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 뉴 프론티어 실현을 위한 제주형 뉴딜 추진 전략 연구

    연구책임 : 강창민 · 김홍진|구분 : 미래기획연구

    발행일 : 2021-12-31 |조회수 : 592

    목 차 CONTENTS

    I.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II. 제주 뉴 프론티어의 3대 위협 6
    1. 전염병 확산(코로나-19) 6
    2. 쓰레기 증가 13
    3. 기후 변화의 가속화 19

    III. 제주 뉴 프론티어의 이슈 22
    1. 제주 자원순환사회 조성 22
    2. 제주형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27
    3. Clean, Safe, Smart 제주미래도시 전략 38
    4. 제주형 전력거래자유화 추진 43
    5. 제주 수소밸리 도입 48

    IV. 뉴 프론티어 위기극복을 위한 제주형 뉴딜 제언 55
    1. COVID-19와 제주 방역의 미래 55
    2. 쓰레기 위기와 쓰레기 걱정 없는 제주 62
    3.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 제주 72

    V. 결론 및 시사점 75
    참고문헌 77
    Abstract 79
  • 청정제주를 위한 자원순환사회 구축 추진 방안

    연구책임 : 강진영|구분 : 미래기획연구

    발행일 : 2021-12-31 |조회수 : 549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제주지역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설 현황 4
    1. 제주지역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4
    2. 제주지역 선별 및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7
    3. 제주지역 생활폐기물 소각 및 매립시설 현황 9

    Ⅲ. 제주지역 생활폐기물 관리 추진 전략 11
    1. 생활폐기물 여건 변화와 성과 11
    2. 추진전략 13

    Ⅳ. 핵심 및 세부과제 14
    1. 폐기물 발생 억제[탈플라시틱] 14
    2. 자원순환 인프라 확충 23
    3. 탄소중립 재활용 산업 육성 31
    4. 도민과 함께 자원순환 제주 실현 39

    Ⅴ. 예산 및 추진 체계 50
    1. 소요 예산 50
    2. 과제별 추진 체계 51
  • 제주도 스마트 도시재생 기술과 적용방안 연구

    연구책임 : 엄상근|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30 |조회수 : 536

    목 차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3. 선행연구 4

    Ⅱ. 스마트 도시재생 정책 6
    1. 스마트도시 6
    2. 도시재생 9
    3. 스마트 도시정책 20
    4. 스마트 도시재생기술 적용 사례 27

    Ⅲ. 제주 스마트 도시재생 기술 도출 36
    1. 도출 방법 36
    2. 제주도민 현안문제 수요 37
    3. 스마트 도시재생 기술 검토 41
    4. 제주도 적용가능 스마트 기술 44

    Ⅳ. 제주 스마트 기술 적용 방안 47
    1. 기본방향 47
    2. 정책 제언 49

    부록: 스마트기술 요소(국토교통부, 2020) 50
    참고문헌 52
    인터넷 사이트 52
    ABSTRACT 53
  • 빅데이터 기반 지역 공공서비스 성공사례와 제주 활용방안

    연구책임 : 강영준|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1326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개요 1

    Ⅱ. 빅데이터 정책 동향 4
    1. 해외 주요국 빅데이터 정책 동향 4
    2. 한국의 빅데이터 정책 동향 6
    3. 지자체의 빅데이터 정책 동향 11
    4. 제주특별자치도의 빅데이터 정책 동향 18

    Ⅲ. 빅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 추진 사례 20
    1. 해외 주요국 빅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 추진 사례 20
    2. 한국의 빅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 추진 사례 25
    3. 지자체의 빅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 추진 사례 51
    4. 제주특별자치도의 빅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 추진 사례 60

    Ⅳ. 제주 빅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 추진사업(안) 67
    1. 사업(안) 개요 67
    2. 세부 사업내용 69

    Ⅴ. 결론 및 정책제언 81
    1. 결론 81
    2. 정책제언 83

    참고문헌 85
    Abstract 90
  • 제주지역 R&D활성화를 위한 지원 기반 구축 방안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539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
    3. 선행연구 및 본연구와의 차별성 3
    4. 기대효과 4

    Ⅱ. 국내외 R&D 정책 동향 및 분석 5
    1. R&D정책 개요 5
    2. 해외 R&D 정책 동향 6
    3. 우리나라 R&D 육성 전략 7
    4.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추이 12

    Ⅲ. 제주지역 R&D 현황 및 분석 16
    1. 제주지역 R&D 현황 16
    2. 제주 R&D 환경 분석 25

    Ⅳ. R&D 전담조직 육성기반 사례 38
    1. 공공 R&D 전담기관 38
    2. 타시도 R&D 전담기관 사례 분석 39

    Ⅴ. 제주지역 R&D 지원기반 구축 방안 52
    1. 제주지역 R&D 지원기반 구축 필요성 52
    2. 제주지역 R&D 컨트롤타워 구축 방안 55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56
    1. 결론 56
    2. 정책적 제언 57

