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2030세대의 기후에너지 환경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장병일|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21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문헌연구 3
    1. 기후 · 환경분야 시민참여 3
    2. 청년 기후· 환경 운동 형태 7

    Ⅲ. 사례조사: 新 기후 · 환경 운동 9
    1. 新 기후 · 환경 운동 부상 추이 9
    2. 新 기후 · 환경 운동의 영향 12

    Ⅳ. 설문조사: 2030세대의 기후환경 효능감 14
    1. 설문조사 계획 14
    2. 설문조사 결과 17

    Ⅴ. 결론 22
    1. 결론 및 시사점 22

    참고문헌 25
    Abstract 28
  • 제주 지역 거주 노인의 안전사고 예방 관리 방안

    연구책임 : 송효정|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32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2
    2-1 자료표본 2
    2-2 자료분석 3

    Ⅱ. 본론 4

    1. 제주지역 노인의 특성과 낙상 발생요인: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중심으로 4
    1-1 노인의 일반적 특성 4
    1-2 노인의 삶의 질 특성 8
    1-3 노인의 사회 물리적 환경 특성 8
    1-4 노인의 사고 및 중독과 낙상, 낙상 두려움 정도 9
    1-5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 발생 10
    1-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따른 낙상 발생 13
    1-7 노인의 낙상 발생 위험요인 14

    2. 제주 지역 여성 노인의 특성과 낙상 발생요인: 201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중심으로 15
    2-1 여성 노인의 일반적 특성 15
    2-2 여성 노인의 낙상 빈도, 낙상 장소 특성 16
    2-3 여성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질환에 따른 낙상 경험 18
    2-4 여성 노인의 낙상 경험에 따른 삶의 질 점수 18

    3. 제주지역 남성 노인의 특성과 낙상 발생요인: 201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중심으로 19
    3-1 남성 노인의 일반적 특성 19
    3-2 남성 노인의 하부요로증상 19
    3-3 남성 노인의 낙상 빈도와 낙상 장소 21
    3-4 남성 노인의 낙상 경험에 따른 체질량 지수 차이 22
    3-5 남성 노인의 낙상 경험에 따른 삶의 질 차이 23
    3-6 남성 노인의 낙상 경험에 따른 하부요로증상 차이 23

    4. 낙상 사고 위험요인 25
    4-1 경로당 및 해녀 노인의 낙상 경험 및 위험요인 면담 내용 25
    4-2 낙상 발생 내적 위험요인 26
    4-3 낙상 발생 외적 위험 요인 27

    5. 낙상 및 안전사고 예방 대책 28
    5-1 운동 28
    5-2 환경 개선 28
    5-3 시력 평가 및 중재 29
    5-4 기립성 저혈압 예방과 관리 29
    5-5 근감소증 예방과 적절한 영양 섭취 29
    5-6 지역사회 노인 안전관리 의식 고취 및 안전도시, 동네 조성 30
    5-7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배뇨관리 35

    Ⅲ. 결 론 37
    1. 연구 요약 37
    2. 관리 방안 38

    참고문헌 40
    Abstract 41
  • 제주 수소 밸리 조성 기본구상 및 실천전략 연구

    연구책임 : 김태완 · 이용재|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28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2
    2. 연구의 추진방법 3
    3. 선행연구 현황과 차별성 5
    4. 연구에 사용된 용어정리 6

    Ⅱ. 기후변화와 저탄소 사회 9
    1. 개요 9
    2. 보고서의 주요내용 9
    2-1 기후변화 현황 / 9
    2-2 기후변화 미래 예측 / 11
    2-3 위기 평가 및 지역별 대응을 위한 기후정보 / 12
    2-4 기후변화 위기 억제 / 13
    3. 기후변화 대응전략 14
    4.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추진현황 15
    4-1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 16
    4-2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 17
    4-3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 18
    4-4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 19
    4-5 '탄소중립기본법' 제정 / 20
    5.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2
    5-1 시나리오의 주요내용 / 22
    5-2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 23

    Ⅲ. 탈탄소화와 에너지전환 25
    1. 개요 25
    2.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로드맵 26
    3. 국제에너지기구의 권고사항 28
    3-1 청정 에너지 / 28
    3-2 에너지 기금 / 28
    3-3 일자리 창출 / 29
    3-4 부문별 이정표 작성 / 29
    3-5 에너지 투자 / 29
    3-6 에너지 안보 / 30
    3-7 국제 협력 / 30
    4. 탈탄소화 관련 기술혁신 31
    4-1 재생 에너지 생산 / 31
    4-2 수소 및 수소 기반 연료 사용 / 32
    4-3 바이오 에너지 사용 / 34
    4-4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CCUS) / 35
    4-5 에너지 효율 / 37
    4-6 전전화 / 38
    4-7 행태 변화 / 39

