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제주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 연구

    연구책임 : 한승철|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0-11-15 |조회수 : 376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

    Ⅱ. 국내외 식품산업 및 정책 동향 4
    1. 세계 식품산업 동향 4
    2. 한국 식품산업 현황 7
    3. 한국 식품산업 육성 정책 동향 13

    Ⅲ. 제주지역 식품산업 현황 및 실태 19
    1. 제주지역 식품산업 현황 19
    2. 제주지역 식품기업 및 기술연구 사례 23
    3. 제주지역 식품산업 육성 전략 모색 39

    Ⅳ. 제주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 전략 모색 44
    1. 국내외 식품산업 발전 연구기반 사례 44
    2. 제주지역 식품산업 연구기반 현황 59
    3. 제주 식품산업 육성 연구기반 구축 방향 71

    Ⅴ. 제주 식품산업 연구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 73
    1. 결론 73
    2. 정책적 제언 74

    참고문헌 77
    부 록 78
    Abstract 87
  • 디지털 시대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 연구

    연구책임 : 현혜경|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0-11-15 |조회수 : 151


    목 차

    I.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3. 개념 및 선행연구 2
    4. 연구대상과 범위 5
    5. 연구방법론 및 분석틀 6

    II. 공공도서관의 형성과 변화 9
    1. 공공도서관의 기원과 형성 9
    2. 디지털시대 국외 공공도서관의 변화 11
    2-1. 중국사례 11
    2-2. 일본사례 14
    2-3. 유럽사례 17
    3. 디지털시대 국내 공공도서관의 변화 21
    3-1. 도서관 정책 환경의 변화 21
    3-2. 스마트 도서관 구축운영 22
    3-3. 2019년도 전국도서관 운영평가 우수사례 도서관 25
    4.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33
    4-1. 스마트 도서관 중요성 강화 33
    4-2. 특화도서관 지향 33
    4-3. 복합문화공간 기능수행 34
    4-4. 모두를 위한 도서관 및 주민 참여형 도서관 지향 35

    III. 디지털 시대 공공도서관의 국외·국내 정책 36
    1. 국외 정책 36
    1-1. 국제기구의 관련 정책 36
    1-2. 개별 국가의 도서관 정책 38
    1-3. 코로나19와 외국 도서관 43
    1-4. 국외 정책 시사점 50
    2. 국내 정책 52
    2-1.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9~2023) 52
    2-2. 생활SOC 도서관정책 57
    2-3. 코로나19와 도서관정책 62
    2-4. 국내 정책 시사점 63

    Ⅳ.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현황과 운영실태 66
    1. 제주지역 도서관 관련 제도적 기반 66
    1-1.제주특별자치도 도서관 진흥 및 대표 도서관 설립등에 관한 조례 66
    1-2.제주특별자치도 작은도서관 설치 및 운영지원에관한 조례 67
    1-3.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도서관 설치 및 운영조례 67
    2.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현황 개관 67
    3.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평가 및 운영실태 71
    3-1. 시설 현황과 운영실태 72
    3-2. 장서 및 자료 현황과 운영실태 76
    3-3. 인적 현황과 운영실태 81
    3-4. 예산 현황과 운영실태 85
    3-5. 경영 및 조직 현황과 운영실태 86
    3-6. 기술정보 환경 및 정보지원과 운영실태 89
    3-7. 지역 환경을 고려한 운영실태 90
    3-8. 수요 환경 실태: 이용과 서비스 93
    3-9. 홍보 운영 실태 98
    3-10. 현황 및 운영실태 시사점 101

    Ⅴ.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이용실태 103
    1. 응답자 특성 103
    2. 도서관 이용 현황 106
    2-1. 도서관 이용 횟수 106
    2-2. 도서관 이용 목적 108
    2-3. 자주 방문하는 도서관과 공공도서관 111
    3. 도서관 이용 만족도 115
    3-1. 이용하고 있는 도서관에 대한 이용 만족도 115
    3-2. 현재 이용하고 있는 도서관과 대표도서관 122
    4. 미래 도서관에 대한 전망 125
    4-1. 미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125
    4-2.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의 변화 필요성 127
    4-3.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발전을 위한 영역별 변화 필요성 132
    4-4. 디지털시대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의 대응 140
    5. 이용자 이용 실태 시사점 152
    5-1. 현재의 문제점 개선 152
    5-2. 미래 도서관에 대한 준비 152
    5-3. 환경변화 및 중요 변수들에 대한 고려 153

