향 …………………………………………… 56
    1-1. 생산조정형 경관직불제 설계 방향 ………………………………………………57
    1-2. 경관생태농업직불제 설계 방향 …………………………………………………57
    2. 제주형 경관직불제 세부사업 내용 ……………………………………… 58
    2-1. 생산조정형 경관직불제 …………………………………………………………58
    2-2. 경관생태농업직불제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4
  • 제주특별자치도 동물복지 축산농장 확대 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19-11-15 |조회수 : 440

    I.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2. 기존연구와 차별성………………………………………………………………… …2
    3. 연구내용… ………………………………………………………………………… …4

    II. 동물복지 축산정책 개요………………………………………………………… …5
    1. 동물복지 축산 관련 법령… ……………………………………………………… …5
    2. 동물복지 축산 관련 계획………………………………………………………… …6

    III.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현황… …………………………………………… 12
    1.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개요… ………………………………………………… 12
    2.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현황…………………………………………………… 14
    3. 동물복지 축산농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 18

    IV. 제주 동물복지 축산농장 도입 의향 조사……………………………… 22
    1. 양돈농가 조사 결과… …………………………………………………………… 22
    2. 산란계 농가 조사 결과…………………………………………………………… 33

    Ⅴ. 제주 동물복지 축산농장 확대 정책제언… …………………………… 38
    1. 동물복지 축산정책 접근방식……………………………………………………… 38
    2. 생산단계 정책……………………………………………………………………… 40
    3. 유통단계 정책……………………………………………………………………… 43

    참고문헌… ……………………………………………………………………………… 45

    붙임자료… ……………………………………………………………………………… 46
    1. [붙임1] 설문지……………………………………………………………………… 46
    2. [붙임2] 축종별 동물복지 인증 기준… ………………………………………… 52
    3. [붙임3] 동물복지 정책 해외 사례… …………………………………………… 61
    Abstract… ………………………………………………………………………………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