    Ⅳ. 제주특별자치도 신재생발전과 출력제한 41
    1.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41
    1-1 정부의 전력 기본방향 / 41
    1-2 주요 내용 / 42
    2.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2020~2025) 45
    2-1 비전 / 45
    2-2 정책목표 / 45
    2-3 주요사업 / 48
    3. 지역에너지의 현안문제 49
    3-1 최대운전가능량 문제 / 49
    3-2 신재생 에너지 보급과 지원한계 / 52
    3-3 에너지 공급의 안정화 문제 / 53
    3-4 재생 에너지와 사회적 수용문제 / 53
    4. 제주도의 신재생발전과 출력제한 56
    4-1 신재생 에너지 발전현황 / 56
    4-2 신재생에너지 대책 / 61
    4-3 섹터 커플링 / 65
    4-4 전전화의 과제 / 68
    5. 소결론 70

    Ⅴ. 그린 수소의 산업화 73
    1. 수소의 성질 73
    2.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76
    2-1 수소경제의 개념 / 76
    2-2 탄소경제와 수소경제의 차이 / 77
    2-3 수소경제의 기대효과 / 78
    2-4 미래 수소경제 전망 / 81
    3.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83
    3-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 83
    3-2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주요내용 / 85
    3-3 유럽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 88
    3-4 미국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 92
    3-5 일본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 97
    3-6 독일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 98
    3-7 호주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 99
    3-8 중국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 99

    Ⅵ. 제주 수소 밸리 조성 기본구상 및 실천전략 101
    1. 주요 국가의 수소 밸리 추진 동향 101
    2. 수소 밸리조성의 조성 102
    2-1 수소 밸리의 개념 / 102
    2-2 수소 밸리의 조성의 배경 / 103
    2-3 수소 밸리의 특징 / 104
    2-4 수소 밸리의 유형 / 104
    2-5 수소 밸리의 성공요인 / 106
    2-6 수소 밸리의 극복요인 / 109
    3. 제주 수소 밸리(JH2V) 조성의 기본구상 110
    3-1 JH2V의 기본 목표 / 110
    3-2 JH2V의 조성 필요성 / 111
    3-3 JH2V의 역할과 특징 / 112
    3-4 JH2V의 추진계획 / 112
    4. 실천전략의 로드맵 118
    4-1 기본전제 / 118
    4-2 주요 4개 부문 역량강화 / 119
    4-3 저탄소 수소 생산 공급 시스템 구축 / 119
    4-4 추가 수소 활용분야 지원 및 활성화 / 120

    Ⅶ.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22
    1. 결론 122
    2. 정책 시사점 123

    참고문헌 128
    Abstract 130
  • 제주애향묘지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황석규|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63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과업명 1
    2. 과업의 목적 1
    3. 과업의 범위 및 방법 3
    3-1 과업의 범위 / 3
    3-2 과업의 방법 / 4
    3-3 과업의 문제점 / 8
    3-4 과업관계자 및 구술조사 질문지 / 9
    4. 기존사례 검토 11
    4-1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 / 11
    4-2 관음사 영락원과 선운정사 / 13
    4-3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 / 14
    4-4 서울 시립묘지 납골당 / 16
    5. 제주 사회의 변화 16
    5-1 가족의 변화 / 16
    5-2 장묘문화의 변화 / 20

    Ⅱ. 제주애향묘지 연혁과 조례 개·폐정 25
    1. 제주애향묘지 연혁 25
    1-1 제주애향묘지 건설 / 25
    1-2 이북5도민 확장 / 26
    1-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애향묘지 활성화 대책 / 27
    1-4 제주애향묘지의 공설 묘지화 / 32
    1-5 제주애향묘지 이용 현황 / 33
    2. 제주애향묘지 조례 개·폐정 37
    2-1 제주애향묘지 조례 제·개정 / 37
    2-2 제주애향묘지 시행규칙 / 47
    2-3 제주특별자치도 장사 등에 관한 조례와 시행규칙 / 60

    Ⅲ. 제주애향묘지의 주민 인식 비교·분석 69
    1. 재일제주인 인식 69
    1-1 재일제주인의 애향 / 69
    1-2 제주애향묘지에 대한 인식 / 77
    1-3 제주애향묘지 참여 인식 및 활성화 / 82
    2. 제주 이북5도민 인식 86
    2-1 이북5도민의 애향 / 86
    2-2 제주애향묘지 이해 / 88
    2-3 제주애향묘지 홍보 및 전달체계 / 90
    2-4 제주애향묘지 활성화 방안 / 92
    3. 제주 고령해녀 인식 94
    3-1 제주 해녀의 애향 / 94
    3-2 제주애향묘지 참여 인식 / 96
    4. 제주 국제결혼이주여성 인식 98
    4-1 제주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애향 / 98
    4-2 제주애향묘지 참여 인식 / 102