    Ⅵ. 전문가 FGI 결과 154
    1. 전문 인력 양성 및 지역도서관 연구 154
    2. 지역 공공도서관 정기적인 기초 조사 시스템 마련 156
    3. 자료의 체계적 관리와 지역 특성 반영 프로그램 157
    4. 유니버설 개념이 함축된 도서관 158
    5. 대표 도서관 중심 라키비움센터(복합문화공간) 설치 159
    6. 읍면도서관 및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와 소통 160
    7. 제주특별자치도 중장기발전계획과 도서관 161

    Ⅶ.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 162
    1. 발전방안 도출 162
    2. 인력과 기초토대 구축 164
    3. 복합문화공간 및 디지털 도서관 모색 165
    4. 지역공동체 및 도서관의 상생공동체 구상 167
    5. 특화도서관의 운영 및 보존서고의 마련 168
    6.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이 도입된 도서관 168
    7. 지역도서관에 대한 중앙 정부와의 협력 169
    8. 행정내 도서관 지원팀의 설치 및 지원계획 수립 169

    Ⅷ. 결론 및 제언 171

    참고문헌 173

    Abstract 178

    부록 180

  • 제주 읍 면 동지역 인구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고태호|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11-15 |조회수 : 41

    목차 CONTENTS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과정 및 방법 ----------2

    Ⅱ. 제주지역 인구 현황 및 전망 ------3
    1. 제주지역 인구 현황 ------3
    1-1. 총인구 ------3
    1-2. 연령별 인구구조 ------4
    1-3. 인구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5
    1-4. 인구 요인 -----6
    2. 제주지역 인구 전망 -----12
    2-1. 총 인구 -----12
    2-2. 연령별 인구구조 -----13
    2-3. 인구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13
    2-4. 인구 요인 -----14
    3. 시사점 -----16

    Ⅲ. 제주 읍 면 동지역 인구 현황 및 인구소멸위험지수 -----18
    1. 제주 읍 면 동지역 인구 현황 -----18
    1-1. 총 인구 -----18
    1-2. 연령별 이눅구조 -----20
    1-3. 인구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5
    1-4. 자연증가 인구 -----34
    1-5. 전인ㅂ인구(정착주민)의 전입지역 -----38
    2. 제주 읍 면 동지역 인구소멸위험지수 -----40
    2-1. 인구소멸위험지수 개요 -----40
    2-2. 제주 읍 면 동지역 인구소멸위험 지역 -----41
    3. 시사점 -----43

    Ⅳ. 인구정책 연계 지역균형발전정책 방향 및 전략 -----47
    1. 핵심생산인구 정착 지원 지역 선정 -----48
    2. PAW정착 지원 지역에 대한 지역균형발전 전략 ----51

    참고문헌 -----54
    ABSTRACT -----55
  •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연구책임 : 정지형|구분 : 정책연구

    발행일 : 2020-10-30 |조회수 : 307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방법 2

    Ⅱ. 지자체 해외사무소 운영 현황 3
    1. 해외사무소 운영 필요성 및 효과 3
    2. 각 시도별 해외사무소 운영 현황 6
    3. 각 시도별 해외사무소 인터뷰(서면)조사 19

    Ⅲ.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 현황 및 실태 23
    1.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 23
    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상품 전시판매장 31
    3.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 제주상품 전시판매장 이용 만족도 조사 37

    Ⅳ.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의 효율적 운영방안 48
    1. 기본방향 48
    2.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의 효율적 운영 방안 55

    Ⅴ. 결 론 62

    참고문헌 64
    Abstract 65
    부록 제주특별자치도 해외사무소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67
  •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방안

    연구책임 : 신우석|구분 : 기본연구

    발행일 : 2020-10-15 |조회수 : 81

    목 차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2-1 연구방법 / 3
    2-2 주요 연구내용 / 3
    3. 연구의 기대효과 4

    Ⅱ. 국내 및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5
    1.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5
    1-1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 5
    1-2 하수도 보급률 / 6
    1-3 하수도 설치률 / 7
    1-4 하수도 요금화 / 8
    2. 공공하수처리시설 운영 현황 9
    2-1 공공하수처리시설 가동률 / 9
    2-2 공공하수처리시설 수질처리 현황 / 10
    2-3 전력 사용량 및 에너지 자립률 현황 / 11
    3. 공공하수처리시설 운영비 현황 15
    3-1 지역별 공공하수처리시설 운영비 현황 / 15
    3-2 지역별 하수 1톤당 운영비 현황 / 16

    Ⅲ.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및 국내외 동향 17
    1.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개념 17
    1-1 공공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 17
    1-2 하수처리시설의 순 제로 에너지 / 25
    2. 제주형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개념 27
    3. 국내외 정책동향 28
    3-1 국내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관련 정책 동향 / 29
    3-2 국외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관련 정책 동향 / 32
    4. 국내외 사례 37
    4-1 국내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사례 / 37
    3-2 국외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사례 / 39
    5. 시사점 48

