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특별자치도 건물 옥상 녹화 조성 방안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07-31 |조회수 : 5408

    - 목 차 -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의 범위 4
    3. 연구의 방법 5
    4. 연구수행 흐름도 6

    Ⅱ. 연구의 이론적 고찰 7

    1. 선행연구 동향 7
    2. 옥상녹화의 정의 및 고찰 11
    1) 옥상녹화의 정의 11
    2) 옥상공간의 환경특성 12
    3) 옥상녹화의 필요성 및 효과 14
    4) 옥상녹화의 종류 21
    5) 시사점 28

    Ⅲ. 옥상녹화 관련 제도 및 지원현황 29

    1. 옥상녹화 관련 제도 29
    1) 관련법 29
    (1) 국토해양부고시(제2009-35호 조경기준) 31
    2) 생태면적률 관련 지침 32
    3) 생태면적률 관련 지침(제주특별자치도 도시계획조례) 34
    4)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37
    5) 지구단위계획 지침(녹화관련 인센티브) 38
    6) 지자체 관련 조례 39
    2. 옥상녹화 관련 지원현황 45
    1) 옥상공원화 지원사업(서울특별시) 45
    2) 옥상이 아름다운 건축물(울산광역시) 47
    3. 옥상녹화공법 50
    1) 모듈형(Module System) 옥상녹화시스템 50
    2)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 50
    3) 세덤 옥상녹화시스템 51
    4) 옥상녹화의 방수대책 51
    5) 방근대책 52
    6) 배수대책 53
    7) 바람대책 54

    Ⅳ. 옥상녹화 사례조사 55

    1. 국내사례조사 55
    1) 옥상이 아름다운 건축물(울산) 55
    2) 옥상녹화 국내사례(서울) 60
    3) 옥상녹화 국내사례(제주시) 64
    2. 국외 사례 조례 70
    1) 녹색지붕 관련 사업 70
    Ⅴ. 건물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74

    1. 시범지역 선정 및 현황 74
    1) 시범 대상지 현황 74
    2) 대상지의 소음과 대기오염 75
    3) 대상지 조망 76
    4) 이용자 형태분석 78
    5) 옥상공간 현황분석 79
    6) 설계대상 옥상녹화 대상지 선정 80
    2. 시범지역의 옥상녹화 구상 81
    1) 디자인개념의 설정 81
    2) 식재 계획 82
    3) 시설물 계획 84
    4) 시공순서 85
    5) 녹화시스템 86
    3. 시범지역 옥상녹화 적용사례 87
    1) 서귀포시 제1청사 옥상녹화 계획(안) 87
    (1) 위치도 및 종합계획도(master plan) 87
    (2) 평면도(4th floor plan) 88
    (3) 서귀포시청 옥상녹화 적용 조감도(안) 88
    2) 단독주택 옥상녹화 계획(안) 91
    (1) 위치도 및 종합계획도(master plan) 91
    (2) roof floor plan 92
    (3) 조감도 92
    3) 중앙로변 건축물의 옥상녹화 93

    Ⅵ. 결론 98

    1. 옥상녹화 문제점 98
    2.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99
    3. 기대효과 102
  • ITOP(섬관광정책) 포럼 발전방향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07-31 |조회수 : 615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방법 2
    4. 연구 구성 2

    Ⅱ. 이론 연구 3
    1. 관광협력의 개념 3
    2. 관광협력의 필요성 4
    3. 관광협력의 유형 및 범위 6
    4. 관광협력의 성공요건 8
    5. 관광협력의 주체 10
    6. 관광협력의 한계 12

    Ⅲ. 국제교류협력 실태 및 현황 14
    1. 한국 지자체의 국제교류협력 14
    가. 국제교류협력 연혁 14
    나. 대상국가별 국제교류 특성 15
    다. 교류영역별 국제교류 특성 19
    라. 광역자치단체별 국제교류 특성 20
    마. 지방정부 국제교류 평가 22
    2. 제주특별자치도의 국제교류협력 26
    가. 제도적 근거 26
    나. 조직 및 인력 27
    다. 교류 현황 28

    Ⅳ. 관광협력 사례연구 31
    1. 공공부문의 협력사례 31
    가. 아세안 국가 관광장관 회의 31
    나. 중국-싱가포르 관광협력 31
    다. 한․일해협 연안 광역관광 교류협의회 32
    라. 섬관광정책포럼 35
    2. 민간부문의 협력사례 36
    가.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 36
    나. 세계여행관광위원회(WTTC) 38
    3. 국외 지자체의 국제교류협력 39
    4. 시사점 44