    Ⅳ. 제주애향묘지 활성화 방안 104
    1. 제주애향묘지 설립 취지 재검토 104
    1-1 재일제주인 애향 의미 확대 / 104
    1-2 이북5도민 애향 의미 확대 / 105
    2. 제주애향묘지 안장 범위 확대 105
    2-1 재일제주인 안장 범위 확대 / 106
    2-2 이북5도민 안장 범위 확대 / 106
    2-3 제주 고령해녀 및 국제결혼이주여성 안장 범위 확대 / 107
    3. 제주애향묘지 이용방식의 변화 108
    3-1 제주애향묘지 이용방식 / 109
    3-2 장묘문화의 변화 요청 / 110
    4. 홍보와 전달체계 구축 111
    4-1 홍보 / 111
    4-1 전달체계 구축 / 111
    5. 제주애향묘지 조례 재제정 및 공원화 113
    5-1 제주애향묘지 조례 재제정 / 113
    5-2 장례 지원을 위한 제도 구성 / 114
    5-3 제주국제애향공원 / 115

    Ⅴ. 결론 및 제언 117
    1. 결론 117
    2. 정책적 제언 120
    2-1 제주애향묘지 조례 재제정 / 120
    2-2 공설공동묘지의 공원화 / 120
    2-3 제주애향묘지 명칭 개편 / 121
    2-4 향후 연구 과제 / 121


    부록: 제주애향묘지 관련 면담 조사 카드 123
    참고문헌 153
    Abstract 155
  • 언컨택트 고령화 시대 노인성 치매 예방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윤홍옥|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22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고령화 상황 및 정책 4
    1. 고령화 시대의 상황과 고령친화도시 정책 4
    2. 치매정책 9
    2-1 국내 치매 정책 / 9
    2-2 국제 치매 정책 / 12
    3. 2장 요약 13

    Ⅲ. 선제적 치매예방을 위한 학술적 접근 15
    1. LANCET 위원회 보고서 15
    2. 국내 치매예방 연구 개괄 22
    3. 3장 요약 24

    Ⅳ. 2020년-2021년 비대면 치매관련 활동 25
    1. 국내 비대면 치매관련 활동 25
    2. 제주 노인 대상 비대면 치매예방프로그램 46
    2-1 연구목표 / 46
    2-2 연구배경 / 46
    2-3 연구기간 / 48
    2-4 연구대상 / 48
    2-5 연구절차 / 48
    2-6 연구내용 / 49
    2-7 연구결과 / 51
    3. 4장 요약 55

    Ⅴ.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훈련 및 돌봄 56
    1.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56
    2. 노인 디지털 기기 사용 60
    3.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확대 62
    4. 5장 요약 67

    Ⅵ. 결론 및 시사점 68

    참고문헌 70
    Abstract 73
  • 포스트코로나 시대 제주의 대중국 관광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은희|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88

    목 차

    1.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중국의 해외수학여행 현황 및 전망 4
    1. 중국의 해외수학여행 현황 4
    2. 중국의 해외 수학여행 발전 전망 6

    Ⅲ. 중국의 해외수학여행 수요 조사 분석 8
    1. 중국의 해외수학여행 수요 설문 조사 8
    2. 하이난 및 청두 지역의 설문 조사 결과 9
    3. 설문지 및 인터뷰 분석 결과 33
    3-1 설문지 분석 결과 33
    3-2 수학여행 관련 업계 동향 분석 결과 34

    Ⅳ. 새로운 국제형 제주 수학여행 모델 36
    1. 중국 교과서와 연계된 수학여행 모델 36
    2. Only-One수학여행 모델 제시 38

    Ⅴ. 결론 및 시사점 43
    1. 결론 43
    2. 시사점 44

    참고문헌 45
    Abstract 47
    부 록 48
  • 국내외 지방 정부의 디지털 정책 현황과 제주도의 정책과제

    연구책임 : 조남운|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50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해외 주요국가의 디지털 정책 6
    1. 세계 주요국의 신사업정책 개관 6
    2. 미국의 디지털 정책 7
    3. 중국의 디지털 정책 7
    4, 유럽연합의 디지털 정책 8

    Ⅲ. 대한미국의 디지털 정책 10
    1. 한국판 뉴딜 10
    1-1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목표 10
    1-2 분야별 세부과제 11
    1-3 1차년도 주요 성과 및 평가(2021년 디지털 뉴딜 실행계획) 12
    1-4 한국판 디지털 뉴딜 2차 연도 추진 계획 12
    2.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 뉴딜 정책 13
    2-2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 뉴딜 정책 개관 13
    2-2 디지털 정책 비중 17
    3. 대한민국의 데이터 및 인공지능 인프라 개관 20
    3-1 데이터 인프라 20
    3-2 인공지능 인프라 21

