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중국판 뉴딜의 발전과 정책 연구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236

    목 차

    Ⅰ.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중국판 뉴딜 정책: 중앙정부 7
    1. 중국판 뉴딜의 배경 7
    1-1 개념과 특징 7
    1-2 그린뉴딜 추진배경 9
    1-3 디지털뉴딜의 추진배경 12
    2. 중국판 뉴딜의 구조 및 추진 전략 14
    2-1 그린뉴딜의 구조 및 추진 전략 14
    2-2 디지털 뉴딜의 구조 및 추진 전략 21

    Ⅲ. 중국판 뉴딜 정책: 지방정부 27
    1. 중국 지방정부 뉴딜정책 개관 27
    2. 주요 지역 그린뉴딜 정책 추진 현황 29
    2-1 베이징 29
    2-2 하이난 37

    Ⅳ. 제주형 뉴딜에 대한 정책 제언 53
    1. 한국판 뉴딜2.0과 제주형 뉴딜 53
    1-1 한국판 뉴딜 53
    1-2 제주형 뉴딜 58
    2. 정책제언 60
    2-1 정책제언-1: 뉴딜 거버넌스 구축 60
    2-2 정책제언-2: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활용 62
    2-3 정책제언-3: 그린 모빌리티 활성화 65
    2-4 정책제언-4: 스마트 관광 추진 66
    2-5 정책제언-5: 산업집적효과 제고 67
    2-6 정책제언-6: 인식제고 및 홍보 진행 68

    Ⅴ. 결론 및 시사점 70

    부록: 산둥성 수소에너지 발전정책 요약 73
    참고문헌 75
    인터넷 사이트 76
    ABSTRACT 77
  • 제주산 월동채소류 소비자 인지도 조사 및 수요 추정 연구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281

    목 차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관련 연구 검토 1
    3. 연구내용 3

    Ⅱ. 제주산 월동채소류 생산ㆍ소비 현황 4
    1. 무 생산ㆍ소비 현황 4
    2. 당근 생산ㆍ소비 현황 9
    3. 양배추 생산ㆍ소비 현황 13

    Ⅲ. 제주산 월동채소류 수요함수 추정 17
    1. 수요함수 추정 방법 17
    2. 수요함수 추정 결과 19

    Ⅳ. 제주산 월동채소류 소비자 인지도 조사 22
    1. 조사 설계 22
    2. 조사 결과 분석 24

    V. 제주산 월동채소류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 제언 36
    1. 요약 36
    2. 정책 제언 37

    참고문헌 38

    Abstract 39
  • 탐나는전 유통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 이중화|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323

    목차 CONTENTS

    I.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 탐나는전 운영 현황 분석 4
    1. 회원 4
    2. 가맹점 11
    3. 충전 17
    4. 결제 21
    5. 인센티브 26

    III. 탐나는전 시장구조 및 파급효과 분석 30
    1. 개요 30
    2. 집중도 분석 33
    3. 공간적 분포 37
    4. 파급효과 분석 39

    IV. 탐나는전 활성화 방안 43
    1. 현황과 이슈 43
    1-1 지역화폐 가맹점 사용처 제한 및 논란 43
    1-2 지역화폐 발행 및 운영에 관한 조례 49
    1-3 지역화폐 지원예산 축소 51
    2. 사례 분석 53
    2-1 인천 e음카드 53
    2-2 경기지역화폐 54
    2-3 군산사랑상품권 55
    2-4 성남사랑상품권 56
    2-5 화천사랑상품권 57
    2-6 대전 ‘온통대전’ 58
    2-7 노원페이 59
    2-8 한밭레츠 60
    2-9 영국 브리스톨파운드 61
    2-10 나가사키현 ‘시마토쿠’ 통화 62
    3. 활성화 방안 64
    3-1 가맹점 정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 64
    3-2 탐나는전의 범용성 확대 66