    Ⅳ.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49
    1.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시설별 에너지 사용 현황 49
    1-1 제주(도두) 공공하수처리시설 / 49
    1-2 동부 공공하수처리시설 / 50
    1-3 서부 공공하수처리시설 / 51
    1-4 보목 공공하수처리시설 / 52
    1-5 색달 공공하수처리시설 / 53
    1-6 대정 공공하수처리시설 / 54
    1-7 남원 공공하수처리시설 / 55
    1-8 성산 공공하수처리시설 / 56
    2. 재생에너지별 에너지 잠재량 산정 58
    2-1 바이오가스 발전 / 58
    2-2 풍력 발전 / 60
    2-3 태양광 발전 / 62
    2-4 소수력 발전 / 64
    2-5 하수열 에너지 / 66
    3.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 추정 68

    Ⅴ. 제주도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 방안 69
    1.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방안 69
    2. 그 외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방안 71

    참고문헌 72

    Abstract 75
  • 제주형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의 방향과 과제

    연구책임 : 이용재|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0-09-30 |조회수 : 57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 내용과 방법 2
    4. 연구의 한계점 11

    Ⅱ. 세계 에너지 전화시대의 사회 경제적 변화 13
    1. 에너지 경제 문제 13
    2. 에너지 기술 혁신 15
    3. 에너지 안보 강화 16
    4. 경제 사회적 변화와 전망 17

    Ⅲ. 중앙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 에너지 계획과 정책변화 20
    1.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
    2. 중앙정부 에너지전화 정책의 변화 25
    3. 중앙정부 에너지 정책의 기본방향(종합) 29
    4. Carbon Free Island 2030 31
    5. 제주특별자치도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 33

    Ⅳ. 제주특별자치도 에너지 정책의 성과와 추진전망 37
    1. 탄소 없는 섬 2030 37
    2. 제주도 지역에너지의 현안문제 46
    3. 제주특별자치도 에너지 계획의 실천의지와 역량한계 54

    Ⅴ. 에너지 자립마을 국내 외 사례조사 65
    1. 국내 사례 66
    2. 외국 사례 70
    3. 국내외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사례의 시사점 82

    Ⅵ. 에너지전화 시대의 대응전략: 마이크로그리드 86
    1. 개요 86
    2.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개요 88
    3. 마이크로그리드 종류 91
    4. 마이크로그리드의 발전단계 92
    5. 에너지전환 시대의 마이크로그리드 역할 95
    6. 소결

    Ⅶ. 제주형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방향과 전략
    1. 제주형 에너지 자립도시 개요 102
    2. 제주형 에너지 자립도시의 조성 방향과 전략 106
    3. 정책적 시사점과 제안 118

    참고문헌 121
  • 제주 편백숲 활용의 극대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 : 윤용택|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0-09-30 |조회수 : 421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1
    3. 연구방법 2

    Ⅱ. 제주 편백숲 실태 3
    1. 제주특별자치도 편백 조림현황 3
    2. 제주특별자치도 편백숲 분포현황 5
    3. 제주 편백숲 관리에 대한 평가 18

    Ⅲ. 제주 편백숲 활용사례 20
    1. 서귀포치유의숲 편백숲 20
    2. 서귀포자연휴양림 편백숲 24
    3. 머체왓숲길 편백숲 29
    4. 고이오름 편백숲 32
    5. 다랑쉬오름 편백숲 34
    6. 체오름 편백숲 37
    7. 안돌오름 편백숲 40
    8. 절물자연휴양림 편백숲 42
    9. 소산오름 편백숲 46
    10. 제주 편백숲 활용사례 평가 48

    Ⅳ. 국내 편백숲의 활용사례 50
    1. 전남 장성편백치유의 숲 50
    2. 전남 장흥정남진편백숲 62
    3. 전북 완주상관편백숲 67
    4. 경남 남해편백자연휴양림 69
    5. 국내 편백숲 활용사례에 대한 평가 73

    Ⅴ. 외국 편백숲 활용사례 75
    1. 일본 고야산 천년의 숲 75
    2. 일본 구마노고도 77
    3. 대만 아리산 천년의 숲 78

    Ⅵ. 숲의 활용사례 82
    1. 숲과 인간에 대한 이해 82
    2. 숲의 인문학적 활용 방안 84
    3. 숲의 인문학적 활용사례 85
    4. 숲의 활용사례에 대한 평가 92