    참고문헌 62

    Abstract 64

    부록 65
  •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제도 운영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연구책임 : 현혜경|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605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1
    1-1 인권영향평가 개념 및 필요성 / 1
    1-2 인권영향평가 법적 근거 / 8
    1-3 인권영향평가 기대효과 및 한계 / 13
    2. 연구 목적 14
    3. 연구 방법 및 분석틀 14
    4. 연구 범위 15

    Ⅱ. 국내・외 인권영향평가 제도 운영 16
    1. 실증적 인권 분석 16
    1-1 인권지수, 인권지표, 인권영향평가 / 16
    1-2 국내・외 실증적 인권 분석 / 17
    2. 국외 인권영향평가 제도 운영 현황 20
    2-1 인권영향평가 및 관리에 관한 지침(HRIAM) / 20
    2-2 덴마크인권연구소 [인권영향평가 안내서 및 진단도구] / 21
    2-3 스코틀랜드 평등․인권영향평가 등 / 21
    3. 국내 인권영향평가 제도 운영 현황 23
    3-1 국내 인권영향평가 일반 현황 / 23
    3-2 서울특별시 인권영향평가 제도(2019) / 24
    3-3 충청남도 인권영향평가 제도(2019) / 29
    3-4 경기도 인권영향평가 제도(2020) / 34

    Ⅲ.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제도 운영 방안 39
    1.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제도 운영 시작 39
    2.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제도 의미와 방향 42
    3.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제도 절차와 방법 43
    4.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지표 작성 기본원칙 45
    4-1 인권영향평가 지표 도출 과정 / 45
    4-2 인권영향평가 지표 작성 기본 원칙 / 46
    4-3 인권영향평가 지표 작성 관련 쟁점 / 46
    4-4 인권영향평가 절차 시 고려할 점 / 47

    Ⅳ.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지표 : 자치법규 영역 49
    1. 자치법규 인권영향평가 개요 49
    2. 자치법규 인권영향평가 운영 절차 50
    3. 자치법규 인권영향평가 구성 및 지표 51
    4. 자치법규 사후 인권영향평가 조사(2021) 52
    5. 자치법규 인권영향평가 운영 방안 및 제언 57

    Ⅴ.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 정책・사업(시책) 영역 64
    1. 정책・사업 인권영향평가 개요 64
    2. 정책・사업 인권영향평가 운영 절차 65
    3. 정책・사업 인권영향평가 구성 및 지표 66
    4. 정책・사업 인권영향평가 운영 방안 및 제언 69

    Ⅵ.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제도화를 위한 제언 70
    1.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운영 추진체계 정비 70
    1-1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의 흐름 및 지표 구성 방향 / 70
    1-2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근거 규범(조례, 규칙)의 정비 / 71
    1-3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운영 체계의 설치와 마련 / 72
    1-4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관련 비공식적 제도들에 대한 연구 / 73
    2. 지역특성을 반영한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지표 구성 74
    2-1 아래로부터의 인권영향평가 / 74
    2-2 지역특성을 반영한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구성 / 74
    2-3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조례 제정 / 74
    3.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단계별 추진 계획안 75
    3-1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단계별 추진 / 75
    3-2 제주특별자치도 인권영향평가 표준평가지표 개발 / 76
    3-3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방안 /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1
  • 제주지역 승용차 보유 및 이용 저감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손상훈|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516

    목 차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Ⅱ. 제주지역 승용차 보유 및 이용 현황과 추이 7
    1. 제주지역 자동차 등록 현황 7
    2. 제주지역 승용차 보유 현황과 추이 9
    3. 제주지역 승용차 이용 현황과 추이 10
    4. 타지역 승용차 보유 및 이용 현황과 비고 15

    Ⅲ. 승용차 보유 및 이용 전환 의향 설문 조사 36
    1. 설문조사 개요 36
    2. 분석 결과 41
    3. 요약 및 시사점 61

    Ⅳ. 승용차 보유 및 이용 전환 의향 설문 조사 36
    1. 설문조사 개요 36
    2. 분석 결과 41
    3. 요약 및 시사점 61

    Ⅴ. 제주지역 승용차 보유 및 이용 저감 방안 63
    1. 도시교통수단별 정책 63
    2. 기존 교통정책 65
    3. 신규 교통정책 69