    Ⅴ. 정책 제언 45
    1. 기본 방향 45
    2. 섬관광정책포럼 활성화 방안 47
    3. 기타 제언 55

    □ 참고문헌 61
    □ 부록 63
    1. 제주의 국제교류 현황 65
    2. 제주의 ITOP 포럼 발표자료 74
  • 제주지역의 안정적 녹색 성장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책임 : 김현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09-07-31 |조회수 : 2268

    목 차

    제Ⅰ장 서 론 1


    제Ⅱ장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의 개념 4
    1. 자원과 환경과의 관계 4
    1.1 자원, 환경 그리고 경제 4
    1.2 물질균형접근(Material Balance Approach) 5
    1.3 자원 고갈 가속화와 환경오염 악화 요인 6
    2.지속가능발전(ESSD: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8
    2.1 성장과 환경 8
    2.2 지속가능발전의 태동 10
    2.3 세계의 환경문제와 국제적 합의 11
    2.4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13
    2.5 SD를 실천하기 위한 4가지 원칙 16
    3. 녹색성장 (Green Growth) 19
    3.1 녹색성장의 기원 및 개념 19
    3.2 녹색성장과 관련한 주요 주변개념 20
    3.3 녹색성장의 제1, 제2개념 20
    3.4 녹색성장의 핵심적 고려 사항 21


    제Ⅲ장 중앙정부의 가이드라인과 국내 지자체 사례조사 23
    1. 중앙정부의 가이드라인 23
    1.1 중앙정부의 녹색성장 추진체계 23
    1.2 중앙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 및 3대 전략 26
    2. 제주지역 이외의 지자체 현황분석 및 특징 33
    2.1 자료의 제약 및 분류 33
    2.2 인천광역시의 녹색성장 34
    2.3 울산광역시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53
    2.4 창원시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57
    2.5 수원시의 녹색성장 61


    제Ⅳ장 해외의 모범적 녹색성장 추진사례 현황 65
    1. 영국 65
    1.1 레스터 시(Leicester) 66
    1.2 뉴캐슬 시(New Castle) 66
    1.3 런던 시(London) 67
    1.4 스코틀랜드 애든버러(Edinburgh) 68
    1.5 워킹 시(Woking) 69
    2. 독일 69
    2.1 프라이부르크 시(Freiburg) 70
    2.2 베를린 시(Berlin) 70
    3. 스웨덴 72
    3.1 예테보리(Goteborg) 72
    3.2 벡시외(Vaxjo) 73
    3.3 스톡홀름(Stockholm) 75
    4. 네덜란드 77
    4.1 암스테르담 시(Amsterdam) 77
    4.2 헤이그 시(Hague) 78
    5. 미국 79
    5.1 새크라멘토 시(Sacramento) 80
    5.2 덴버 시(Denver) 81
    5.3 포틀랜드(Portland) 82
    6. 호주 82
    6.1 브리스배인 시(Brisbane) 82
    6.2 보룬다라 시(Boroondara) 83
    7. 프랑스 파리 83
    8. 일본 도쿄 85
    9. 시사점 86
    9.1 해외사례로부터의 시사점 86

    제V장 제주특별자치도 정책현황 및 정책제언 88
    1. 제주특별자치도의 여건 88
    2. 정책현황 90
    2.1 탄소흡수원 확충사업 분야 91
    2.2 신ㆍ재생 에너지 산업 분야 93
    2.3 관광․문화․교통 분야 96
    2.4 신성장 동력 산업 분야 98
    2.5 삶의 질 향상 분야 103
    3. 정책진단 105
    3.1 녹색성장 계획 추진의 타당성 105
    3.2 정책진단 106
    3.3 추진 정책 제언 109
  • (가칭)제주종합문화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책임 : 문순덕|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09-07-23 |조회수 : 531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 3

    Ⅱ. 연구 방법 4
    1. 조사 대상 4
    2. 조사 기간 4
    3. 조사 도구 5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7

    Ⅲ. 결과 분석 8
    1. 조사대상에 대한 분석 8
    2. (가칭)제주종합문화센터와 유사한 전국 기관의 운영 실태 조사 11
    3. (가칭)제주종합문화센터에 대한 도민의 요구도 조사 결과 36
    4. (가칭)제주종합문화센터 운영 관련 심층면담 결과 56