    Ⅶ. 제주 편백숲의 활용방안 97
    1. 제주 편백숲의 가치 97
    2. 제주 편백숲의 다양한 활용방안 99

    Ⅷ. 결 론 102
    1. 제주 편백숲 활용에 대한 평가 102
    2. 정책 제언 103

    참고문헌 109
  • 제주지역 MICE실태조사 및 발전 제언

    연구책임 : 장정훈|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0-09-30 |조회수 : 892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
    3. 연구의 방법 및 주요내용 2
    4. 연구의 시사점 및 기대효과 3
    5. 연구의 한계점 3

    Ⅱ. MICE산업의 이해 4
    1. MICE의 개념 4
    2. MICE산업 현황 5
    3. MICE산업 관련 정책 16

    Ⅲ. 제주지역 MICE분야 교육 현황 20
    1. 제주지역 MICE유관기관 교육 현황 21
    2. 제주지역 소재 대학 MICE분야 교육 현황 24
    3. 지자체 산하기관 MICE분야 교육 현황 30

    Ⅳ. 제주지역 MICE분야 채용 현황 31
    1. 제주지역 MICE분야 채용박람회 현황 32
    2. 전국 MICE산업 인력채용 현황 33

    Ⅴ. 제주지역 MICE유관기관 운영현황 조사 및 분석 36
    1. 제주컨벤션뷰로 운영현황 36
    2.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운영현황 37
    3. 제주컨벤션뷰료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현황조사 및 비교분석 38
    4. 제주지역 국제회의기획업 운영현황 40

    Ⅵ. 제주지역 전시 현황 및 우수사례 트렌드 분석 44
    1. 대한민국 전시 개최현황 44
    2. 제주지역 전시 개최현황 45
    3. 우수 전시회 사례분석 47
    4. MICE트렌드 분석 50

    Ⅶ. 제주지역 MICE실태조사 결과 및 시사점 52
    1. 제주지역 MICE산업 실태조사 결과 52
    2. 제주지역 MICE산업 현안 58
    3. 제주지역 MICE산업 활성화 제언 59
    4. 제주지역 MICE산업 실태조사 결과의 시사점 61

    Ⅷ. MICE전문가 ,FGI인터뷰 의견수렴 결과 62
    1 조사개요 62
    2. 제주 MICE활성화 방안 전문가 FGI 의견수렴 결과 62
    3. 제주 MICE 활성화 방안 전문가 FGI 의견수렴 결과의 시사점 68

    Ⅸ. 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 72
    Abstract 74
    부록 1. 설문지 75
    부록 2. 전문가 인터뷰지 84
  • 제주돌문화 유산의 가치 확신과 관리 활용방안 연구

    연구책임 : 황시권|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0-09-30 |조회수 : 484

    Ⅰ. 연구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1
    3. 연구내용 2

    Ⅱ. 제주 돌문화 유산 현황 3
    1. 제주 돌문화의 유래 3
    2. 선사유적 4
    3. 역사유적 5

    Ⅲ. 돌하르방의 문화재 가치 15
    1. 문화재 지정 및 관리 현황 15
    2. 돌하르방과 돌장승의 관련성 18
    3. 제주 3읍성 돌하르방의 조형특성 30
    4. 제주읍성 돌하르방의 제자리 찾기 36

    Ⅳ. 성곽 및 성문복원 국내 사례분석 40
    1. 사례분석 개요 40
    2. 사례분석 결과 48

    Ⅴ. 돌하르방의 관리 활용방안 설문조사 분석 51
    1. 조사개요 51
    2. 조사결과 52
    3. 시사점과 문화정책 방향 67
    4, 돌하르방의 국가민속문화재 승격 방안 68

    Ⅵ. 제주읍성 돌하르방의 제자리 복원 방안 70
    1. 기본방향 70
    2. 중장기 복원계획 수립방안 73
    3. 정책 제언 85

    참고문헌 86
    Abstract 88
    부록(설문지) 90
  • 제주형 자율학교 활성화를 위한 제주특별법 개정 방안 연구

    연구책임 : 김대영|구분 : 현안연구

    발행일 : 2020-09-30 |조회수 : 355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3
    3. 연구방법 3

    Ⅱ. 제주형 자율학교와 제주특별법의 관계 4
    1. 제주형 자율학교의 설립 목적 및 현황 4
    2. 제주특별법의 구조 8

    Ⅲ. 제주특별법시행령 제46조에 제시된 교육과정 특례 범위 13
    1. 교육과정 특례 개관 13
    2. 제주특별법시행령 제46조 해석의 시사점 21

    Ⅳ. 연구방법 23
    1. 델파이 조사 23
    2. 자료분석 26

    Ⅴ. 연구결과 27
    1.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27
    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33
    3. 1차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종합 37
    4. 제주특별법시행령 일부 개정(안) 40

    Ⅵ. 결론 42
    1. 결론 42
    2. 정책제언 43

    참고문헌 45
    부록: 델파이 조사지 48