    V. 결론 및 정책제언 71
    1. 요약 71
    2. 정책 제언 73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75

    참고문헌 77
    부록 81
  • 제주 수출 상품의 중국 디지털마케팅 활용방안 연구

    연구책임 : 정지형|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221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방법 2
    2-1 연구목적 2
    2-2 연구방법 3

    Ⅱ. 중국 디지털경제 바런 현황 5
    1. 중국 디지털경제 현황 5
    1-1 중국 디지털 경제 발전 추세 5
    1-2 중국 온라인 산업 지원 정책 7
    2. 중국 온라인 이용자 추이 9
    2-1 중국 온라인 이용자 현황 9
    2-2 중국 온라인 소비 현황 12

    Ⅲ. 설문조사 16
    1. 설문조사 개요 16
    1-1 개요 16
    1-2 조사목적 16
    1-3 조사기간 및 주체 16
    1-4 조사방법 16
    1-5 표본집단의 구성 17
    1-6 설문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속성 18

    2. 설문분석 19
    2-1 설문대상자의 온 오프라인 해외상품 구매 속성 19
    2-1-1 해외상품 오프라인 구매경험 19
    2-1-2 해외상품 온라인 구매경험 22
    2-1-3 한국 상품 온라인 구매경험 26
    2-1-4 제주 상품 온라인 이미지 27
    2-2-2 집단별 해외상품 온라인 구매경험 36
    2-2-3 집단별 한국 상품 온라인 구매경험 41
    2-2 설문대상자의 온 오프라인 해외상품 구매 속성 43
    2-2-1 해외상품 오프라인 구매경험 43
    2-2-4 집단별 제주 상품 온라인 이미지 43
    2-3 분석 결과 주요내용 45

    Ⅳ. 정책제언 및 결론 47
    1. 정책제언 47
    1-1 해외상품 구분 필요성 47
    1-2 중국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 제고 필요 48
    1-3 온라인 플랫폼 세분화 전략 48
    1-4 온라인 플랫폼 이용습관에 대한 이해도 제고 49
    1-5 한중관계를 고려한 온라인 홍보 50
    1-6 제주상품 판매 위협요인에 대한 리스크 관리 50
    2. 결론 51

    참고문헌 52
  •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개선 및 노인복지서비스 적용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 : 고승한|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274

    목 차 CONTENTS

    I. 연구의 개요 1
    1. 연구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3. 연구의 주요내용 및 기대효과 5
    4. 연구의 접근체계 6
    II.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의 주요 특성과 정책 변화 7
    1.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의 개념과 주요 특성 7
    2. 자원봉사 정책 변화와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 12
    3.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 운영의 문제점 23
    III.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의 선진사례 분석 및 시사점 26
    1.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의 사례분석 26
    2. 사례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32
    IV.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 현황 및 활용 34
    1. 제주지역의 자원봉사활동 현황 34
    2. 제주지역의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 및 활용 40
    3. 제주지역의 자원봉사 마일리지 제도의 한계점 55
    4. 제주지역의 자원봉사 관계자 심층면접 결과 및 시사점 58
    V. 자원봉사 마일리지 활용 시스템과 노인복지서비스 연계 방안 69
    1. 자원봉사 마일리지 활용 시스템 69
    2. 제주 자원봉사 마일리지 활용과 노인복지서비스 연계 방안 90

    VI. 결론 및 제언 109
    1. 요약 109
    2. 정책 제언 112
    참고문헌 114
    Abstract 115
    부록 1 117
    부록 2 125
  • 남원읍 신례공동목장 활용방안

    연구책임 : 안경아|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1-15 |조회수 : 41

    목차 CONTENTS

    I. 서론…………………………………………………………………………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2

    II. 신례공동목장 개요 ………………………………………………………3
    1. 지리적 위치 …………………………………………………………………3
    2. 기상 …………………………………………………………………………4
    3. 신례리 마을 현황 ……………………………………………………………6
    3-1. 인구 …………………………………………………………………………… 6
    3-2. 경제 …………………………………………………………………………… 7
    4. 신례공동목장 기반 및 운영 현황……………………………………………8
    4-1. 축산업 기반 및 운영 현황…………………………………………………… 8
    4-2. 관광업 기반 및 운영 현황…………………………………………………… 9