    Ⅳ. 요약 및 제언 73
    1. 분석 결과의 요약 및 결론 73
    2. (가칭)제주종합문화센터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 79

    참고자료 93
    부록 1. 설문지(기관용, 도민용) 94
    부록 2. (가칭)제주종합문화센터 시설 개요 115
    부록 3. 전국 여성정책 관련 연구기관 현황 116
    부록 4. 다른 지역 기관 시설 현황 121
  • 제주지역의 만성육아종 질환자의 치료 및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03-30 |조회수 : 2683

    Ⅰ. 연구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사업의 배경 1
    1) 만성육아종질환의 개요 1
    2) 연구 사업의 배경 4

    2. 연구 사업의 목적 6

    Ⅱ. 연구 사업의 내용 및 방법 8

    1. 연구 사업의 내용 8
    1) 표본 집단 내의 만성육아종질환의 환자와 보인자의 실태 파악 8
    2) 집단유전학적 분석 방법을 통한 환자 가계와 비환자 가계에서의 만성육아종질환 보인자 비교 분석 8
    3) 제주지역 만성육아종질환의 환자와 보인자 파악을 위한 보건 정책 제언 9

    2. 연구 사업의 방법 9
    1)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9
    2) 제주지역 만성육아종질환의 특이한 유전변이 분석의 원리 10
    3) 연구 대상자의 선정 13
    4) 집단유전학적 분석 방법을 통한 비환자 가계에서의 만성육아종질환 보인자 분석 15

    Ⅲ. 연구 사업의 결과 16

    1) 표본 지역 내의 대상자 16
    2) 표본 집단 내의 만성육아종질환의 환자와 보인자의 실태 파악 17
    3) 집단유전학적 분석 방법을 통한 비환자 가계에서의 만성육아종질환 보인자 분석 18

    Ⅳ. 토론 및 제언 20

    1. 토 론 20

    2. 제언 22

    참고 문헌 25
  • 고령자 건강생활을 위한 생활체력, 신체구성 특성 및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02-28 |조회수 : 5047

    목 차

    제1장 연구 개요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제2장 연구 방법 5
    1. 연구대상 5
    2. 측정항목 및 방법 5
    1) 형태 측정 6
    2) 생활체력 측정 6
    3) 신체구성 측정 7
    3. 자료처리 8

    제3장 연구결과 및 해석 9
    1. 형태 9
    1) 체중 9
    2) 가슴둘레 9
    2. 생활체력 11
    1) 악력(좌) 11
    2) 악력(우) 11
    3) 배근력 12
    4) 상완굴신력(좌) 13
    5) 상완굴신력(우) 13
    6)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14
    7)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14
    8) 10m 걷기 15
    9) 누운 자세서 일어서기 16
    10) 눈감고 외발서기 비교 16
    11) 눈뜨고 외발서기 17
    3. 신체구성 18
    1) 제지방량 18
    2) 근육량 18
    3) 체지방율 19
    4) 복부지방율(WHR) 20
    5) 체질량지수(BMI) 20
    4. 형태, 생활체력, 신체구성 항목간의 상관분석 21
    1) 형태, 생활체력, 신체구성 항목간의 상관관계 21
    2) 일상생활집단 형태, 생활체력, 신체구성 항목간의 상관관계 24
    3) 게이트볼집단 형태, 생활체력, 신체구성 항목간의 상관관계 26
    5. 생활체력, 신체구성의 회귀분석 31
    1) 눈뜨고 외발서기 항목의 회귀분석 31
    2) 체지방율 항목의 회귀분석 31
    6. 게이트볼집단 생활체력, 신체구성의 회귀분석 32
    1) 게이트볼집단 상완굴신력(좌) 항목의 회귀분석 32
    2) 게이트볼집단 상완굴신력(우) 항목의 회귀분석 33
    3) 게이트볼집단 10m 걷기 항목의 회귀분석 33
    4) 게이트볼집단 누운 자세서 일어서기 항목의 회귀분석 34
    5) 게이트볼집단 눈감고 외발서기 항목의 회귀분석 35
    6) 게이트볼집단 눈뜨고 외발서기 항목의 회귀분석 35
    7. 생활체력, 신체구성의 요인분석 36
    8. 생활체력, 신체구성의 추출요인과 생활체력, 신체구성 항목의 회귀분석 38
    1) 일상생활집단의 요인추정 38
    2) 게이트볼집단의 요인추정 41
    9. 생활체력, 신체구성의 추출인자와 생활체력, 신체구성 항목의 상관 43
    1) 제1요인과 항목의 상관 43
    2) 제2요인과 항목의 상관 43
    3) 제3요인과 항목의 상관 44
    4) 제4요인과 항목의 상관 44
    10. 생활체력의 평가기준 45
    1)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악력(좌)의 평가비교 46
    2)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악력(우)의 평가비교 47
    3)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배근력의 평가비교 48
    4)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상완굴신력(좌)의 평가비교 49
    5)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상완굴신력(우)의 평가비교 50
    6)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평가비교 51
    7)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의 평가비교 52
    8)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10m 걷기의 평가비교 53
    9)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누운자세서 일어서기의 평가비교 54
    10)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눈감고 외발서기의 평가비교 55
    11)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눈뜨고 외발서기의 평가비교 56
    11. 신체구성의 평가 비교 57
    1)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체지방율의 평가비교 57
    2) 일상생활집단과 게이트볼집단의 복부지방율(WHR)의 평가비교 58