    Ⅳ. 제주특별자치도의 디지털 정책 23
    1. 제주형 디지털 뉴딜 계획 23
    1-1 제주형 디지털 뉴딜 개관 23
    1-2 제주형 디지털 뉴딜: 주요 핵심과제 24
    2. 제주형 디지털 뉴딜 1차년도 추진현황 25
    3. 전문가 및 관계자 인터뷰 25
    3-1 디지털 정책과 K-디지털 뉴딜 26
    3-2 디지털 뉴딜 사업과 담당업무의 관계 27
    3-3 바람직한 디지털 정책의 형태 27
    3-4 디지털 사업의 성과 평가 28
    3-5 제주 디지털 정책의 전망 29

    Ⅴ. 결론 및 정책제언 32
    1. 결론 32
    2. 정책제언 및 시사점 34
    2-1 정책 제언 35

    참고문헌 36
    부록 37
  • 제주형 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사업모델 개발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485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2

    Ⅱ. 제주 농어촌지역 숙박사업 활성화 필요성 4
    1. 제주 도시-농어촌지역 간 관광수요 비교 분석 4
    1-1 제주 읍면동지역 관광객 현황 4
    1-2 제주 읍면동지역 관광소비 현황 6
    2. 제주 농어촌지역 숙박 현황 분석 8
    2-1 제주 읍면동지역 숙박업 현황 8
    2-2 제주지역 숙박업 추이 10
    3. 제주 농어촌지역 숙박사업 활성화 필요성 12

    Ⅲ. 제주형 농어촌 진집 활용 숙박사업모델 개발 14
    1. 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 실증특례 개요 15
    2. 제주 농어촌민박 사업자 대상 인식 조사 17
    2-1 인식조사 개요 17
    2-2 분석결과 19
    2-3 시사점 28
    3. 제주형 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사업모델 개발 30

    Ⅳ. 제주형 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사업모델 활성화 방안 32
    1. 제주형 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사업모델 활성화 방향 32
    2. 제주형 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사업모델 활성화 방안 33
    2-1 실증특례(농어촌 빈집 활용 숙박)의 제도화 34
    2-2 숙박 관련 서비스업 활성화 41

    Ⅴ. 연구의 요약 및 향후 과제 47

    참고문헌 51
    Abstract 52
    부록:설문지 53
  • 제주지역 고용패널조사 설계 및 구축방안

    연구책임 : 이순국|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239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효율적인 활용과 기대효과 4
    Ⅱ. 제주지역 고용․노동시장 및 고용관련 통계 현황 6
    1. 고용지표 현황 6
    2. 경제활동인구 추이 비교 14
    3. 일자리 구조와 실업 변화 19
    4. 고용과 임금불평등 특징 23
    5. 고용관련 통계 현황 26
    Ⅲ. 국내외 고용관련 패널조사 현황 및 시사점 37
    1. 패널조사 자료특성 37
    2. 국내 패널조사 사례 39
    3. 국외 패널조사 사례 54
    4. 소결 및 시사점 57
    Ⅳ. 제주지역 고용패널조사의 효율적인 구축 및 관리 방안 58
    1. 제주지역 고용패널조사 구축방향 58
    2. 제주지역 고용패널조사 설계 및 구성 59
    3. 제주지역 고용패널조사 효율적인 활용 및 관리방안 64
    Ⅴ. 결론 70
    참고문헌 72
  • 제주도의 인공지능 산업 생태게 분석 및 정책방안 연구

    연구책임 : 조남운|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299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1 연구의 의의 1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인공지능(AI) 산업의 특성 및 이슈 3
    1. 인공지능 개념 3
    2.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투자 5
    3.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의 이슈 9
    4.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와 인지 11

    Ⅲ. 국내 인공지능 관련 연구조사 동향 15
    1. 해외 AI 관련 조사 15
    2. 국내 AI 관련 조사 17
    3. 지역기반 AI 관련 조사 21

    Ⅳ. 제주 인공지능 생태계 현황과 정책대응 방안 25
    1. 제주도내 인공지능 관련 추진사업 현황 25
    2. 전문가 및 관계자 인터뷰 조사 27
    2-1 조사의 개요 27
    2-2 주요 조사결과 요약 29
    3. 정책대응방향과 사업계획 31
    3-1 정책대응방향 31
    3-2 주요사업의 세부계획 35

    Ⅴ. 결론 및 정책제언 38
    1. 결론 38
    2. 시사점과 정책제언 39
    3. 연구의 한계 40

    참고문헌 41
    Abstract 43
    부록1: 전문가 및 관계자 인터뷰 질문지 44
    부록2: 전문가 및 관계자 인터뷰 조사결과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