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범위와 주요내용 3
2-1. 연구의 범위 3
2-2. 연구 주요내용 3
3. 연구의 추진 흐름도 4
Ⅱ. 현황 및 관련연구 분석 6
1. 총 인구 6
1-1. 인구규모 6
1-2. 노인인구 규모 6
1-3. 전입사유 중 건강요인 9
2. 제주지역 마을회관 현황 15
2-1. 취락지구 현황 15
2-2. 마을회관 현황 16
2-3. 공공시설 입지현황 19
3. 제주지역 경로당 현황 23
3-1. 제주지역 경로당 현황 23
4. 관련연구 분석 25
4-1. 마을회관 관련 연구 25
4-2. 공공시설 운영 및 관리 관련 연구 26
4-3. 공공시설 건립 관련 연구 26
4-4. 기타 26
Ⅲ. 공공시설 입지특성 및 활용현황 27
1. 기본원칙 및 방향 27
1-1. 공공시설 설치 기본원칙 27
2. 공공시설 정의 및 현황 27
2-1. 공공시설 27
3. 주요시설별 정의 31
3-1. 마을회관 31
3-2. 경로당 32
4. 제주지역 내 입지특성 및 활용현황 33
4-1. 도시지역(동지역) 현황 33
4-2. 비도시지역(읍면지역) 현황 38
5. 이용자 설문조사 및 분석 40
5-1. 인구통계적 특성 40
5-2. 마을회관 입지 및 운영실태 41
5-3. 마을회관 복합화 방안 66
5-4. 소결 72
5-5. 시사점 74
Ⅳ. 공공시설 입지 개선 방안 76
1. 공공시설 특성 고려한 개선방안 76
1-1. 의료 및 복지시설 현황 76
1-2. 의료 및 복지시설을 고려한 마을기능 확충방안 79
1-3. 마을회관의 의료 및 복지기능 추가 확충 80
2. 시설 수요자 특성과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시설의 확보 81
2-1. 100세 시대를 고려한 설계 및 기준의 마련 81
2-2. 이용자 불편해소 및 공공서비스 공급체계 고민 82
3.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공공시설 확보 82
3-1. 도시지역 공공서비스 확보 방안 82
3-2. 비도시지역 공공서비스 확보 방안 83
4. 공공시설 기능 복합화 및 커뮤니티 중심성 강화 83
4-1. 재난, 재해로부터 안전한 마을을 위한 대비 83
4-2. 공간의 복합화 및 중심성 강화 84
5. 축소도시의 전략마련을 통한 마을간 연계 강화 84
6. 마을회관의 본질적 기능의 기본적 수행 충실화 및 복합화 85
Ⅴ. 결론 및 정책제언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