    제4장 요약 및 정책적 제언 59
    1. 요약 59
    2. 정책적 제언 61

    참고 문헌 65
  • IT관련 기업 제주투자유치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태윤|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09-02-28 |조회수 : 5818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연구의 방법 3


    Ⅱ. 제주특별자치도의 IT 관련 기업 투자환경 분석 4

    1. IT 기업체 현황 분석 4
    가. 국내 IT 산업 현황 4
    나. 제주 IT 산업 현황 6

    2. IT 관련 인적자원 현황 분석 7
    가. 도내 IT 인력 현황 7
    나. 제주도내 대학 IT 인력 수급 현황 8

    3.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업 투자 인센티브 11
    가. 제주특별자치도 투자유치촉진조례에 의한 지원 11
    나.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한 지원 15
    다. 지방이전기업 재정자금 지원기준 개정 내용 17
    Ⅲ. 국내·외 IT기업 유치 사례 분석 20

    1. 국내 사례 20
    가. 경기도 파주시 LG 디스플레이 20
    나. 충북 하이닉스 청주공장 22
    다. 춘전 NHN서비스(주) 이전 24
    라. 광주 LED 밸리 조성 27

    2. 해외 사례 29
    가. 미국 오스틴(Austin) 29
    나. 미국 뉴욕 실리콘앨리(Silicon Alley) 31
    다. 스웨덴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Kista Science Park) 31
    라. 핀란드 오울루 테크노폴리스(Oulu Technopolis) 33
    마. 프랑스 소피아앙띠폴리스 34
    바 시사점 36


    Ⅳ. IT기업 제주투자유치를 위한 설문 분석 37

    1. 회사 현황 일반사항 38

    2. 기업이전 일반사항 분석 41

    3. 기업이전을 위한 환경요인 중요도 분석 60
    가. 기업이전을 위한 환경요인 중요도 항목 분석 60
    나. 기업이전을 위한 환경요인 중요도 순차 분석 73
    4. 기업이전을 위한 정책요인 중요도 분석 74
    가. 기업이전을 위한 정책요인 중요도 항목 분석 74
    나. 기업이전을 위한 정책요인 중요도 순차 분석 82

    5. 산학연 및 기업지원 관련 분석 84


    Ⅴ. 기업유치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01

    1. 환경요인 101
    가. 기술인력의 확보 101
    나. 자녀교육을 위한 교육․생활환경 102
    다. 산업단지 인프라 103

    2. 정책요인 103
    가. 자금지원 104
    나. 경영지원 104
    다. 기업유치 행정 105

    3.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 106


    Ⅵ. 결 론 108

    <부 록> IT기업 제주투자유치를 위한 설문지 111
  • 제주지역 평생학습 유관기관 현황조사 및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연구책임 : 현승환|구분 : 인적자원

    발행일 : 2009-02-27 |조회수 : 2133

    제주지역 평생학습 유관기관 현황조사 및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 제주지역 외국인 유학생 실태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석준|구분 : 인적자원

    발행일 : 2009-02-27 |조회수 : 1813

  • 제주지역 평생학습 인지도 및 욕구조사 결과 보고서

    연구책임 : 제주RHRHD센터|구분 : 인적자원

    발행일 : 2009-02-27 |조회수 : 1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