    III. 신례공동목장 형성 및 운영 과정 …………………………………… 12
    1. 신례공동목장 형성 ……………………………………………………… 12
    1-1. 조선시대 국마장 설치 …………………………………………………… 12
    1-2. 일제강점기 목장조합 설치 ……………………………………………… 17
    2. 1960~80년대 신례공동목장 운영 ……………………………………… 21
    2-1. 1960~70년대 신례공동목장 운영 ……………………………………… 21
    2-2. 1980년대 신례공동목장 운영 …………………………………………… 25
    3. 1990년대 신례공동목장 운영…………………………………………… 26
    4. 2000년대 이후 신례공동목장 운영 …………………………………… 30

    IV. 신례공동목장 개발여건 분석………………………………………… 34
    1. 지목 및 초지 현황………………………………………………………… 34
    2. 용도지역 지정 현황 ……………………………………………………… 37
    3. 지하수자원 특별관리구역 지정 현황 …………………………………… 38
    4. 지하수자원보전지구 지정 현황 ………………………………………… 40
    5. 생태계보전지구 지정 현황 ……………………………………………… 43
    6. 경관보전지구 지정 현황 ………………………………………………… 45

    V. 신례공동목장 활용 방안 ……………………………………………… 47
    1. 신례공동목장 활용 SWOT분석 ………………………………………… 47
    2. 신례공동목장 활용 목적과 방향 ………………………………………… 49
    3. 신례공동목장 공간 계획 ………………………………………………… 51
    3-1. A구역: 작물경관 구역 …………………………………………………… 52
    3-1. B구역: 산림경관 구역 …………………………………………………… 55
    3-1. C구역: 방목경관 구역 …………………………………………………… 56
    3-1. D구역: 편의시설 구역 …………………………………………………… 58
    4. 투자계획…………………………………………………………………… 60

    참고문헌…………………………………………………………………………… 63

    [부록 1] 신례공동목장 회의록…………………………………………………… 64

    [부록 2] 추천 수목 ……………………………………………………………… 74

    [부록 3] 숲속야영장 설계도……………………………………………………… 85

    Abstract ………………………………………………………………………… 94
  • 하천관리 여건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

    연구책임 : 박창열|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0-31 |조회수 : 265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2

    Ⅱ. 하천관리 법제도 및 정책 동향 3
    1. 하천관리 법제도 3
    1-1 관련 법 3
    1-2 관련 제도 6
    2. 하천관리 정책 동향 9
    3. 하천관리 정책 변화와 제주의 대응 시사점 10

    Ⅲ. 하천 여건 변화와 이슈 진단 12
    1. 하천 현황 및 여건 변화 12
    1-1 하천 현황 12
    1-2 하천 여건 변화 15
    2. 하천관리 관련 이슈와 진단 20

    Ⅳ. 향후 하천관리 대응방안 제언 25
    1. 기본방향 25
    2. 제언 26
    2-1 제주 지방하천의 국가하천 승격 26
    2-2 제주형 하천정비 방안 및 지침 마련 45
    2-3 제주형 친환경 하천정비 공법 개발 51
    2-4 하천관리 운영체계 확립 52
    2-5 그 밖의 세부과제 54

    Ⅴ 결론 56

    참고문헌 58
    Abstract 59
  • 제주 행정타운 접근성 개선을 위한 MaaS 도입 방안 및 과제

    연구책임 : 이성용|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0-30 |조회수 : 217

    목 차 CONTENTS

    I. 연구의 개요 1
    1. 연구 배경과 목적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2-1. 연구의 범위 6
    3. 연구의 주요 내용 7
    4. 연구의 접근체계 7