    Ⅵ. 결론 및 정책제언 77
    1. 연구 요약 77
    2. 향후 연구 80
    3. 정책 제언 81

    참고문헌 82
    Abstract 84
    부록 85
  • 제주지역 주요 재배작물에 따른 농업용수 이용 특성 연구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431

    목 차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 제주도 재배작물 및 농업용수 개발·이용 현황 5
    1. 제주도 재배작물 현황 5
    2. 농업용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9

    III. 지하수 이용량 원격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농업용수 이용 특성 분석 17
    1. 지하수 이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현황 17
    2. 연구대상 지하수 관정 선정 20
    3. 월별 지하수 이용 경향성 분석 30
    4. 기후 특성과 농업용수 이용량간의 관계 분석 35
    5. 주요 작물의 농업용수 이용 특성 분석 42
    6. 남부지역 감귤(온주밀감 및 만감) 재배에 따른 필요수량 산정 59
    7. 시사점 62

    IV. 정책제언 64
    1. 지하수 이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체계적 관리 64
    2. 공공 지하수 관정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확대 65
    3. 시설하우스 설치 시 빗물 이용 의무화 65
    4. 공공 대규모 빗물이용시설 설치를 통한 빗물 이용 활성화 66
    5. 스마트 팜을 연계한 농업용수 적정량 이용 67
    6. 농업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효율적 농업용수 관리 방안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0
    부록 1. 75농가의 월별 지하수 이용량 및 이용 횟수 그래프 73
    부록 2. 75농가의 월별 이용량 비율 87
  • 제주지역 캠핑관광 발전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신동일|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560

    목 차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 캠핑관광 문헌 연구 4
    1. 캠핑관광의 개념 4
    2. 캠핑관광의 종류 5
    3. 캠핑장의 유형 8
    4. 선행연구 검토 9

    III. 전국 캠핑장 및 제주지역 현황 10
    1. 전국의 등록 캠핑장 10
    2. 제주지역 공립(공영) 캠핑장 13
    3. 제주지역 사설 캠핑장 24

    IV. 제주지역 캠핑관광 발전 방안 48
    1. 기본 방향 48
    2. 캠핑관광 발전 방안 50

    V.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Abstract 62
  • 도시계획시설 일몰에 따른 대응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27

    목 차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3-1. 연구의 범위 3
    3-2. 연구 수행 방법 3

    II. 이론적 고찰 5
    1. 관련 계획상의 주택 관련 지표 5
    1-1. 상위 및 관련 계획 검토 5
    2. 관련 계획 및 연구 검토 14
    2-1. 관련 계획 검토 14
    2-2. 난개발 관리방안 선행연구 20
    2-3. 관련 기준 및 관련 계획 검토 22

    III. 현황 및 여건 진단 25
    1. 서귀포시 일반 현황 25
    1-1. 도시계획 연혁 25
    1-2. 자연환경 27
    1-3. 인문환경 40

    IV. 국내외 유사 사례 분석 및 시사점 46
    1. 미집행 원인 46
    2. 관련 국내사례 분석 46
    3. 미집행도로 관련 서귀포시 주요 내용 48
    3-1. 서귀포시 동지역 ① 48
    3-2. 서귀포시 동지역 ② 49
    3-3. 서귀포시 동지역 ③ 50
    3-4. 서귀포시 면지역 ① 50
    3-5. 서귀포시 면지역 ② 51
    3-6. 서귀포시 읍지역 ① 52
    3-7. 서귀포시 읍지역 ② 52
    4. 시사점 53

    V. 기본방향 및 방안 54
    1. 장기미집행 해제시설 관리 방안 54
    1-1. 국토교통부 해제 가이드라인에 따른 관리 방안 54
    1-2. 일몰 도로에 대한 관리 방안 54
    2. 기반시설(도로, 상하수도) 공간 확보 방안 55
    2-1. 현황 및 문제점 55
    2-2. 개선 방안 55
    3.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관리 56
    3-1. 현황 및 문제점 56
    3-2. 개선방안 56
    4. 개발행위허가 관련 제도 개선 57
    4-1. 현황 및 문제점 57
    4-2. 개선 방안 58
    5. 성장관리 방안의 지정을 통한 개발수요 관리 58
    5-1. 현황 및 문제점 58
    5-2. 개선 방안 59
    6. 매수청구 토지 개선 방안 60
    6-1. 현황 및 문제점 60
    6-2. 개선 방안 61
    7. 도로개발 사업에 민간 참여 추진 61
    7-1. 현황 및 문제점 61
    7-2. 개선 방안 61
    8. 시범사업 제안 62
    8-1. 시범사업 제안 A 62
    8-2. 시범사업 제안 B 65

    VI. 결 론 68
    1. 요 약 68
    2. 제 언 72

    참고문헌 73
    Abstract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