    II. 현황 8
    1. 일반 현황 8
    1-1. 공공행정타운 위치 8
    1-2. 행정타운 현황 9
    2. 행정타운 도시계획 현황 10
    2-1. 용도지역 현황 10
    2-2. 공공시설 현황 10
    2-3. 공원 및 녹지 현황 11
    2-4. 경관지구 현황 12
    2-5. 고도지구 현황 13
    3. 교통 현황 13
    3-1. 도로 현황 13
    3-2. 대중교통 현황 16
    3-3. 공영주차장 이용 특성 17
    3-4. 제주특별자치도 주차 특성 분석 20
    4. 행정타운 내 차량 현황 22

    III. 마스의 사례 분석 및 수요자 조사 27
    1. 국내 추진 현황 27
    1-1. 국토교통부 27
    2. 국외 추진 현황 39
    2-1.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 전망 39
    2-2. 해외 주요 도시의 MaaS 실험 40
    3. 수요자 의식 조사 48
    3-1. 인구통계적 특성 48
    3-2. 출퇴근 및 업무 통행 관련 질문 49
    3-3. 통행 관련 질문 51
    3-4. 마스(MaaS) 관련 질문 55
    3-5. 행정타운 내 마스 도입 관련 질문 58
    4. 시사점 63

    IV. 행정타운 마스 도입 방안 64
    1. 기본목표 및 전략 64
    1-1. 기본목표 64
    1-2. 기본전략 65
    2. JMT의 도입 배경 65
    3. JMT의 필요성 66
    4. JMT의 실행 절차 66
    4-1. JMT의 서비스 유형 결정 66
    4-2. JMT의 비즈니스 모델 선정 72
    4-3. JMT의 사전 준비상태 조사 74
    5. JMT 홍보 및 확대 방안 79
    5-1. MaaS 공공사업의 일반 시행순서 79
    5-2. Mini-MaaS의 실행 80
    5-3. 접속지점 및 도킹스테이션 선정 80
    5-4. 서비스 평가지표 81
    6. JMT 도입에 따른 정책효과 분석 83
    6-1. 결론 83
    6-2. 정책적 시사점 86
    7. 마스 도입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87

    V. 마스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 107
    1. 제주형 MaaS의 실행지침 107
    2. 결론 및 정책제언 120

    참고문헌 123
    부 록 125
  •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 설립 타당성 분석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1-10-30 |조회수 : 48

    목 차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 지역언론의 진흥 필요성 ·····························································4
    1. 지역언론의 진흥 필요성 ···································································4
    1-1 지역언론의 정의 ·················································································4
    1-2 지역언론의 역할 ·················································································6
    2. 지역언론 진흥 관련 기구 현황 ························································7
    2-1 한국언론진흥재단 운영 현황 ······························································8
    2-2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운영 현황 ·························································15
    3. 시사점 ···························································································21

    III. 제주지역 언론 지원 현황 분석 ···············································24
    1. 제주지역 언론사 현황 ····································································24
    1-1 제주지역 언론사 현황 ······································································24
    1-2 제주지역 언론사 종사자 현황 ··························································25
    1-3 제주지역 언론사 총 매출액 현황 ·····················································26
    1-4 제주지역 언론사의 생산성 ·······························································27
    2. 제주지역 언론사 지원 현황 ···························································28
    2-1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 현황 ·························································28
    2-2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 현황 ·····················································29
    3. 시사점 ·························································································30

    IV.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 설립 관련 인식조사 ··························32
    1. 제주지역 언론인 대상 정책 수요조사 ············································32
    1-1 제주지역 언론인 대상 정책 수요조사 개요 ····································32
    1-2 제주지역 언론인 대상 정책 수요 설문조사 결과 ·····························33
    2.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 설립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44
    2-1 1차 의견 조사 결과 ·········································································45
    2-2 2차 의견 조사 결과 ·········································································46
    2-3 3차 의견 조사 결과 ·········································································48
    3. 시사점 ···························································································50

    V.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 운영 방안 ···········································52
    1.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 설립 타당성 및 기본 방향 ························52
    2.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의 기능 ······················································57
    2-1 제주형 뉴스콘텐츠 유통 플랫폼 구축·운영 ······································57
    2-2 제주형 뉴스콘텐츠 지원사업(안) ······················································59
    3.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의 추진방안 ················································63
    3-1 운영 방식 ························································································63
    3-2 제주언론진흥재단(가칭) 조직 구성 방안 ···········································65
    3-3 예산 및 재원조달 방안 ···························································
  • 지하수 수위관측망 운영현황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책임 : 박원배|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1-08-31 |조회수 : 470


    목 차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2-1. 연구내용 및 방법 2
    2-2. 연구 추진 체계 3

    II. 지하수위 관측망 설치 현황 4
    1. 지하수위 관측망 구성 4
    2. 지하수 관측망 설치 현황 6
    2-1. 총괄 현황 6
    2-2. 지역별 현황 8
    2-3. 시설 특성별 현황 9
    2-4. 관측 형태별 현황 12
    3. 관측자료 구축 현황 14
    4. 국내외 지하수위 관측망 운영 현황 15
    4-1. 국내 지하수 관측망 운영 현황 15
    4-2. 미국의 지하수 관측망 운영 현황 18
    4-3. 유럽의 지하수 관측망 운영 현황 19

    III. 지하수 관측 결과 분석 22
    1. 2020년 지하수 관측 결과 22
    1-1. 강수량 22
    1-2. 지하수위, 수온, 전기전도도 23
    1-3. 월별 분석 결과 24
    1-4. 고도별 분석 결과 28
    1-5. 도 전역 지하수위 분포 현황 31
    2. 장기 지하수위 변화 추세 분석 33

    IV. 지하수위 관측망 운영실태 분석 35
    1. 운영 현황 35
    2. 운영 현황 분석 38
    2-1. 정기 및 수시 점검 결과 38
    2-2. 지하수위 데이터 결측 40
    3. 관측시스템의 문제점 41
    3-1. 데이터수집전송장치(RTU) 41
    3-2. 센서 43
    3-3. 운영 서버 및 소프트웨어 45
    4. 관측정의 문제점 48

    V. 지하수위 관측정 커버리지 분석 52
    1. 지하수위 관측정 설치 현황 분석 52
    1-1. 저심도 관측정 52
    1-2. 관측정 간 거리 분석 53
    2. 지하수위 관측정 커버리지 분석 55
    2-1. 관측망 커버리지 분석 56
    2-2. 격자 분석 57
    3. 유역별 기준수위 관측정 분포 현황 분석 59
    4. 지하수위 및 기준수위 관측정 추가 필요지역 61

    VI. 지하수위 관측정 운영관리 개선방안 64
    1. 관측기기 운영 개선 64
    1-1. 센서 64
    1-2. RTU 65
    2. 관측정 상부보호시설 개선 67
    2-1. 관측정 오염방지시설 개선 67
    2-2. 관측정 내부 환경 개선 69
    3. 관측망 운영 시스템 개선 71
    3-1. 하드웨어 71
    3-2. 소프트웨어 72
    4. 관측자료 품질관리 75
    4-1. 결측값 및 이상값 관리 75
    4-2. 조석에 따른 영향 78

    VII. 결론 및 제언 80
    1. 결 론 80
    1-1. 지하수위 관측망 설치 현황 80
    1-2. 지하수위 현황 분석 81
    1-3. 관측망 운영실태 분석 82
    1-4. 지하수위 관측정 커버리지 분석 83
    1-5. 지하수위 관측망 운영관리 개선방안 84
    2. 제 언 85


    참고문헌 87
    Abstract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